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EVC 부호화기 성능 향상을 위한 적응적 참조 구조 변경 방법

        목정수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부호화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응적 참조 구조 변경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입력 영상 내에 장면 전환, 장면 회전, Light on/off, Fade in/out 등의 이벤트 발생 시 저하되는 화면 간 예측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참조 픽쳐 리스트를 수정하여 참조 구조를 변경한다. GOP (Group Of Pictures) 단위로 한정된 계층적 참조 구조에서 영상 이벤트가 발생한 픽쳐를 기준으로 두 개의 서브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서브 그룹 내에서 참조 픽쳐를 결정한다. 이를 통해, 시간적 중복성이 높은 참조 픽쳐를 화면 간 예측에서 사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HEVC의 계층적 부호화 구조 특징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후 처음으로 부호화되는 픽쳐를 CRA (Clean Random Access) 픽쳐로 변경하여 부호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이벤트 발생 후 처음으로 부호화되는 프레임은 화면 내 예측이 매우 높은 확률로 선택된다는 통계적 특징을 기반으로 화면 간 예측을 수행하지 않는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적응적 참조 구조 변경 방법은 HM 16.0 대비 CTC (Common Test Condition)에서 평균 0.3%의 BD-rate를 개선하였으며 부호화 속도는 평균 4.9% 향상시켰다. 또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픽쳐 타입 변경 방법은 평균 0.11%의 BD-rate 저하로 평균 12.2%의 부호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adaptive reference structure decision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encoder. When the event occurs in the input sequence, such as scene change, scene rotation, fade in/out, or light on/off, the proposed algorithm changes the reference structure to improve the inter prediction performance. The proposed algorithm divides GOP (Group Of Pictures) into two sub-groups based on the picture that has such event and decides the reference pictures in the divided sub-groups. Also, this paper proposes fast encoding method which changes the picture type of first encoded picture in the GOP that has such event to CRA (Clean Random Access). With the statistical feature that intra prediction is selected by high probability for the first encoded picture in the GOP carrying such event, the proposed fast encoding method does not operate inter prediction.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adaptive reference structure decision method improves the BD-rate 0.3% and reduces encoding time 4.9% on average under the CTC (Common Test Condition) for standardization. In addition, the proposed reference structure decision method with the picture type change reduces the average encoding time 12.2% with 0.11% BD-rate loss.

      • LabWindows/CVI를 이용한 PPCS 단말기 측정 방법

        목정수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9

        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측정기술의 발전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계측기(Traditional Instruments)는 계측기 제조자가 기능을 정의한 계측 시스템(Vendor-defined Instruments System)방식이라면, 가상 계측기(Virtual Instruments)의 기능은 사용자가 기능을 정의한 계측 시스템(User-defined Instruments System)방식이다. 또한 가상 계측기의 처리성능은 기존의 독립 고정(Off the Shelf)된 도구들에 비하여 훨씬 막강하다. 사용자 정의 가상 계측기의 이점은 제조자가 아닌 사용자가 계측기의 궁극적인 기능을 정의한다. 보행정지용 PPCS(Privat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를 생산하여 제품으로 소비자의 손에 넘기기 위해서는 수많은 공정을 거처야 한다. 공정 중에서 성능을 측정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에서는 PPCS 단말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Test Fixture를 설계, 제작하였다. 또한 계측기를 선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계측기 연결도를 설계하고,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 계측화 시스템인 LabWindows/CVI(C for Virtual Instrumentation) 응용프로그램과 계측기에 각각 내장된 GPIB 인터페이스를 조합하므로 빠른 처리속도와 복잡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PPCS 단말기 측정을 구현하였다.

      • Structuri si functii ale locutiunilor verbale in limba romana contemporana : analiza constructiilor cu verb suport (CVS)

