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식당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 경기 한식당을 중심으로

        성선경 경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service quality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ho are using Korean restaurants. Accordingly, I intend to figure out which service factor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operation of Korean restaurant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resent development plans such as improvement in sales of Korean restaurants and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stores.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was from December1, 2019 to January 10, 2020, and the spatial-personal scope was limited to customers visiting Korean restaurants in Seoul and Gyeonggi-do (including Incheon). Meanwh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hypothesis test are as follows. In hypothesis (1), it was predicted that the quality of service (food quality, employee service, physical environment)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is shown that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service,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Analyzing this by factor, food quali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followed by employee service and physical environment. Therefore, I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 is a major predictor having a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Hypothesis (2) predicted that the quality of service (food quality, employee service, physical environment)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loyalty. As a result of verifying this, the customer's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 quality of food and the service of the staff were better,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had a relatively small effec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food or the service of employees, rather tha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Korean restaurant, is a major predictor of customer loyalty. Hypothesis (3) predict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loyalty. As a result of verifying this, it is shown that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customer loyalty. In other words, I found thatsatisfaction of customer visiting Korean restaur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Therefore, to meet their customer satisfaction, Korean restaurants need to find a way to satisfy their customers by improving their services and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visiting Korean restaurant, managing the physical environment, food quality, and staff service is necessar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thoroughly manage food quality and staff service. In order for the Korean restaurant to have a dominant position, different strategies such as selection of ingredients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a menu for vegetarians are needed. In addition, they should try to develop foods that go well with wine, traditional Korean foods that take advantage of natural ingredients, and various healthy foods. They should improve customer’s satisfaction by providing high-quality food and environment, and friendly service of employee by each store. Through this study, I had a strategy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First, it is necessary to compose a representative menu of Korean food that is cheap but has good quality by understanding the consumer's consumption tendency. Next, systematic service training, development of menus using eco-friendly materials, and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continuously practiced. Also, in order for Korean restaurants to be competitive, it is important to cope well with customers' changing consumption tendencies and accurately understand their consumption needs.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are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new target markets and marketing strategies. 최근 컴퓨터 및 정보기술(IT)의 발달로 기업에서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성과 수익성을 향상으로 호텔들도 경영에 필요한 호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호텔에서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은 각 부서, 시스템 그리고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의 품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품질은 각 부서들 간에서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고객 서비스를 위한 정보의 생성과 흐름, 그리고 각 부서 간 이루어지는 정보의 공유 관계 및 각 부서별로 고객 서비스를 위하여 활용하는 정보의 유형과 품질 등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을 위한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 관리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 호텔 정보시스템 품질에 의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국내 4성, 5성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20년 4월 1일부터 4월 21일 3주간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2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21부를 제외하였으며 4성 호텔 172부, 5성 호텔 31부가 회수되어 총 203부의 설문지를 분석해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에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설 1은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요인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호텔 정보시스템 품질의 하위 요인 중 시스템품질과 정보 품질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품질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그리고 시스템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품질은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가설 2는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요인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의 하위 요인인 시스템품질과 서비스품질은 직무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품질은 직무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그리고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스템 품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 되었다.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 되었다. 가설 3은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다’이며 자기조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 되었다. 가설 4는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어,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5는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며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어,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에서 세 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된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은 자기효능감의 두 가지 요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서비스 품질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정보품질은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제 해결을위해 종사원 스스로 극복해나가는 자신의 모습을 통하여 자기 효능감이 높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호텔 종사원들의 직접적인 정보공유와 업무지식은 팀원 사이에서 원활하고 긍정적인 지식공유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분위기가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호텔 종사원 동료간에 지식공유를위해서 경영성과에 대한 실무적인 방안으로는 호텔 내 실무공동체 팀을 형성하셔 발전을 지원하는 것이 있다. 