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velopment of Car Following Model of Adaptive Cruise Controlled Vehicle Considering Human Factors in Ubiquitous Traffic : 유비쿼터스 교통환경 하의 Human Factors를 적용한 첨단차량 추종거동모형의 개발

        박희제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추종거동상황에서 추종차량 운전자의 안전성과 안락함을 고려하여 Human Factors를 적용한 추종거동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uman Factors를 적용하기 위하여 실제 운전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Fuzzy 모형을 구축하였다. Fuzzy 모형은 운전자 개별 특성, 환경적 요소, 두 차량사이의 물리적 요소에 기인하여 구축하였으며 Fuzzy 모형에 의해 측정된 출력값을 추종차량 운전자의 불안감도, 즉 MOA(Measure-of-Alarm)으로 정의 하였다. 개발된 추종거동 모형인 HGM모형은 Fuzzy 모형에 의해 측정된 MOA를 기 개발된 GGM모형에 적용한 형태이다. 이때 HGM모형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운전자의 MOA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추종거동에 반영한 모형으로서, 운전자 MOA가 허용MOA보다 커지면 MOA를 경감시키고, 운전자 MOA가 허용MOA 이내이지만 두 차량 간 거리가 비효율적으로 넓으면 두 차량 간 거리를 효율적으로 감소시켜 운전자의 안전과 도로이용효율을 동시에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한 HGM(Human Factors GM)모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 개발된 GGM(General GM)모형과 동일한 시나리오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선행차량과의 상대거리에 관계없이 속도가 동일하면 추종을 그대로 유지하는 GGM모형과 달리, HGM 모형은 선행차량과의 상대거리가 SR 이하 또는 이상이면 상대거리를 SR만큼 넓히거나 좁힌 후 추종상태를 유지하였다. 또한 GGM모형은 상대거리와 속도에 따라 높은 MOA를 유지하는 반면, HGM모형은 MOA를 허용 MOA까지 경감시켜 추종거동을 유지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결과를 통해 운전자MOA의 경감과 도로의 효율적 이용측면에서 HGM모형이 GGM모형에 비해 더욱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HGM모형의 개발이 운전자의 안전성과 안락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도로이용 효율성을 높임으로서 첨단차량의 현실화를 더욱 가속화 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 GSK-3β억제제는 cisplation으로 유도한 청각세포독성을 약화시킨다

        박희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GSK-3는 세포괴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청각계에서 GSK-3의 역할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GSK-3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SB216763과 LiCl가 cisplatin으로부터 청각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HEI-OC1 세포에 cisplatin을 처리하자 GSK-3가 활성화되었다. SB216763과 LiCl를 전처리 했을때 cisplatin으로 유도한 세포괴사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caspase-9, -8, -3를 활성화 시켰다. SB216763과 LiCl를 처리했을때 cisplatin으로 자극한 코르티 기관이 세포괴사로 부터 완전히 보호됨을 알 수 있었다. cisplatin에 감작된 마우스에 SB216763과 LiCl를 투여하자 마우스의 와우기관이 보호되었고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1β, IL-6의 분비를 억제 하였다. 게다가 청각계뇌간반응역을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cisplatin으로 유도한 내이 신경독성과 GSK-3의 관련가능성을 시사한다. Glycogen synthase kinase-3 (GSK-3)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apoptosis. However, the role of GSK-3 in the auditory system remains unknown. Here we examined whether the GSK-3-specific inhibitors, SB 216763 and LiCl, could protect against cisplatin-induced cytotoxicity of auditory cells. GSK-3 was activated by cisplatin treatment of HEI-OC1cells. SB 216763 or LiCl treatments inhibited cisplatin-induced apopto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ctivated caspase-9, -8and -3. In rat primary explants of the organ of Corti, SB 216763 or LiCl treatments completely abrogated the cisplatin-induced destruction of outer hair cell arrays. Administration of SB 216763 or LiCl inhibited cochlear destruction and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interleukin-1-beta (IL-1) and IL-6 in cisplatin-injected mice. Furthermore, administration of SB 216763 or LiCl reduced the thresholds of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in cisplatin-injected mice.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isplatin-induced ototoxicity might beassociated with modulation of GSK-3 activation.

