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들유치원 만 5세 유아의 사회적 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윤해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inds of social power of 5-year-old children in daily routine at kindergarten and analyze the use of social power and following response.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ocial power used by 5-year-old children at Sandeul kindergarten? 2. What is the following response of social power used by 5-year-old children at Sandeul kindergart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Saseum class of 5-year-old children of private Sandeul kindergarten in Seou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 children of 5-year-ol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1th, 2013 to October 22nd, 2013 by 20 participating observations,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eacher and children, documentation and audio recording. The contents of participating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Collected data were en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as Bogdan and Biklen(2007)'s sugges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se of positive social power of 5-years-old children at Saseum class was 'telling promise and rule', 'helping', 'teaching', 'requesting', 'asserting logically', 'making a compromise', and 'mediating conflicts'. Children who used positive social power didn't expect any extrinsic reward and they used positive power through the voluntary behavior for other children's benefits. The similar result appeared between children who have strong power and weak power. The use of negative social power of 5-years-old children at Saseum class were 'looking down on other children', 'showing off', 'commanding', 'persisting', 'conciliating', 'making a advantageous situation', 'monopolizing', 'stealing', 'rejecting, 'threatening', 'attacking', and 'cheating'. Children's using of negative social power varied according to the opponents´ social power or situation. Mainly child with strong social power inflicted negative social power on the opponent with weak social power. Second, the following response of positive social power of 5-years-old children at Saseum class was 'appreciating' and 'accepting'. The children expressed appreciative when they got help or benefits from other children. Furthermore, children accepted other children's positive social power and changed their behaviors. The following response of negative social power of 5-years-old children at Saseum class was 'resisting', 'refuting', 'rejecting', 'accepting', 'ignoring', 'evading', 'showing off', and 'flattering'. The children recognized a status which was created by social power in the class and according to the status, they showed different following response of negative social power. The children who were exposed to negative social power frequently became insensible of negative social power. Also they felt fear to the negative social power and shamed and loneliness. The children's social power seriously influence on developing and maintaining children's relationship. They can change other children's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through the use of social power and following response. Thus teachers should try to understand types of social power between children, helping them develop a desirable relationship with others. Furthermore, teachers should teach children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social power and use it right way.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하루 일과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힘을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사회적 힘의 사용과 대응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산들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사회적 힘의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2. 산들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사회적 힘의 대응 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산들유치원 만 5세 학급임 사슴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유아 31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3년 9월 9일부터 10월 2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은 총 20회의 참여관찰, 형식적․비형식적 면담, 오디오 녹음, 문서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현장 약기와 녹음 내용으로 현장기록과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7)이 제시한대로 부호화, 범주화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들유치원 만 5세 사슴반 유아들의 하루일과를 통해 나타난 사회적 힘의 사용 양상 중 긍정적 사용 양상은 ‘약속ㆍ규칙 알려주기’, ‘도와주기’, ‘가르쳐주기’, ‘부탁하기’, ‘논리적 따지기’, ‘타협하기’, ‘갈등 중재하기’로 나타났다. 