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방투자사업의 무기체계 획득관리 업무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안영수 한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order to show a vision for the long-term-based acquisition policy of the weapon system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efficient acquisition work for the weapon systems of the defense investment project by considering the security situation of the 21st century and the true self-defense, this study has suggested a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solving the previously issued problems after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phenomena during the defense investment project, focused on the acquisition management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weapon systems among the R&D weapon systems and the imported ones, based on the planning-programming-budgeting-execution-evaluation(PPBEES) system. The next weapon systems which the Korean military force is to prepare independently to occupy the superior position to other East-Asian countries under the competing the arms budget and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the advanced weapons considering the battle field situation of the 21st century, besides their country-based enormous project, are the science-based advanced weapon systems which require high accuracy, long acquisition term, technological integration and highly influential effects on economy and technologies. Due to the special quality of the technologically integrated weapons, the high professionalism and special capability of the acquisition work is required to respond to the fast changes of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inefficient factors (methods, systems) should be improved over requirement ask, test and evaluation, and disposi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acquisition steps, as mentioned for the objective of the defense acquisition policy, it could be possible to get appropriate acquisition of the performance-guaranteed weapon systems with reduction in budget through improving the inefficient methods and steps in the acquisition procedures for the weapon systems such as political support and consideration for self-defense, asking requirement of the weapon systems for the Korean battle field situation, reinforcing the test and evaluation systems by acquisition life cycle from requirement ask to mass production step, training the professional manpower capable of managing through integrat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acquisition management work for the weapon systems and the whole life cycle management. Therefore, if the weapon systems which work well on the battle field environments are acquired through the systematic acquisition management work from requirement ask, disposition to the field, to disposal after operation, the acquisition management of the defense investment project for the weapon systems will be surely settled down.

      • PS 강봉으로 일체화된 강합성 라멘교의 구조거동 고찰 및 최적화 연구

        안영수 동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최근 국내에서 새로운 개념의 여러 복합교량 형식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인테그럴 브릿지교(Integral bridge) 및 포탈 리지드 프레임(Portal Rigid Frame) 형식들은 신축이음과 교량받침이 생략되어 유지관리 및 구조 효 율성에서 장점을 얻을 수 있는 형식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거더를 교대에 매 립하는 형태의 거더-교대 접합부는 시공상세가 복잡하며 접합부의 상세에 따 라 공사비가 증가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새로운 형식의 교량인 PIC 거더교 (Prestressed Integral Composite Girder Bridge)는 거더-교대 접합부의 시공상세를 간략화하여 시공 효율성과 공사비를 개선할 수 있는 형식으로 개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PIC 거더교는 거더를 교대에 매립하는 상세 대신 PS 강봉을 이용하여 거더와 교대를 일체화하는 접합부 상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 교량인 PIC 거더교 거더-교대 접합부의 피로성능을 평가하 기 위해 유한요소해석 및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 PIC 거 더교의 거더-교대 접합부는 기본적으로 피로손상에 대한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피로시험의 결과로 부터 2,000,000회의 피로반복하중 이 재하된 상태에서도 접합부의 일체화 성능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PIC 거더의 설계 타당성, 제작 우수성 및 구조 안전성을 평가 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 및 실물시험체 제작을 통한 구조성능을 검증하였으 며, PS 강봉으로 연결된 거더-교대 접합부의 거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물모 형시험체를 이용한 정적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PS 강봉에 의해 연 결된 거더-교대 접합부는 충분한 내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확인 하였으며, 균 열에 대한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대 상부에 발생하는 균열을 제어하 기 위한 철근 배근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IC 거더의 구조 타당성은 정 적/동적 재하시험과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실물시험을 통한 정적 및 동적 재하시험과 부분모형 시험에 의한 피로시험 을 통하여, PIC 거더교의 설계 및 극한 하중에서의 구조 안전성과 사용성이 우수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시험 결과로 부터 PIC 거더교의 적용성과 구조적 활용성이 검증되었다. 제안된 PIC 거더의 표준단면에 대한 최적설계를 수행하여, 효율적 최적 단 면을 제시하였으며, LCC/VE 및 LCA해석을 수행하여 PIC 거더의 경제적 우 수성을 평가하였다.

