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인 가구의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 분석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5기 조사(2007년-2012년)를 중심으로

        반영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1인 가구가 최근에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건강 증진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혼자 사는 1인 가구는 질병 이환의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다. 그러므로 1인 가구는 건강 증진 측면에서 고위험군이다. 우리나라는 저부담-저급여 건강보험정책과 낮은 보장성으로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보건의료의 형평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충족 의료 경험에 주목해야 한다. 건강행동특성에 있어서 고위험군이 1인 가구의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1인 가구의 미충족 의료 경험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거나 1인 가구의 건강관리에 대한 합리적인 보건의료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4기(2007-2009), 제5기(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건강설문조사에 응하였던 만 19세 이상인 총 38,005명 중 가구원수가 1인이라고 답한 2,3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1인 가구 미충족 의료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변수를 설정하였다. 기술분석과 Survey특성을 고려한 Rao-scott chi-square 검정과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에는 SAS ver. 9.4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2,390명의 1인 가구 중 최근 1년 동안 미충족 의료 경험이 있는 723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28.3%였다. 미충족 의료 경험여부에 대한 인구사회적요인과 건강행태요인을 Rao-scott chi-square 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여성인 경우, 70세 이상인 경우, 결혼 경험이 있는 경우,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충청 · 전라/제주 · 경상지역인 경우, 저소득인 경우, 의료급여인 경우의 미충족 의료 경험률이 높았다. 그리고 비음주자, 비흡연자, 만성질환이 있는 자, 주관적 건강인식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경우, 스트레스가 많은 경우, 우울한 경우, 자살생각을 한 경우 미충족 의료 경험률이 높았다. Survey특성을 고려한 logistic regression 결과, 결혼 상태에서 미혼인 경우보다 사별한 경우 미충족 의료 경험률 교차비가 0.49였다. 균등화 월가구소득에서 30만원 이하 소득에 비해 50-100만원 소득군의 미충족 의료 경험률 교차비가 0.64였다. 주관적 건강인식이 좋은 군에 비해 나쁜 군의 교차비는 1.91이었다. 스트레스에서는 ‘거의 느끼지 않음 군’에 비해 ‘많이 느낌’, ‘대단히 많이 느낌’의 교차비는 1.82, 1.99이었다. 2주 이상 연속 우울감은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의 교차비는 1.44이었다. 1년간 자살생각은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의 교차비는 1.77이었다. 이 연구는 1인 가구만을 대상으로 인구사회적요인과 건강행태요인을 광범위하게 보정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특히, 만 19세 이상의 1인 가구의 미충족 의료 현황을 포함하였고, 최근 6개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의 미충족의료 관련 요인이 인구사회적 요인보다는 주관적 건강인식,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의 건강행태변수 중 정신건강요인이 미충족 의료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기존 연구에서 도출된 미혼, 저학력, 저소득층 미충족 의료에 대한 대책뿐만 아니라, 인구사회적요인 보다 건강행태요인 중 특히, 1인 가구의 기존연구에서 언급된 정신건강 요인인 주관적 건강인식,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생각 요인에 대한 대책을 정책에 반영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increased drastically over the last few years. The social interests for the health promotion is increasing. Single-person households can be one of risk factors which influence a morbidity. In terms of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be ranked as a high-risk group. The public health insurance of South Korea has the low coverage of the low burden and low payment policy. Therefore, it is a barrier to use the necessary healthcare services. To understand the fairness of health care service, the unmet health care experience must be noticeable. We have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the unmet health care related with the health behavior factors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ways to reduce the unmet healthcare experience of single-person households for the future, and we presented the basic data to provide a reasonable health care policy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health management. Forth (2007-2009) and 5th (2010-201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used. Two thousand three hundred and ninety single-person households out of the total 38,005 people who are aged more than a full 19-year-old were subjected. Through the discussion of previous studies, we set the variable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single-households unmet medical experience. The technical analysis, the Rao-scott chi-square considering Survey character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nderwen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AS version 9.4 was used. Results, Six hundred fifty-six people who had the unmet medical experience are 28.3% among 2,390 single-person households. The social factors and the health behavior about the unmet medical experience were analyzed using Rao-scott chi-square test. The people who are women, have a marriage experience, live in Chungcheong, Jeolla and Jeju, have low education level, have low income, receiving a medicaid showed the higher unmet medical experience rate. The people who are non-drinker, non-smoker, have a chronic disease, have low cognizance of their health awareness, with high stress, with depression, ever had suicidal ideation showed the higher unmet medical experience rate. The logistic regression considering the survey characteristics resulted that the odds ratio of the unmet medical experience rate of the unmarried women-group was 0.49 compared to the widows-group. The odds ratio of the unmet medical experience rate of the 500,000 to 1000,000-won income group was 0.64 compared to 300,000-won or less income group in the equalize monthly income. The odd ratio comparing the group of high cognizance of subjective health awareness with the group of low was 1.91. In the stress, the odds ratio comparing ‘feeling not much’-group compared to the ‘feeling a lot’-group and ‘feeling much’-group were 1.82, 1.99. The odds ratio comparing ‘continuous depression more than two weeks’-group to ‘non-continuous depression more than two weeks’ was 1.44. In the case of comparisons of ‘one-year suicidal ideation’-group and ‘non-suicidal ideation’-group, the odds ratio was 1.77. The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only subjected to this study.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health behaviors factors were adjusted and analyzed in several ways. Especially, It includes the unmet medical situations of over 19 years-old single-person households. We analyzed the KNHANES combined data of the last six-years.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 health behavior factors, stress, depression, and the suicidal ideation are related to the unmet health care rather than socio-demographic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the unmet medical for the people with never married, low education and low income, which is derived in the existing research. In addition, psychological factors among other factors of health behavior than the socio-demographic, such as subjective health consciousness,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hould be consider with top pri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