      • SCIENCE IN PUBLIC : TRENDS AND DETERMINANTS OF PUBLIC ATTITUDES TOWARD SCIENCE

        박희제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1 해외박사

        RANK : 247631

        As science and technology have exerted their influence across the whole range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contemporary society, the question of how the public perceives science has attracted growing attention from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social scientists. This dissertation addresses this question by examining the social determinants of public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 trends of these attitudes. Using the U.S.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Survey and the General Social Survey,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effects of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the amount of educa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gender, race, income, the general tendency to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nd political ideology, along with other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attitudes toward science in general and on attitudes toward specific applications of scientific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the deficit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and support for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attributes public skepticism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to the public's low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This study shows that emphasizing the effect of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while ignoring the effect of other dimensions of education exaggerates the role that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plays in shaping attitudes toward science.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on attitudes toward specific controversial applic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far weaker than that on attitudes toward science in general, which demonstrates the limitation of the deficit model as an explanation of public resistance to controversial sciences and technologies. By analyzing trends in public attitudes toward science among survey data accumulated for three decades, this study also tests whether public confidence in science has declined, as is claimed by many scientists and theories of late modernity, and examines whether the overall trends mask some diverging trends across important social groups. The trend analysis shows that while public confidence in science has been quite stable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e gap across race and educational levels tended to increase during the 1990s.