        목정수 Universitatea din Bucuresti 1996 해외박사

        RANK : 248623

        본 박사학위 논문은 불어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불란서 어 휘문법의 방법론을 원용하여 루마니아어의 기능동사구문을 총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구문의 통사적 특성(변형적 속성과 분포적 속성)을 밝히고 그 유형을 분류해 보는 데 주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은 다음의 몇가지 사실의 관찰에 의해 출발되었다. 첫째, 루마니아 어에서도 종합적 성격의 동사구문에 대해 분석적인 기능동사구문이 상당히 생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이러한 유형의 기능동사구문에서 기능동사와 서술명사의 관계를 일방적으로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셋째, 언어마다 동일한 서술명사에 대해 기능동사의 비대칭이 나타난다. 넷째, 외국어 습득시 이러한 기능동사 구문과 관련하여 많은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위에서 간략히 살펴본 관찰들은 이러한 유형의 기능동사구문의 총망라적이 고 체계적인 분석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작업은 전통적으로 산만하고 비일관적으로 동사숙어구(verbal locution)나 표현구(Expr-ession)라는 명칭으로 연구되었던 관용구들과 기능동사구문의 상이성을 밝혀그 독자적 영역을 설정하고, 일반 타동사구문과 구별지어주는 특성을 정립하 는 일일 것이다. 논문의 제2장과 제3장은 이런 작업에 할당된다. 논문의 제4장은 기능동사구문의 분석을 통하여 밝혀지는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사실들을 제시하고, 특히 명사화를 보는 시각에 새로움을 제공한다. 제5장에서는 귀납적으로 축적된 자료를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유형별로 분 류해본으로써 현대 루마니아어에서 기능동사구문이 어떤 양상으로 실현되고 있는가를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을 통해 이루어진 작업은 결국은 한 언어의 동사구문을 한 어휘가 실현되는 문장속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통사적 특성을 통해서 보여 주고자 하는 어휘문법의 실천적 작업인 사전편찬 작업으로 자연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외국인으로서 처음 시도된 본 논문은 처음부터 한계를 지니고 시작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본 논문이 루마니아어학계에 이런 작업의 필요성을 환기시키는 전환을 마련했다고 보며, 실질적으로도 장차 필요 한 루마니아어-한국어 사전 편찬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e investigation of laminar name structure has a significant role in the modeling ofturbulent combustion by introducing the namelet concept that is valid under cenain conditions.Several aspects of the lanlinar names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nd nunlehcally. Systematically reduced reaction mechanisms are useful in reducing the computationaleffort with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for investigating narne structure byasymptotic methods. Such advantages are applicable in the simulation of turbulent reactingnows in which the magnitudes of the time scales of the nuctuating now field rapidly. reduced mechanism is derived Hames. The mechanism has beenvalidated by comparison of the Hame structures and burning velocities and fDund to k in good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Stretched laminar name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modeling ofturbulent combustion with laminar Hamelet concept in recent years. They become useful byconsidering the hct that the local Hamelets correspond to a distribution of strained rates·rrhename structure determines the distribution of heat release across a name front. Therebre,attention is focused on the impact of suppressants on the radiative heat loss from a name andgaining insight into the complex interactions that impact the global heat release in names. Transient processes can have a beneficial influence on pollutant forITlation. For thisreason, we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NOx emission in a burner stabilized Hame under theefkct of acoustic waves. NO2 emission intensities are investigated at various hequenciesusing a nonintrusive measuren]ent technique. This diagnostic device can be made as pan of afeedback loop for automated control of combustion systems. Flame-vortex interaction studies are perbrmed with a simplined model employing thefield or interface equation. The purpose is to exanline changes in name shape and structurecaused by a vodex, and its innuence on the NO enlission index. XX1l

