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洙暎 詩의 시어 특성 연구 : '움직임'의 술어를 중심으로

        여태천 高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about properties of poetic words in Kim, Soo-Young’s Poetry ― Mainly focused on ‘movement’ predicate Yeo, Tae-Ch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This thesis is that the study for knowing the properties in Kim, Soo-Young’s poems, through concretely looking into poetic words. Deep-rooted quest or examination into poetic words used by the poet becomes useful method of interpreting or understanding the poetic world of one poet. But, the studies until now did not reach the step of examining his poems’ properties as it is closely. The limitations shown in precedent studies until now derives from lack of closely examining which effect poetic words used by the poet displays in his works. The properties of poetic words used by Kim, Soo-Young is in the aspect of poetic words’ giving impetus to the whole meaning of the texts in poems. Some persons who have studied his poems commonly pointed out ‘movement’, with respect to his poetic properties. But, most of the articles emphasizing on ‘movement’ property of Kim, Soo-Young’s poems were not empirically analyz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ke empirical analysis on revealing Kim, Soo-Young’s poetic properties, through reviewing how his poetic words was concretely applied. For this review, attention to predicates giving impetuses to movement was directed, and frequency of used poetic words subject to the lapse of time was indicated to make it generally understandable how movement proceeded in his poems. To begin with, movement subjective, ‘Onmom’ and body which moves as material basis including its percepts and affects are examined in Section two. The subjective of movement predicates are mostly bodies, and bodies’ movements can explain movements of subjective writing poems and poems. Bodies written in Kim, Soo-Young’s poems are subjective, and objective, at the same time. Body is starting points transcending modern dichotomy, with the viewpoint that it was not separated from human’s heart and spirit. Kim, Soo-Young newly understood body, base on traditional reasons, and it can be said that modern characteristic in his poets exists in this point. After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vements of bodies made movements of poems and lives into images, and expanded to universal movements of general existence, as they came to latter period. Body corresponds to the subjective of movement, that is to say, the principle of Kim, Soo-Young’s poetics. Separating movement appeared in Kim, Soo-Young’s poems into ① body’s movements and dynamics of behavior; ② moving recess and esthetics of quiescence; ③ movement of reason and practical ethics, and having meaning focus on predicate of high-degree frequency, the movement was examined in Section three. The cases that the body was the subjective of movement and body realized direct movement were reviewed in ① part. ‘gada’, ‘oda’, ‘umjikida’, etc realize ‘dynamics of behavior’, through body’s movement. These predicates are not limited to carrying out body’s movement, and give influence on interpreting their meaningness. It was specially found that movement of subjective appeared in his poems’ intial time, meanwhile one of other became stronger, as his poems’ latter time. Movements with Kim, Soo-Young’s poems were reviewed through ‘language of quiescence’ in ② part. ‘sheda’, ‘hyusik[hada]’, ‘k&#365;knada’, ‘g&#365;chida’, etc apparently provide the meaningness of dynamics of behavior in movement. Recess and quiescence is not opposite concept, but is the process of