      • 문화기반 도시재생 : 인천아트플랫폼을 중심으로

        박희제 인천대학교 문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주의론자들은 인간이 환경의 산물이긴 하지만 자신의 경험을 타인과 공유하고 다음 세대에 문화를 전승시키며 스스로 역사를 만들어 나가는 존재로 인식한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는 사회질서를 전달하고 재생산하며, 경험되고 체험되는 의미 체계이자 삶의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도 문화라는 코드를 가지고 변신하고 있다. 20세기 도시가 무분별한 팽창을 통한 양적 성장을 거듭했다면 21세기 도시는 지속가능한 문화생태계 구축을 통해 유기체와 같은 개성을 지니려 노력하고 있다. 문화와 예술이 지닌 창조성을 바탕으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으려 하는 것이다. 창조도시가 되려면 기본적으로 시민들의 문화활동이 가능한 인프라를 잘 갖춰야 한다. 예술가와 기획가, 시민들이 이런 자원을 바탕으로 열린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문화예술콘텐츠를 개발하고, 활용하면서 진화시키는 지역공동체를 형성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선 신도시 건설에 이은 재개발·재건축 열풍이 불었고, 이후 지역균형개발이란 미명 아래 지역 역사와 문화를 별로 고려하지 않은 도시재생사업이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장소성이 사라지고, 획일적인 공간재편 방식의 ‘도시 수술’이 이뤄지는 수많은 현장들을 목도하고 있다. 이런 지역에선 주민들이 사업 과정에서 소외된 채 개체로 전락하고, 역사·문화적 가치를 살린 공간이나 장소 재생보다 토건주의적 도시개발을 주도했던 부동산 논리가 여전히 강하게 작동하고 있다. 도시재생 효과 덕분에 도심공동화와 지역상권 위축에서 탈피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결과적으로 갭 투자자 등 자본가들에게 이득이 돌아가고, 재생주체인 주민과 예술가들이 상승하는 부동산 가격을 감당하지 못하고 재생지역에서 쫓겨 나가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본 논문은 도시 쇠퇴와 노후화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되는 문화기반 도시재생사업의 성공 경로를 찾기 위한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했다. 문화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고 있으나 내적 준비를 갖추지 못한 채 성공 모델의 복제와 이식에 급급한 도시재생 사례가 비일비재하다보니 독창적 개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문화재생시설로서의 정체성과 창조성을 발현하려면 재생공간의 기억과 흔적을 장소적 가치로 되살려 내고, 역사문화자원을 현재적으로 스토리텔링할 수 있는 동시대적 감각이 살아 움직이는 소프트웨어가 작동해야 한다. 이는 하향식 사업 추진 방식이 아니라 주민과 예술가들이 재생주체로 참여해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하드웨어 위주의 도시재생 방식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 휴먼웨어가 잘 어우러진 재생공간이라야 지속가능한 문화생태계로 공진화(coevolution)할 수 있다. 인천항 개항기에서부터 일제강점기에 걸쳐 지어진 옛 건물들이 수백 채 몰려 있는 개항장문화지구에서 쇠퇴하는 원도심을 살리기 위한 인천의 1호 문화기반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됐다. 인천아트플랫폼이 그것인데, 동아시아 문화허브도시를 만들기 위한 문화거점을 형성한다는 목표 아래 10년 전 문을 열었다. 120년 전 창고를 리모델링해 2개 구역의 ‘스트리트 형’ 예술공간으로 재탄생시킨 이후 매년 30~50명의 예술가들이 창작스튜디오인 레지던시에 머물게 되고 이들의 창작 결과물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시, 공연, 교육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공공예산으로 건립·운영되는 도시재생시설인 만큼 문화적 기능을 담는 새로운 장소이자 플랫폼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특정 공간의 역사·문화적 요소를 기반으로 기존 건축물이 변형되더라도 새로운 현재적 가치가 부여되기 위해선 치밀한 계획 하에 작가 협업과 주민 참여가 필수적이다. 화석처럼 남아 있는 옛 흔적과 기억에 생명을 불어넣는 작업이 결실을 맺기 쉽지 않고,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낡은 도심의 채취를 살린 공간에서 상업적 논리가 아닌 열린 시각으로 상상력과 호기심 넘친 창작활동이 펼쳐지고 예술가와 기획자, 관객, 주민이 소통하고 교감하는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돼야 한다. 레지던시에 입주한 작가들이 자율적이고 창의적 활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되 지역과 교류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돼야 한다. 입주작가와 지역기반 작가와의 유기적인 협업작업이 이뤄질 수 있는 기획력도 갖춰야 한다. 예술가 레지던시를 활용해 지역의 창조성과 쇠퇴한 원도심을 활성화하려는 공간은 인천아트플랫폼 외 서울 금천예술공장, 경기창작센터, 대구문화창조발전소 등 전국에 수두룩하다. 정부는 지역문화진흥법에 근거해 사회문화중심형, 문화산업중심형, 지역자율형, 역사전통중심형 등 4개 부문의 문화도시를 2020년까지 30곳 정도 지정하려고 한다. 본 논문은 장소성, 동시대성, 시민성 가치를 토대로 물리적 개선의 한계를 넘어 도시 활성화를 위한 양적, 질적 변화를 추구하려는 문화기반 도시재생사업의 의미와 성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인천아트플랫폼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으면서 근대건축물이나 산업유산을 활용해 문화기반 도시재생사업을 펼치고 있는 전북 군산시 근대역사문화벨트화사업지구, 전북 전주시 팔복예술공장, 경기 동두천시 캠프보산관광특구 내 두드림디자인아트빌리지 조성사업지구 등 3곳과의 공통점과 차별성을 비교했다. 이들 지역에서는 역사, 문화, 예술을 매개로 한 공공주도 도시재생사업이 의욕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정체성과 창조성 측면에서 여러 한계점과 보완점을 드러내고 있다. 인천아트플랫폼 운영 실태와 재생효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관람객 및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와 전문가 및 주민과의 심층면접 등 양적, 질적 조사를 병행해서 실시했다. 연구자는 이런 분석을 통해 지역과의 교류 및 소통 확대를 통한 시민성 강화, 개항가치를 잇는 시대정신 발현, 창작자들의 실질적 협업 네트워크 형성, 혁신적 운영 시스템 구축 등 4가지를 인천아트플랫폼 발전방안으로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