      •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區別詞 대조 연구

        최청화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本文从对照语言学的角度对韩国语冠形词和汉语区别词在形态论和统辞论的特征两个方面上进行比较分析,意在发现其共同点和差异点。从概念上看,冠形词和区别词有很多共同点,具有对比研究的价值。但是由于二者分别属于不同的语言体系,因此也存在着很多差异。 两国语言学界对冠形词和区别词分别进行了大量的研究。关于冠形词,研究者们在语法地位,句法功能,实现环境等方面取得了丰硕的成果;关于区别词,学者们在其名称的由来,品词的归属,实现环境等方面进行了广泛的研究。但是,在韩国语语言体系中存在着相当数量的与冠形词的形态,机能,意义相同的词汇。对此,学者们各持己见,从而使得冠形词的品词范围设定成为语言学界一直争论的热点。同样,区别词在品词归属和品词范围设定的问题上,学者们的观点也是各不相同。另外,目前在韩国语和汉语中,纯语言学角度的对比研究业绩相对较少。本文首先将冠形词和区别词分别同各自语言中与其各自难区分的品词进行相区别,设定了其各自品词与其它词类相区别的基准,之后将范围设定后的冠形词和区别词从形态论和统辞论的特征上进行了对比和考察。 第二章首先对现有文献中提到的冠形词和区别词的概念及品词设定的问题进行了论述。在概念上,通过对冠形词和区别词在分布,机能及形态方面的特征的对比考察揭示了二者具有比较研究的价值。在设定问题上,主要揭示了在现有文献中冠形词和区别词主要存在的设定问题并考察了其产生的原因。 第三章根据第二章中总结的设定问题的原因,分别将冠形词和区别词在各自语言体系中同其它品词的区分情况进行了详细论述,进而提出了二者在各自语言中的品词划分界限的基准。根据重新设定的冠形词的划分基准,本文将原有的冠形词和冠形名词归为同一个词类词,即将他们看做独立的冠形词并说明了其原由。 第四章中,本文在前文设定好的冠形词和区别词的品词范围内选取了相当数量的词汇,从形态论和统辞论的方面进行的对比研究并找出了其共同点和差异点。在形态论上,主要采用了汉语的构词法形式分别从单纯词和合成词的角度对比了冠形词和区别词的构词特征。在统辞论上,主要对修饰机能,限定机能,是否能够与助词相连接和是否具有独立性方面的情况进行了考察。 在本文的研究过程中,先是重新设定了韩国语冠形词和汉语区别词的品词范围,进而揭示了这两类词在形态论及统辞论方面的共同点及差异点。在形态论方面,我们发现二者的单纯词构造在各词类中所占的比例很少,同时冠形词有固有词,而区别词没有。在合成词中,对于复合式的结构类型,我们发现冠形词和区别词都具有联合式,偏正式,动宾式和主谓式结构,而没有补充式结构;对于附加式的结构类型,冠形词的接尾词类型占多数,而区别词则是接头词居多;对于重叠式结构类型,在冠形词中尚未发现,而区别词中只发现“上上,下下”两个词语。在统辞论方面,冠形词和区别词在修饰机能,限定机能,助词的结合和独立性等方面的特征都是相同的,但在特殊的语言环境下,区别词有别于冠形词,可以做主语,谓语和宾语。 본 연구는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區別詞의 형태론적·통사론적 특성을 대조언어학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관형사와 區別詞는 개념을 통해 보면 공통점이 많은 만큼 대조 연구의 가치가 있다. 하지만 서로 다른 언어 차원에 속하기 때문에 차이점도 존재한다. 양국 언어학계에서 각각 관형사와 區別詞에 대해 많은 연구를 진행해 왔다. 관형사에 대한 문법적 지위, 통사적 기능, 실현 양상 등에 대해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고 區別詞의 명칭 유래, 품사 귀속, 실현 양상 등에 대한 연구도 계속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관형사는 같은 형태·기능·의미를 가진 단어와의 구분에 있어서 각 학자의 견해가 다르기 때문에 혼란을 빚고 있는 경우가 많고 區別詞의 품사 귀속 문제와 범주 설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 학자의 견해가 다양하다. 그리고 현재까지 기존 한국어에서나 중국어에서 두 품사에 대해 대조언어학적인 관점에서의 체계적인 연구 업적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형사와 區別詞가 다른 품사들과의 구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관형사와 區別詞의 범주 한계 설정 기준을 논의한 다음에 형태론적·통사론적 특성을 대비하여 고찰했다. 제2장에서는 기존 논의에서 언급한 관형사와 區別詞의 개념 및 품사 설정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개념을 통해서 주로 분포, 기능과 형태적 측면에서 관형사와 區別詞의 특징을 고찰하며 두 품사의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설정문제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의 설정문제에 있어서의 쟁점을 살펴보고 설정문제가 일어나는 이유도 전반적으로 고찰했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 이어서 설정문제가 일어나는 이유를 바탕으로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區別詞의 각각 다른 품사들과 구별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두 품사의 경계 범주의 판정 기준을 다루었다. 그리고 재설정된 한국어 관형사의 기준에 따라서, 기본 관형사와 관형명사를 한 품사 범주에 포함시켜 일괄적으로 관형사로 간주하는 이유와 관형사를 독립적인 품사로 설정해야 하는 이유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제4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확정한 관형사와 區別詞의 범주 안에 한정된 단어들을 중심으로 형태론적·통사론적 차원에서 서로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했다. 형태론에서 중국어 構詞法을 사용하여 單純詞(단순어)와 合成詞(합성어)로 나누어서 관형사와 區別詞의 단어 구조 특징을 밝혔다. 통사론에서 주로 수식 기능, 한정어 기능, 조사와의 결합과 자립성 측면에서의 대응 양상을 고찰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區別詞의 품사 범주를 다시 설정한 다음에 두 품사의 형태론적·통사론적 차원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형태론적으로 두 품사가 단순어 구조에서 각각 품사 차원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한국어 관형사는 고유어가 있지만 중국어 區別詞는 없다. 합성어에 대해서는 複合式(복합식) 유형에서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區別詞가 聯合식, 偏正식, 動賓식과 主謂식이 존재하지만 補充식이 없다. 附加式(부가식) 유형에서는 附加式(부가식) 관형사와 附加式(부가식) 區別詞가 접사로 구성되지만 附加式(부가식) 관형사는 접미형이 대부분이고 附加式(부가식) 區別詞는 접두형이 대부분이다. 重疊式(중첩식) 유형에서는 重疊式(중첩식) 관형사가 없고 重疊式(중첩식) 區別詞가 ‘上上(상상), 下下(하하)’ 두 개 밖에 없다. 통사론적으로 수식 기능, 한정어 기능 , 조사와의 결합과 자립성 등 측면에서 양상이 똑같지만 특수 언어 환경에서 區別詞가 주어, 서술어와 목적어의 기능도 할 수 있다는 점이 관형사와 다르다.