movement. Movement can be divided into dynamic movement incessantly driving oneself out into life cites, and recess or quiescence movement controlling and de-regulating it. Two movements is simultaneous phenomenon shown by one body. ‘Language of recognition’, which carries out body’s function by using parts of body was reviewed in ③ part. Predicates such as ‘boda’, ‘malhada’, ‘ss&#365;da’, etc ultimately make movement of reason possible, through movement of body. It was specially and positively reviewed that ‘behaviour of seeing’(‘boda’) was initially emphasized, and behaviour with media of ‘words’ and ‘language’(‘malhada’, ‘ss&#365;da’) became prominent, as the latter time came. In Section four, concrete phase of movement was discussed by separating it into ① movement of body and physical percepts; ② movement of affects and body as material basis; ③ self-defined movement of discernment and existence. They mostly show psychological and inner process, different from ‘language of locomotion’. Movement of ‘piro[hada]’, ‘pigon[hada]’, ‘ap&#365;da’, etc, and body’s direct responses against their predicates were reviewed in ① part. when body’s active movement such as ‘gada’, ‘oda’, ‘umjikida’, etc comes into ‘dynamics of behavior’ in Kim, Soo-Young’s poems, ‘piro[hada]’, ‘pigon[hada]’, ‘ap&#365;da’, etc fall into physical concepts according to body’s movement. They can be understood as affirmative movement’s phenomenon. It was specially confirmed that ‘piro[hada]’ and ‘pigon[hada]’ were not almost used between 1960 and 1961, while ‘ap&#365;da’ was actively used. How body’s percepts based on unique behaviors appear as movements of affects was studied in ② part. Affects of ‘s&#335;lum’ and ‘g&#365;ngji’ were simultaneously shown in Kim, Soo-Young’s poems. It was also confirmed that ‘g&#365;ngji’ would be filled affects acquired by body during temporary quiescence of movement, if affects of ‘s&#335;lum’ was due to incessant body’s forward movement. How percepts and affects of body converged on consciousness and appeared as discernment was reviewed, focused on ‘silta’, ‘jota’ and ‘mor&#365;da’ ‘alda’. Kim, Soo-Young unconsciously used the predicates of ‘boda’ and ‘mor&#365;da’ at his intial time. These facts will have much suggestions, considering that he wrote his poems,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general existence at his latter time. Kim, Soo-Young’s consciousness on language was generally investigated in Section 5, through his properties of poetic words. He considered his own poetic words as simple, but it can be said that his thought of word or language is very progressive, as they are confirmed in his poems and proses. He considered whole of established and fixed language as negative. His used language does not come from custom or tradition, but is his own language including new meaningness. He often used a Chinese character, the Japanese language, English, colloquial expression, spoken language, ideological language. This fact can be the warning for the language which is to be reverted as one of the dominant languages. This thesis was studied to examine Kim, Soo-Young’s properties of poetic words. It is thought that the layout of Kim, Soo-Young’s poetry can be newly drawn through wide studies on his poetic words. 국문 초록 김수영 시의 시어 특성 연구 ― ‘움직임’의 술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여 태 천 이 논문은 김수영 시의 특성을 시어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시어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는 한 시인의 시세계를 해석하는 데 유효한 도구가 된다. 지금까지 연구는 그의 시의 특성을 제대로 규명하는 단계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선행 연구들이 보여준 한계는 시인이 운용하는 시어가 작품에서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가에 대한 면밀한 관찰의 결여에서 비롯한다. 