사회적 힘을 긍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들은 외적인 보상을 기대하지 않고 타인의 이익을 위한 자발적인 행동을 통해 사회적 힘을 사용했으며, 이는 사회적 힘이 강한 유아, 사회적 힘이 약한 유아 모두에게서 동등하게 나타났다. 부정적 사용 양상은 ‘얕잡아보기’, ‘과시하기’, ‘명령하기’, ‘억지 부리기’, ‘회유하기’, ‘유리한 상황 만들기’, ‘놀이 독점하기’, ‘빼앗기’, ‘거부하기’, ‘위협하기’, ‘공격하기’, ‘속이기’로 나타났다. 사슴반 유아들은 부정적인 사회적 힘을 상대 유아나 상황에 따라서 조절하여 사용하였으며, 주로 사회적 힘이 강한 유아가 사회적 힘이 약한 유아에게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산들유치원 만 5세 사슴반 유아들의 하루일과를 통해 나타난 사회적 힘의 대응 양상 중 긍정적 대응 양상은 ‘감사하기’, ‘수용하기’로 나타났다. 다른 유아가 자신의 어려움을 도와주거나 이익을 주는 행동을 하면 그에 대해 고맙다고 표현했으며, 다른 유아의 사회적 힘의 긍정적 사용을 수용하고 행동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대응 양상은 ‘저항하기’, ‘반박하기’, ‘거부하기’, ‘순응하기’, ‘무시하기’, ‘회피하기’, ‘과시하기’, ‘아부하기’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사회적 힘을 바탕으로 형성된 또래 간의 지배위계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대응 양상을 나타냈으며, 부정적인 사회적 힘에 자주 노출되는 유아들은 부정적인 사회적 힘에 무기력해지거나 부정적인 사회적 힘을 사용하는 유아들에 대한 두려움과 수치심, 외로움을 느꼈다. 유아들의 사회적 힘은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유아들은 사회적 힘의 사용과 대응을 통해 타인의 인지, 행동, 감정을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들 사이의 사회적 힘의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유아들이 바람직한 또래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더 나아가 자신의 사용하는 사회적 힘이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고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하기는 사회적 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 가역적 나노 몰딩 기술을 이용한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나노구조의 방습 특성 향상

        윤해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김 서림은 자연 현상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발현되는 현상이며 불편함을 넘어서 안전의 문제까지 위협한다. 그래서 많은 연구자들은 김 서림의 방지를 위해 방습(anti-fogging) 특성을 갖는 친수성의 표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습 특성을 갖는 친수성의 표면을 구현하기 위해서 가역적 나노 몰딩(reversible replica nano molding) 방법을 이용하여 투명하고 유연한 필름에 나노구조를 복제하였다. 복제 성형된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소수성 나노구조 표면은 표면적에 비례하여 소수성이 증가하는 Cassie model의 작용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소수성 고분자 재료의 표면에 O2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의해 친수성이 부여 될 때, 친수처리 된 표면은 면적에 비례하여 친수성이 증가되었고, 이를 유지하는 시간 또한 상승되었으며 이는 Wenzel model의 작용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측면이 수직으로 된 나노구조는 O2 플라즈마의 방향성에 의해 측면과의 반응이 비교적 적어 친수성에 단점으로 작용하였다. 이들은 주사전자현미경, 접촉각 측정기, 원자현미경, X-선광전자분광법에 의해 확인되었다. 그 결과, 친수성 표면처리 반응기의 방향성을 고려한 나노구조의 설계는 방습 특성 및 장기 지속성에 대해 큰 장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동차 유리, 방범용 카메라 렌즈, 안경, 그리고 욕실 거울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Condensation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inevitably occurs in nature and it poses a great threat to our safety beyond discomfort. Therefore, various studies on hydrophilic surfaces with anti-fogging properties to prevent condensation are actively underway. This study has replicated nanostructures on transparent and flexible films using the reversible replica nano molding method to produce hydrophilic surfaces with anti-fogging proper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ydrophobicity of a nanostructured polyurethane acrylate hydrophobic surface produced by replicated molding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urface area. Such hydrophobic polymer materials were imparted hydrophilic properties by O2 plasma surface treatment. The hydrophilic effect of a treated surface and the time up to which it was retained improved in proportion to the surface area. However, the reaction between the vertical sided nanostructures and the O2 plasma was relatively weak due to the highly directional nature of the O2 plasma, which negative affected the hydrophilic effect. This was confirm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ontact angle measurement, atomic force microscopy,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at nanostructure design by consider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hydrophilic surface treatment reactor would be greatly advantageous in promoting anti-fogging and long-term durability. We expect that this result will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in automotive glass, security camera lenses, glasses, and bathroom mirrors.