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determiners and Chinese distinguishing words in morphologic aspect and syntactic aspect. It is valuable to study on comparison of determiners and distinguishing words because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from part of speech concept. But they have many differences as well because of different language dimensions. It is known to all of us that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o far about determiners and distinguishing words in the field of Korean and Chinese linguistics. For determiners, researchers made fruitful achievements from the linguistic status, syntactic function and aspect of realization. For distinguishing words, researchers also did a lot of research from origin of name, belonging problems and aspect of realization. However, many parts of speeches’ morphology, function and meaning are the same as the determiners in Korean linguistic area, so this makes researchers have different point of view about confirming the category of determiners, and also makes the category of determiners unclear. In the Chinese linguistic area, many researchers have different point of view about belonging problems and category establishment as well. Besides,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Korean determiners and Chinese distinguishing words are relatively rare from a purely linguistic perspectiv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studying the category of determiners and distinguishing words by comparing with other parts of speeches in each language dimension, and then comparing them in morphologic aspect and syntactic aspect. The second chapter focused on the concept and setting range of determiners and distinguishing words. At first, concepts of them were analyzed. Because both of them have something in common in distribution, function and morphology, research value of comparison was raised. Then, setting range of determiners and distinguishing words in existing researches and the reasons of existing different standpoints about setting rang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asons about setting range in chapter two, the third chapter talks about the differences of determiners and distinguishing words between other parts of speech in each language dimensions, and ranged over the category standard of them. Besides, according to the resetting category standard of Korean determiners, the ones that discussed in the existing researches and Crown nouns should be counted in the same category and be named as determiners consistently was suggested. This chapter also analyzed the reason why determiners and Crown nouns should be counted in the determiners category. On accounting of the resetting category standard of Korean determiners and Chinese distinguishing words in chapter three, the fourth chapter comprehensively studie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orphologic aspect and syntactic aspect. In morphologic aspect, this chapter used the Chinese morphology to disclose their characteristics in single morpheme words and compound words. In syntactic aspect, the aspect of modify function, attribute function, postposition combination and independent words were analyzed. In this paper, setting range of determiners and distinguishing words were first reset, and then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orphologic aspect and syntactic aspect were discovered by comparison study. In morphologic aspect, words were divided into single morpheme words and compound words. Compound words were divided into combined type, additional type and eclipsed type. For combined type, both of determiners and distinguishing words had modifying compound type, combination compound type, verb-object compound type and predicate connective type, but didn’t have complement compound type. For additional type, most determiners had to do with suffix, but most distinguishing words connected with prefix. For eclipsed type, determiners didn’t have this type, and distinguishing words just had ‘shangshang, xiaxia’ two words. In syntactic aspect, implement environment of determiners in the aspect of modify function, attribute function, postposition combination and independent words was the same as distinguishing words. But, distinguishing words can be as a subject, predicate and object depending on the different context of situation.