      • CRDI 디젤기관에서 팜오일 및 디젤 혼합연료가 연소와 배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

        안영수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Air pollution and greenhouse effect have urged the harsh demands on the control of emissions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ICE is divided into diesel engine, gasoline engine, liquefied petroleum gas (LPG), compressed natural gas (CNG) and so one according to the type of fuel. In ICE, diesel engine is very popular. Because it has the advantages of strong power, high thermal efficiency, durability, and reliability, thus it is widely used in transportation and other fields. However, diesel engines emit more particulate matter (PM) and nitrogen oxides (NOx) than gasoline engines because of higher thermal efficiency, which is a problem that people have been trying to solve. PM and NOx emissions emitted from diesel engines are harmful to the human health and potentially cause respiratory diseases. Some researchers even reported that diesel PM is the main source of mutagenicity and carcinogenicity in the engine exhaust. Biofuels such as biodiesel and bioethanol are the most common and practical alternative fuel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his is because biofuels have the advantages of non-toxic, harmless, green, safe, oxygenated, renewable, and rich sources. In particular, biodiesel, with high oxygen content and cetane number, is regarded as the most potential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 which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blend with diesel fuel) applied to diesel engine without any modification. Biodiesel can be obtained by transesterification from vegetable oil, waste cooking oil, fish oil, algae, animal fat, etc. It is often used to reduce the carbon monoxide (CO), hydrocarbon (HC) and PM emissions emitted from diesel engines due to their high oxygen content, high cetane number and other excellent fuel properties. However, adding biodiesel to diesel can improve local hypoxia and improve combustion efficiency, thus increasing the combustion temperature in the cylinder, resulting in more NOx gener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on biodiesel has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by many researchers. Most of the research results reported that using biodiesel into diesel engine reduce CO, HC and PM emissions, but increase NOx by about 10%. Moreover,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technology, especially the renewal of fuel injection system, the researches on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CRDI) diesel engine fueled with different diesel-palm oil blends are rare. Therefore, the effects of palm oil and diesel blends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e., in-cylinder pressure, heat release rate), engine performance (brake specific fuel consumption: BSFC)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e., CO, HC, NOx, smoke opacity) in a CRDI diesel engine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various engine speeds and engine loads.

      • 지구단위계획의 차별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안영수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지구단위계획의 획일적 적용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원인 규명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2002년 이후 지구단위계획은 전국적으로 크게 확산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관련 지침의 다양성 결여로 획일적 계획 도출이 우려되고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단위계획 수립 사례를 중심으로 획일적 적용 실태를 확인한다. 둘째, 실태에 대한 전문가 설문을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연구가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단위계획의 기반시설 위주의 획일적 적용 실태를 확인하였다. 둘째, 그 원인은 지구지정의 문제와 관련 지침의 다양성 부재, 경직된 심의 체계이다.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는 지구지정의 문제는 기준을 설정하여 규모에 따른 지침의 차별성을 추구 할 것을 제안하였다. 관련 지침의 다양성 부재는 두 가지로 나누어 제안하였는데 먼저 다양한 주제별 관련 지침을 마련하여 각 지역과 현황에 맞는 관련 지침을 적용시키는 것을 제안하였다. 나머지 하나는 지침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자율성을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계획 도출을 유도 할 것을 제안하였다. 경직된 심의 체계는 도시관리계획의 구속을 벗어 날 수 있는 비구속적지구단위계획을 구분하여 속성 심의 체계를 별도로 둘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으나 실질적 지침의 개선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 후 지구단위계획의 개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구체적 개선의 기틀을 마련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nd define the problem of district unit plan uniformally applied without the consideration in local district characters and suggest solution about it. After 2002 year, district unit plan have been nationally applied. However, the deficiency of the guideline relevantly us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of district has resulted in uncharacteristic development pla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separated into two parts. First, through case study on district unit plan uncharacteristically established, the problem of district unit plan is identified. Second, through professional interview, the problem is defined and the solution of the problem is suggested. Following is summary of problems to district unit plan and solutions. Problems, such as infrastructure-oriented plan, absence of the guidelines relevantly us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the problem in district establishment, and the ossified deliberation system are identified as a major part of them. As the solution to problem in district establishment, discriminate guild lines according to various standards in development scale are suggested. The solution to the problem in absence of the guidelines relevantly us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is suggested by separating it into two parts. First one is to make various guidelines thematically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 of local district. The other is to induce diverse plan by guaranteeing pliability of the guild line and allowing voluntary. As the solution to the problem in the ossified deliberation system, new short-course deliberate system is suggested by dividing the formal deliberate system into two parts; restrain deliberate system and unformal deliberate system which is free from district unit plan. Even though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dose not suggest concrete solution to the problems of district unit pla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suggestion of several directions in making the plan efficiently.