김수영이 사용한 시어의 특성은 시 텍스트의 전체적인 의미를 추동(推動)한다는 데 있다. 이러한 김수영 시의 특성에 관하여 여러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것은 ‘움직임’이다. 그러나 김수영 시의 움직임을 설명하고 강조하는 글들은 대부분 실증적인 분석을 결(缺)하고 있다. 이 논문은 움직임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시어의 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검토함으로써 김수영 시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움직임을 추동하는 술어에 주목하였으며, 시기별로 사용된 시어의 빈도수를 제시하여 전체적으로 김수영 시의 움직임이 어떻게 진행되는가를 가늠할 수 있게 했다. 먼저, 제2장에서는 움직임의 주체인 ‘온몸’의 의미와 지각과 정서를 담고 있는 물질적 근거로서의 움직이는 몸을 살폈다. 움직임의 술어는 대부분 몸을 그 주체로 삼고 있으며, 몸의 움직임이 시를 쓰는 주체의 움직임과 시의 움직임을 설명해준다. 김수영 시에서 몸은 주체이면서 동시에 객체이다. 마음과 정신으로부터 분리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몸은 근대적 이분법을 넘어서는 출발점이다. 김수영은 전통적인 사유를 바탕으로 몸을 새롭게 이해했으며, 그의 시의 현대성이 여기에 있다. ‘가는 행위’와 ‘적극적인 사유’, ‘자기를 들여다보는 행위’, ‘휴식’ 등을 통해 검토한 결과 몸의 움직임이 시와 삶의 움직임을 형상화하며, 후기에 이르러 존재 일반의 보편적 움직임으로 확대됨을 확인하였다. 몸은 김수영 시학의 원리인 움직임의 주체에 해당한다. 제3장에서는 김수영 시의 움직임을 ① <몸의 움직임과 행동의 역학>, ② <움직이는 휴식과 정지의 미학>, ③ <사유의 움직임과 실천의 윤리>로 구분하여 그 의미를 빈도수가 높은 술어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①에서는 몸이 움직임의 주체인 동시에 움직임을 직접 실현하는 사례를 검토하였다. ‘가다’ ‘오다’ ‘움직이다’ 등이 몸의 움직임을 통해 ‘행동의 역학(力學)’을 실현한다. 이 술어들은 몸의 움직임을 수행하는 일에 그치지 않고, 의미 해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주체의 움직임이 초기에 두드러지는 반면에 타자의 움직임이 후기로 갈수록 강화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②에서는 김수영 시의 움직임을 ‘정지의 언어’를 통해 살펴보았다. ‘쉬다’와 ‘휴식[하다]’ ‘끝나다’ ‘그치다’ 등은 ‘움직임의 역학(力學)’이 지니는 의미를 명확하게 해준다. 휴식과 정지는 움직임의 반대가 아니라 움직임의 과정이다. 움직임은 자신을 끊임없이 삶의 현장으로 내모는 역동적 움직임과 이를 제어하고 규제를 푸는 휴식과 정지로서의 움직임으로 나눌 수 있다. 두 움직임은 하나의 몸이 보여주는 동시적 현상이다. ③에서는 몸의 일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제 기능을 수행하는 ‘인식의 언어’를 살폈다. ‘보다’ ‘말하다’ ‘쓰다’와 같은 술어들은 몸의 움직임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사유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보는 행위’(‘보다’)가 시작 초기에 강조되고, 후기로 갈수록 ‘말’과 ‘언어’를 매개로 하는 행위(‘말하다’ ‘쓰다’)가 두드러짐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제4장에서는 움직임의 구체적 양상을 ① <몸의 움직임과 신체적 지각>, ② <정서의 움직임과 물질적 근거로서의 몸>, ③ <판단과 존재의 자기규정 운동>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들은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움직임의 언어와는 달리 대체로 심리적이고 내면적인 과정을 보여준다. ①에서는 ‘피로[하다]’ ‘피곤[하다]’와 ‘아프다’를 통해 움직임과 그것에 따른 신체의 직접적인 반응을 고찰하였다. ‘가다’ ‘오다’ ‘움직이다’와 같은 몸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김수영 시의 ‘행동의 역학(力學)’이라고 했을 때, ‘피로[하다]’ ‘피곤[하다]’ ‘아프다’는 몸의 움직임에 따른 신체적 지각에 해당한다. 이를 움직임의 긍정적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1960~61년 사이에 ‘피로[하다]’ ‘피곤[하다]’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반면에 ‘아프다’가 활발하게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②에서는 행동에 따른 몸의 지각이 어떻게 정서의 움직임으로 드러나는가를 살펴보았다. 김수영 시는 ‘설움’과 ‘긍지’의 정서를 동시에 보여준다. ‘설움’의 정서가 부단히 전진하는 몸의 움직임 때문이라면, ‘긍지’는 움직임 가운데 잠시 정지하는 순간 몸이 얻는 충일된 정서임을 확인하였다. ③에서는 행동에 따른 몸의 지각과 정서가 의식에 수렴되어 어떻게 판단으로 나타나는가를 ‘싫다’ ‘좋다’, 그리고 ‘모르다’ ‘알다’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대상을 명확하게 이해하고자 했던 김수영은 ‘보다’와 ‘모르다’라는 술어를 시작 초기에 무의식적으로 많이 사용했다. 이러한 사실은 그가 후기에 이르러 존재 일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작(詩作)에 임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제5장에서는 시어의 특성을 통해 김수영의 언어의식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김수영은 스스로 자신의 시어가 평범하다고 했지만, 시와 산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말(언어)에 대한 그의 생각은 매우 진보적이다. 김수영은 일체의 정립된 언어와 고정된 언어를 부정직한 것으로 여겼다. 그의 언어는 관습의 언어, 대물림한 언어가 아니라 새로운 의미를 담고 있는 자기의 언어이다. 김수영의 시에서 한자어와 영어와 일본어가 동시에 등장하고, 문어와 구어가 구별 없이 사용되며, 관념어와 구체어가 섞여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어느 하나의 지배적 언어로 귀속되는 것에 대한 부정이 된다. 이 논문은 김수영 시의 시어 특성을 연구했다. 시어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통해 김수영 시의 지형도를 새롭게 그릴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