      • 한·중 '희다' 계열 색채어의 대조 연구

        손홍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顔色詞作爲語言學的重要部分是語言學的重要課題.最近隨著中國和韓國交流的日益頻繁,兩國的文化交流也越來越多.中韓兩國的學者對顔色詞的研究也活躍地進行著,但是對于顔色詞的研究大部分都是以5個顔色爲中心的研究,對于壹個顔色比較系統的研究相對較少. 在顔色詞中’白’類顔色詞在全部顔色詞中占的比例較大,而且從現代韓國語顔色使用頻率的調查報告中可以看出, ‘白’類顔色詞的使用頻率是最高的.所以本文選取了自古以來就被韓國人崇尚,在中國同樣受到重視的白色作爲研究對象.主要對’白’類顔色詞的形態構造,感情表現和慣用表現進行研究. 通過對’白’類顔色詞的研究可以發現,由于韓國和中國處于同壹個文化圈,所以顔色詞的形態構造和意義存在共同點,但是另壹方面,由于韓國語是黏著語,漢語是獨立語,並且受中韓地理環境,文化和思考方式的影響,顔色詞的形態構造和意義也存在不同點. 通過對’白’類顔色詞的比較研究,進壹步了解顔色詞的含義,有助于相關文化作品的理解,也有助于語言學習者准確地掌握中韓顔色詞的相同點和不同點, 更方便地使用和區分顔色詞. 색채어는 언어의 중요한 부분으로 언어학의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최근 한국과 중국의 교류가 빈번해 지면서 양국 간의 문학교류도 많아지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학자들은 색채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연구는 주로 기본 오색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가지 색채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색채어 가운데 ‘희다’계열 색채어는 전체 색채어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현대국어 사용빈도 조사’에 따르면 ‘희다’계열 색채어의 사용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은 옛날부터 흰색을 좋아하고 중국도 흰색을 중요한 색깔로 여겨 왔다. 따라서 본고는 한·중 양국의 ‘희다’계열 색채어의 형태구조, 감정표현과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대조 분석을 했다. 이런 분석을 통해서 한·중 ‘희다’계열 색채어는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은 같은 문화권에 속하기 때문에 색채어의 형태구조와 의미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으로 한국어는 교착어이며 중국어는 고립어이다. 게다가 한·중 양국은 지리적인 환경, 문화와 사고방식 등으로 인해 색채어의 형태구조와 의미는 차이점도 가지게 된다. 한·중 ‘희다’계열 색채어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양국 ‘희다’계열 색채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나아가 문학작품을 감상하거나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언어 학습자들이 ‘희다’계열 색채어에 대해 정확한 파악을 통해 습득과 활용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 한국어의 추측 표현 연구 : 제시 순서에 따른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를 중심으로