      • 어머니 역할지능, 정서적 공감능력, 애착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영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역할지능, 정서적 공감능력, 애착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경남 김해시 소재 3개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역할지능, 정서적 공감능력, 애착행동, 사회적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52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3.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지능, 정서적 공감능력, 애착행동,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다. 둘째, 역할지능의 하위요인인 발달자극과 양육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역할지능의 하위요인 중 발달자극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높이려면 관리나 통제보다는 공감이나 격려와 같은 발달자극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서적 공감능력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정서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공명이 공감적 관심보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기르기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어머니의 공감적 관심보다 정서적 공명에 더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넷째, 애착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애착행동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가 애착행동의 다른 하위요인보다 사회적 능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어머니는 애정적인 감정과 행동, 자신보다 자녀를 우선시 하여 배려하는 등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가져야 한다. 다섯째, 역할지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녀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머니의 역할지능 및 공감능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필요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어머니의 역할지능, 정서적 공감능력, 애착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 토지이용-교통모델 기반의 수도권 기업입지모델 개발 연구

        안영수 서울市立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현재 우리나라는 도시교통부문의 탄소와 에너지 소비를 저감시키려는 다양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도시교통에서 탄소와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입지가 매우 중요함에도, 기업 부분의 거시적인 변화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기업입지모델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외적인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도권의 각 지자체는 민간에서의 개발에 의지하여 상호 경쟁적으로 대형 오피스와 산업단지를 건설하고 있다. 상호 경쟁적으로 건설되는 개발 사업은 경제와 공실에 대한 우려뿐 아니라 도시의 공간적, 물리적 구조를 변화시키고 인구, 고용, 재정, 교육, 부동산, 교통, 환경 등에 장기간에 걸쳐 영향을 미치므로 종합적 관점에서 그 효과를 예측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기업의 입지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업입지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도시정책을 시뮬레이션하고 보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수도권의 기업입지변화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기업입지모델을 개발하고 실제적인 장기 시뮬레이션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표를 기반으로 연구를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국내 특성에 맞는 기업입지 모델을 개발하고자 기업의 성장과 쇠퇴와 관련된 이론과 입지이론, 도시공간구조 이론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를 중심으로 개별 기업의 고용측면에서의 성장과 쇠퇴를 통계적인 확률 모형으로 구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입지이론 검토를 기반으로 모델에서 필요한 입지요인변수의 이론적 기반을 확인하였으며, 도시공간구조 이론에서는 장기적인 도시공간구조의 시뮬레이션을 위해 토지이용과 교통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구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외의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실증 분석된 기업입지요인을 검토하여 모델에 필요한 16개의 입지요인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외국에서 활용중인 다양한 기업입지모델을 검토하여 국내 모델의 개발 방향을 토지이용-교통 통합모델을 기반으로 집계 데이터 중심의 거시모델로 설정하였다. 3장에서는 기업입지모델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변수와 계수를 찾고자 수도권 기업의 통계와 입지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업통계 변화는 기업의 성장과 쇠퇴, 생성과 소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기업의 통계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로 지역내총생산(GRDP)과 산업의 구조적 변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기업의 이동에서 거리 감쇄가 지수함수 형태로 발생함을 확인하여 모델에 적용하였다. 또한, 기업의 규모와 연령이 생성과 소멸, 이동 빈도에서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고, 이를 모델에 적용하여 국외 모델과의 차별성을 갖추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된 국내 기업의 통계와 입지 변화 특성을 계수로 활용하여 국내 기업입지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기업입지모델은 기업의 통계적인 변화를 비공간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기업통계모델과 기업의 이동과 입지선택을 공간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기업입지모델로 구성하였다. 기업통계모델의 하위모델은 확률밀도함수를 기반의 기업 성장/쇠퇴 모형과 선형 회귀함수를 기반의 기업 생성/소멸 모형으로 구성된다. 기업입지모델의 하위모델은 연평균 이동률을 이용한 기업 이동확률 모형과 다항로짓함수를 이용한 입지선택모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업입지모델은 외부의 토지이용-교통 통합모델과 연동하여 입지요인과 교통 접근 시간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구조로 구축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초기 연도에만 연동시키고 이후 동일한 값을 반영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서 구축한 기업입지모델을 기반으로 2005년을 기준으로 실제 수도권의 기업입지데이터를 입력하여 장기적인 시뮬레이션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수도권 지역내총생산인 GRDP의 1995년에서 2010년까지의 변화 추세를 기준으로 기본과 긍정, 부정의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시나리오별 장기예측 결과를 비교하였다. 