      • 노인의 주거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윤해수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tial power of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extra-aged society, the interest is increasing on the quality of the elderly, the time period for which the elderly reside in their house gets longer,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s having a decisive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For this reason, this study also purports to provide the raw material useful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s of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For this, I formulated a research model by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selected through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concerned studies, made a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selected variables, and set up 35 hypotheses. Hypothesis 1: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individual social-demographic characteristics(7 sub-hypotheses). Hypothesis 2: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individual social-demographic characteristics(7 sub-hypotheses). Hypothesis 3: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objective residential characteristics(5 sub-hypotheses). Hypothesis 4: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objective residential characteristics(5 sub-hypotheses). Hypothesis 5: subjective experience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have an effect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5 sub-hypotheses). Hypothesis 6: subjective experiences to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have an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5 sub-hypotheses). Hypothesis 7: residential satisfaction will have an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1 sub-hypothesis). Hypothesis 8: residential satisfaction will play a role of parameter in the causal relationship of subjective experiences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5 sub-hypotheses). In this research, I used SPSSWIN 17.0 and AMOS 7.0 as statistical package for data analysis because they are pf practical use in a field of social sciences, and analyzed all sorts of data. The results of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among individu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x factors of gender, marriage status, education, religion, living standard, and subjective health caused the difference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four factors of marriage status, education, living standard, subjective health caused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econd, in the objectiv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three factors of family size, housing style, householder pattern caused the difference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four factors of housing style, residential period, bedroom-using pattern, householder pattern caused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ird, in the causality of the variables of subjective experiences to residential environment,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ll the factors of family-life satisfaction, community-institution satisfaction, leisure-life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 satisfaction, public social-security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both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Furthermore, residential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refore, the factor of residential satisfaction played a role of parameter in the causality of subjective experiences and quality of life. 본 논문은 초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노인들은 주택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고 또한 주거환경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특성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력을 갖는가 하는 구조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국 및 국내의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및 매개변수를 선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총 3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설들을 종합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가설검증에 관련된 변수들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을 개발하여 설문서를 만들었다.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가설1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주거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세부가설7개)’이며, 가설2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세부가설7개)’이며, 가설3은 ‘주거의 객관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주거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세부가설5개)’이며, 가설4는 ‘주거의 객관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세부가설5개)’이며, 가설5는 ‘주거환경의 주관적 경험은 노인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세부가설5개)’이며, 가설6은 ‘주거환경의 주관적 경험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세부가설5개)’이며, 가설7은 ‘주거만족도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세부가설1개)’이며, 가설8은 ‘주거환경의 주관적 경험은 주거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영향을 미칠 것이다(세부가설5개)’이다. 상술한 가설들을 검토하면서 본 논문은 개인적 특성들, 주거의 객관적 특성들,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경험들, 주거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 등의 변수들간 영향관계, 그 중에서도 특히 주거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자료분석에 관해 설명하자면, 개인적 특성 및 주거의 객관적 특성과 관련된 가설들의 검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주거환경의 주관적 경험과 관련된 가설들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구성하여 AMOS 7.0 프로그램으로 검증을 하였다. 