둘째,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에서 세 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된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은 직무스트레스의 두 가지 요인인 ‘직무요구’과 ‘직무자율성결여’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정보 품질은 직무요구에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서비스품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호텔종사원은 인적서비스의 비중이 높은 관계로 다양한 고객을 접함으로써 직원의 과다 업무 스트레스가 높아 질 경우 적절한 휴식을 취해서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시킬 필요성이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두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된 ‘자신감’과 ‘자기조절’은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의 두 가지 요인인 ‘직무요구’과 ‘직무자율성결여’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가운데 자기조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업무가 종사자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스킬이 높으면 업무에 대한기대치가 높아져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가 높아 질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종사원의 직무수행이 자기효능감 통해서 기대치를 적절하게조절할 수 있다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데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통해서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나는 선행연구의 중요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사원들이 자기 업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정을 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개발, 개별 상담 등을 통하여 종사원에게 무리한 부담과 긴장감의 조성은 지양하고, 그들의 열의와 의욕을 가지고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여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성 과가 높아짐으로써 경영의 효율성 및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상과 같이 호텔정보시스템 품질에 의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호텔기업은 호텔정보시스템 품질 향상과 더불어 호텔종사원들의 자신이 맡은 임무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서 호텔종사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해서 직무성과에 맞는 방법을 찾아서 종사원들에게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환경축제의 교재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선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s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emphasizes the affective aspect for cultiva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inducing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rather tha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Accordingly, getting out of conven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we need learning strategies that induce active learning through the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by selecting integrated and localized teaching materials and promoting learning based on field experiences.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which use highly indigenous natural environments,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intensively and provide compressed experiences, and by doing so, they can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Taking note of thi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current state of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s teaching materials for attaining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purpose, we classified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throughout the country,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festivals, and designed a program for 3rd graders using a number of environmental festivals suitable in terms of time and contents selected among local festivals in Cheongwon-gun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program. When local festivals in Korea were surveyed focused on festival name, theme(environmental resource), and the contents of major events, there were 256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nd according to theme, the festivals were mostly related to weather, plant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mphasizing the clean image of the locality, or local special products. Most of the festivals were held from March to May, the flowering season, or in October, the peak time for enjoying autumn leaves. Gangwon-do and Chungcheong-do had the largest number of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very province except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had festivals every month. When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festivals Muju Firefly Festival and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were surveyed and investigated, they were composed of experiential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provide various activities of ecological observation and inquiry based on their local natural environments and environment-friendly images. We designed a program using the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in Cheongwon-gu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such as learners’ understanding of local environment,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their change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of investigating and experiencing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was effective in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local natural environment. Second, field experiences through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induced higher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earners. Thus, this program can stimulate learners’ activeness and spontaneity. In addition, positive aspects were observed i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itself. This suggests that the program inducing learners’ activeness and spontaneity is a teaching material suitable for making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substantial. Third, learners, who had been indifferent to local environment and whose environmental sensitivity had been low, expressed their interest in and affinity for natural environment and showed an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ased on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Thus, it was found that making learners take interest in the elements of natural environmen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right attitude toward environment and such an effect is enhanced through activities experiencing environment directly. Accordingly, in order to practice substantial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we need to utilize local materials that induce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earners through direct experiences, and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re considered meaningful teaching materials for attaining educational effec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근래 학교 환경교육은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습득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환경에 대한 감수성 함양과 친환경적 태도 변화를 유도하는 정의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환경교육에서 벗어나 통합적이고 지역화된 교재를 선정하고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여 자기환경화 과정을 통한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학습전략이 필요하다. 지역 환경축제는 지역의 향토성이 강한 대표적인 자연환경을 소재로 하여 지역 사회의 특징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며 압축적인 경험과 체험을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지역의 환경축제의 실태를 파악해 보고 지역 환경축제를 환경교육 목표 실현을 위한 교재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국의 지역 환경축제를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한 후 그 중 청원군의 지역축제에서 시기와 내용이 적합한 환경축제를 선정하여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전국의 지역축제 중에서 축제명, 주제자원, 주요 행사 내용을 중심으로 파악해본 결과 지역 환경축제는 256개에 달하였으며 주제(환경)자원에 따라 기후, 식물과 관련된 축제와 지역의 청정 이미지를 살린 친환경농산물이나 지역특산물 축제가 가장 많았고, 개화시기인 3월에서 5월, 그리고 단풍이 절정기인 10월에 대부분 개최되고 있었으며 강원도와 충청도에서 환경축제가 가장 많이 개최되었고, 서울과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전국에서 매월 축제가 개최되고 있었다. 그 중 전형적인 환경축제인 무주 반딧불축제, 함평 나비축제와 푸른청원생명축제를 답사하고 조사한 결과 지역의 자연환경을 그대로 축제의 장으로 활용하여 친환경적 이미지를 살린 다양한 생태관찰과 탐구활동이 가능하고 교육적 효과를 위한 체험 활동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실제로 청원군 지역의 환경축제를 활용한 프로그램 적용에서는 지역 환경의 이해,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 환경적 감수성과 친환경적 태도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역 환경축제에 대해 조사하고 체험하는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지역의 자연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인식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지역 환경축제를 통한 현장체험학습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높은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이끄는 학습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자체의 평가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면을 나타내며, 학습자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이끄는 프로그램은 학교 환경교육을 내실화 하는 데 적합한 교재임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주변 지역의 환경에 관심이 적고 환경적 감수성이 낮은 행동을 하던 학습자들이 지역 환경축제를 활용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자연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친화감을 표현하였으며 친환경적 태도를 보이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즉, 자연환경 요소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하는 것이 환경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치며 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 더욱 활발하게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내실있는 학교환경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는 직접 체험을 통한 학습자의 흥미와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지역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 환경축제의 활용은 의미있는 환경교육 교재로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위성정사영상 생성을 위한 딥러닝 기반 템플릿 매칭 기법 개발