신규 및 소멸 기업 수 추정에 대해 2009년까지 실제 자료와 비교한 결과 , 2008년을 제외하고 모두 유사하여 시뮬레이션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2030년의 장기 시뮬레이션 결과, 서울시는 강남과 중구에 집중되어 있는 기업들이 용산구, 성동구, 동작구 등으로 이동하면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확산되는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인천시는 남동구와 부평구의 중심의 기업들이 계양구 중심으로 이동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경기도의 시흥시와 화성시에서는 기업 수가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인 입지패턴은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수도권의 기업입지변화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기업입지모델을 개발하고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시나리오별 장기예측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아직 초기 모델로 개발되어 부분적인 오류와 보완 사항이 있으나 본 연구의 의의와 활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도시공간구조관점에서 기업의 입지와 이동에 대해 부분적인 모델 연구가 진행되었던 국내 연구의 단계를 외국의 기업입지모델의 단계로 발전시킨 의미를 갖는다. 둘째, 기업의 장기적인 입지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기업을 기업통계(firmography) 관점에서 접근하여 수도권 기업의 생성과 소멸, 성장과 쇠퇴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모델로 구축한 의미를 갖는다. 셋째, 외국의 집계데이터 기반 기업입지모델에서 반영하지 못한 기업의 고용규모와 연령의 특성을 국내 기업입지모델 개발에 반영하여 국외 기업입지모델과의 차별성을 갖추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구축한 기업입지모형을 활용하여 시나리오별로 장기적인 시뮬레이션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각 지역별 기업 수의 변화 패턴을 분석한 의미를 갖는다. Due to global warming, a low-carbon, energy-saving city has become the new urban development paradigm. But, to ensure more effectiv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s from transportation,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attern of firm location and relocation because they are very closely related to trips that occur for commuting, shopping, business, and leisure purposes. Zones of high employment are major attractors and producers of personal and commercial trips. Since commercial trips constitute a major portion of urban trips, an understanding of firm behavior should help improve transportation planning. Most research in korea has focused on studying the behavior of households more than firms. But, in developed countries, firm location models are already developed and various policies using the models are enacted.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long-term firm location model based on a land use-transport mode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he SMA includes Seoul, which is the capital city of Korea, Incheon and Gyeonggi-do. The study framework of this research in regards to time is 30 years, from 1981 to 2010. This study constructed a GIS database of the relocation of firms and found the change in location factors after analyzing location conditions of each firm. This study yielded variables of location factor using ArcGIS 10.0 and used binomial logistic analysis to find the change in location factors using SPSS 19. The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were reviewed to construct the Korean firm location model. The possibility of each firm’s growth and decline, based on statistical model development, was examined by the result of the review.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land-use and transport was important in forecasting long-term changes in urban space structure. The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firm’s demography and location in the SMA to find parameters for the model. Using the Korean firm's statistics and location change as factors, a firm location model was constructed. The newly constructed firm location model was made up of the firmography model and the firm location model. The firmography model is used to simulate firm statistical change non-spatially. The firm location model simulates a firm's movement and location selection spatially. The lower model of firmography model is made up a firm's growth/decline model using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firm's creation/extinction model using a linear regression function. In chapter 5, using the firm location model constructed in chaper 4, a firm’s demography and location in the SMA in 2030 were simulated. The base year was 2005. The result of simulation showed the pattern that spread\\ed across Seoul evenly as firms in Kangnam-gu and Jung-gu moved to Yongsan-gu, Seongdong-gu, Dongjak-gu. In-cheon city showed the result that firms in Namdong-gu and Bupyeong-gu moved to the center of Gyeyang-gu. The firms in Siheung-si and Hwaseong –si, Gyeonggi-do decreased, but the general pattern didn't change.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developed a firm location model that can be used to simulate long-term and macro change for firm location in the SMA. This study constructed scenarios and compared and analyzed each scenario's long-term predictive result. This model is initial and has partial errors and items to improve. Nevertheless, this study's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are as follows: (1) This study developed a comprehensive firm location model. Until now there were only partial model studies about firm location and movement from the view of urban structure. (2) To predict the long-term change of firm location, this study drew the characters of creation, extinction, growth and decline of the SMA, approached from the view of firmography. (3) The firm's features, like employment scale and age were reflected in the firm location model. On this account, this model differs from foreign firm location model (4) Using the firm location model, this study simulated long-term scenarios and analyzed the mutational pattern of regional firm nu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