연구 모집단은 대구․경북지역에서 살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이며 대구광역시와 인근 일부 소도시의 아파트나 마을에 있는 노인정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임의 표 집 방법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적 특성들에 있어서 성별, 혼인상태(혼인관계유지의 2분류 경우), 교육수준, 종교유무(2분류), 생활수준, 건강인식 등의 6개 요인들만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가져 왔으며, 혼인상태(혼인관계유지의 2분류 경우), 교육수준, 생활수준, 건강인식 등의 4개 요인들만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가져왔다. 성별요인은 주거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가져왔지만, 삶의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지 못했다. 혼인상태 요인은 주거만족도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에도 유의한 차이를 가져옴으로써 가정에서 배우자와 혼인관계를 유지하는 노인들이 평균적으로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요인은 원래의 측정형태로는 주거만족도나 삶의 만족도에 아무런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지만, ‘종교유무’로 2분류해서 분석한 결과 주거만족도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교육수준, 생활수준, 건강인식 3가지 요인 모두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주거의 객관적 특성들에서는, 가구크기(배우자유무의 2분류), 주택형태(독립성유무의 2분류), 주택소유형태 등의 3개 요인들만 주거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왔고, 주택형태(독립성유무의 2분류), 거주기간, 침실사용형태, 주택소유형태 등의 4가지 요인들을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왔다. 가구크기 요인은 원래의 측정형태로는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아무런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지만, ‘배우자 유무’로 2분류해서 분석한 결과 주거만족도에만 유의한 차이를 가져 왔다. 주택형태 요인은 역시 원래의 측정형태로는 주거만족도나 삶의 만족도에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주거생활의 ‘독립성 유무’로 2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두 만족도 모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거주기간과 침실사용형태의 두 요인들은 거주만족도의 차이와 무관하고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노인의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경험들과 주거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변인들에 있어서는, 가족생활만족도, 근린생활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사회관계만족도, 공적 보장 만족도 등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경험의 다섯 영역 모두 주거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삶의 만족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거만족도 역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노인의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경험들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에 있어서 주거만족도는 매개변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래서 경제적 능력과 건강에 따른 여러 수준의 노인주거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주거정책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향후 노인복지를 설계함에 있어서 주거복지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더 한층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 중학교 교사들의 자유학년제 운영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희망중학교를 중심으로

        윤해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희망중학교 교사들의 자유학년제 교과 영역에서의 운영 경험과 비교과 영역에서의 운영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희망중학교의 자유학년제 운영의 장점을 알아보고 더불어 개선점을 찾아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유학년제 시행을 통해 교사들은 교과 영역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 는가? 둘째, 자유학년제 시행을 통해 교사들은 비교과 영역에서 어떤 경험을 하 였는가? 셋째, 희망중학교 자유학년제 운영의 발전 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재작년(2016년)에 자유학기를 경험하고 작년(2017년)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교사 7명을 본 연구의 참여자로 선택하여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유학년제 운영 경험을 교과 활동 영역면, 비교과 활동 영역 면으로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운영 경험을 통해 희망중학교에서 자유학년제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험 미실시로 인해 평가문항지 출제의 부담이 없어진 반면에 수시로 실시되는 평가의 기록에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유학년제가 시행되면서 이전과는 다른 수업들이 펼쳐진다고 하였다. 이런 현상은 포기자가 많았던 수학이나 영어 교과에서 더 잘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유학년제 실시 이전보다 학생들과의 관계가 많이 호전되었다고 한다. 자유학년제 실시로 인해 학생들 한 명 한명에게 눈이 가고 학생의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 주고, 학생들과 눈높이를 맞추어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그만큼 교사의 기준에서 모든 학생들이 예쁜 학생으로 변한다고 했다. 넷째, 자유학년제 시행으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전보다 더 과도한 업무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2~3개의 비교과 영역을 담당한 교사들은 자신이 어느 교과 교사인지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진로 체험 등 학생들이 진로 탐색을 위한 체험처 발굴에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유학년제 비교과 영역에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는데 있어 장점과 단점을 이야기 하였다. 또한 지역적 인프라의 활용면에서는 적은 수의 지역적 시설을 알차게 활용하는 경우도 있고 지역의 인적 자원을 학교로 들여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최대의 효과를 얻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자유학년제 운영에 대한 발전 방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흥미와 실력 사이이의 균형을 맞추어 자유학년제 교과의 학업 결손에 대한 우려를 없애야 한다. 둘째, 학교의 특성과 지역적 요건, 교육 구성원들의 요구에 적합한 진로 탐색의 기회를 부여하고 진로 체험처 발굴에 적극 앞장서야 한다. 셋째, 한 학년의 자유학년제를 넘어 2학년, 3학년으로의 연계 자유학년제의 단절 없는 지속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에 대한 정책적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중학교 교사들의 사례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경기도 소재 중학교 교사로 확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경기도 소재 중학교 교사들을 표집 집단으로 하여 심도 있는 면담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신뢰로운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교사와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교사를 비교 연구하는 질적, 양적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교사가 일반 학기로 전환하면서 겪는 상황을 알아보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교사들이 자유학년제를 경험하고 난 후, 다음 해에 일반 학기를 맡아 교과 수업 및 생활지도, 진로 지도 등을 하면서 경험하고 느끼는 여러 가지 양상을 알아봄으로써 자유학년제가 추구하는 목적과 취지에 맞게 자유학년제가 단절 없이 조기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