        성선경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술의 발전과 많은 위성의 발사로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정밀 기하보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원격탐사 영상과 GCP(Ground Control Point) 칩을 일치시키는 기하학적 보정을 위한 이미지 일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이미지 매칭 방법은 이미지의 모서리와 같은 특징점에 의존하는 특징 기반 방법과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평가하는 영역 기반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영상처리 방식을 통해 영상매칭을 적용할 경우 위성영상의 촬영시간, 시야각, 기상조건의 변화에 따른 그림자, 기복변위, 분광정보의 차이로 인해 기하학적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두 이미지에서 특징을 추출하고 유사도를 계산하는 딥러닝 기반 템플릿 매칭 네트워크가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매칭 결과를 결정하기 위해 다중 해상도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특징 맵을 통합합니다. 실험에서는 정사보정된 항공 및 위성 이미지를 사용하여 훈련 및 실험 자료를 생성하여 매칭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은 기존의 매칭 방식에 비해 영상의 종류와 기상 조건에 따른 매칭 결과의 오차가 최소화됨을 보였다. In order to utiliz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with advances in technology and the launch of many satellites, high-accuracy geometric correction should be required. Researchers have developed image matching algorithms for geometric correction, which involve matching the remotely sensed satellite image with Ground Control Point (GCP) chips. Traditional image matching methods can be categorized into feature-based methods, which rely on feature points such as corner points of images, and area-based methods, which evaluate the similarity between images. However, when applying image matching through traditional image processing methods, geometric errors can occur due to differences in shadow, relief displacement, and spectral information caused by variations in satellite imaging time, viewing angle, and weather conditions.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template matching network was proposed. It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wo images by extracting features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In the proposed algorithm, feature maps are integrated using a multi-resolution approach to determine matching results. In the experiments, training and test datasets were generated using orthorectified aerial and satellite images to assess the matching potential across various characteristics of images. As a result, the proposed algorithm demonstrated minimal errors in matching results according to the image type and weather condition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atching method.

      • 딥러닝 기반의 영상분할을 이용한 Landsat 8 영상과 PlanetScope 영상의 구름탐지기법

        성선경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atellite imag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they can observe periodic information in a wide area. However, because an optical satellite image represents reflected energy that is reaching the sensor by being reflected from the sunlight to the surface, it is impossible to acquire the surface reflectance in the area where a cloud is present. Therefore, to effectively use satellite image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presence of clouds in the images. In this study, cloud detection methods using image segmentation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were applied and evaluated for Landsat 8 and PlanetScope satellite images. The training dataset was constructed using the clouds’ information in the Landsat 8 satellite imagery, followed by the training of a deep learning model via the training dataset. The deep learning model was fine-tuned using PlanetScope satellite images in the pretrained deep learning model. The experiment confirmed that a deep learning model can effectively detect the cloud region in the Landsat 8 and PlanetScope satellite images.

      • 블렌디드 러닝 체육수업 실행 연구 : 경쟁 영역을 중심으로

        성선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체육수업 중 경쟁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한 실행 연구로 블렌디드 수업 계획, 운영, 평가 측면의 문제점 및 어려움을 분석하여 체육수업의 개선 방향 및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20년 1학기부터 2021년 1학기까지 3학기의 경쟁 영역의 체육수업에 관해 연구자의 수업 계획서, 교수‧학습과정안, 수업 반성일지, 수업영상과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블렌디드 러닝 경쟁 영역 체육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 방향 및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 경쟁 영역 체육수업의 구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경쟁 영역의 평가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 경쟁 영역 체육수업을 위한 공동체적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that analyzed competition areas among sports classes which applied blended learning. By analyzing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that occurred in blended class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s and measures to improve sports classes. The following study analyz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competition field for 3 semesters in total,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0 to the first semester of 2021, focusing on the researcher's syllabus and class plan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class reflection reviews, class video, and data. The improvement directions and measures to revitalize sports classes in the blended learning competition area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aling with the composition and use of sports classes in the field of blended learning competition is necessary. Second, due to Covid pandemic, new method of evaluation is necessary which can cover both remote classes and school classes. Lastly, communal efforts are needed for successful sports classes in the field of blended learning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