        정진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is about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in Korean. In this study we look into the presenting order of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adnominal endings like ‘-ㄹ’ and ‘-ㄴ.’ Used in this study, the presenting order refers to the order of presenting within the one expression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We suggest that when presenting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to a foreign learner, we teach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dnominal endings first, followed by those with ‘-ㄴ’ adnominal endings considering the degree of uncertainty. In the case of ‘-ㄹ/ㄴ 것 같다’ expressions, ‘-ㄹ 것 같다’ of which the degree of uncertainty is higher should be presented first, followed by ‘-ㄴ 것 같다’. The expressions of ‘-ㄹ/ㄴ 것이다, -ㄹ/ㄴ 듯싶다, -ㄹ/ㄴ 듯하다, -ㄹ/ㄴ 모양이다, -ㄹ/ㄴ 성싶다 are also same of the case. In chapter 2, 3, and 4, we verified whether such proposition is valid or not. In chapter 2, we insisted that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dnominal endings have a higher degree of uncertainty than those with ‘-ㄴ’ adnominal endings. Because ‘-ㄹ’ adnominal endings have the semantic feature such as [+Uncertainty], [-Determinacy], [-Evidentiality] and ‘-ㄴ’ adnominal endings have the semantic feature such as [+Uncertainty], [+Determinacy], [+Evidentiality]. In chapter 3, we reviewed Korean textbooks, grammar books, and learner’s dictionaries to raise the issue that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were presented without any fixed set of rules. To solve this, it was proposed that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dnominal endings first, followed by those with ‘-ㄴ’ adnominal endings considering the degree of uncertainty. In chapter 4, on the basis of this solution, we designed teaching-learning models for foreign learners and experimented with the models during classes for foreigners three tim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Korean language test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were compar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s and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first group, score of five people(50%) was improved.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group, score of three people(50%) was improved.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group, score of five people(62.5%) was improved. Furthermore, total score of each group was also improved. Total score of the first group was improved six points. Total score of the second group was improved eight points. Total score of the third group was improved two poin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proper learning information on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for foreign learners wh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elp a foreign learner use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fit for discourse situations according to the Korean grammar, and enhance such language competence as speaking, hearing, reading, writ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f foreign lea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ree aspects. Firstly, it suggested a way of presenting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in order considering the degree of uncertainty. Secondly, it designed teaching-learning models for foreign learners and then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s,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Thirdly, it proposed a set of rules for presenting order and description from Korean textbooks, grammar books, and learner’s dictionaries. 본 논문은 한국어의 추측 표현에 관한 연구로서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외국인 학습자에게 제시할 때 불확실의 정도를 고려하여 순서대로 제시하자고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제시 순서는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하나의 추측 표현 내에서 제시하는 순서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ㄹ/ㄴ 것 같다’의 경우 불확실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ㄹ 것 같다’를 먼저 제시하고 그 다음에 ‘-ㄴ 것 같다’를 제시한다. ‘-ㄹ/ㄴ 것이다, -ㄹ/ㄴ 듯싶다, -ㄹ/ㄴ 듯하다, -ㄹ/ㄴ 모양이다, -ㄹ/ㄴ 성싶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같은 제안을 하고 타당성이 있음을 밝히기 위한 논의를 2장, 3장, 4장에서 하였다. 먼저 2장에서 ‘-ㄹ’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은 상대적으로 불확실의 정도가 높고,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은 상대적으로 불확실의 정도가 낮다고 논의하였다. 왜냐하면 ‘-ㄹ’은 [+불확실], [-결정], [-증거]를 의미 자질로 갖고, ‘-ㄴ’은 [+불확실], [+결정], [+증거]를 의미 자질로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3장에서 한국어 교재, 문법서, 학습 사전을 분석하여 공통으로 나타난 가장 큰 문제점으로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이 일정한 기준도 없이 제각각 제시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후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장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불확실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ㄹ’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먼저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 이 해결 방안을 반영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세 차례 실제 적용해 보는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전후로 1, 2차 모의 한국어 시험을 실시한 후 채점하여 점수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1그룹의 경우 5명(50%), 2그룹의 경우 3명(50%), 3그룹의 경우 5명(62.5%)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 참가자들이 획득한 총점에서도 1그룹의 경우 +6점, 2그룹의 경우 +8점, 3그룹의 경우 +2점이 향상되었다. 이로써 교수­학습 모형을 통한 학습 효과와 불확실의 정도에 따라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순서대로 제시하자는 주장이 타당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에 관한 적절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학습한 외국인 학습자가 추측 표현을 담화 상황에 맞게 적절히 선택해 사용하고 문법에 맞게 정확히 사용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언어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불확실의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제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 추측 표현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해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 적용해 보는 실험을 하여 학습 효과와 주장의 타당성을 논의하였다는 점, 향후 한국어 교재, 한국어 문법서,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제시하고 기술(記述)할 때의 기준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한국어와 중국어 상에 대한 대조연구 : 시간부사를 중심으로

        풍아려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4

        본 연구는 한국어 시간부사와 중국어 시간부사의 상에 관한 대조 연구이다. 그 동안 한국어 상에 대한 연구는 주로 용언의 선어말어미 중심으로 해 왔으며, 중국어 상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문법화된 형태적인 측면에만 진행되어 왔다. 고유의 연구를 바탕으로 어휘 요소인 시간부사도 상을 나타낼 수 있고 상 표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하며, 한국어와 중국어 시간부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시간부사가 상 표현에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 한·중 촉각형용사에 대한 의미론적 대조 연구

        소해양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4

        본 연구는 어휘의미론의 관점에서 현대 한국어와 현대 중국어 감각형용사의 하위류로 분류되는 촉각형용사의 의미구조를 분석하는 동시에 그것들이 가지는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한·중 촉각형용사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 국어국립연구원 편 『현대 국어 사용빈도 조사』와 中國國際廣播社 편『現代漢語形容詞辭典』을 찾아 봤다. 한국어 촉각형용사 경우는 사용 빈도수가 있는 어휘가 70개 있고 중국어의 경우는 47개 있다. 이것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제3장에서 위에서 선택된 어휘의 의미구조 특히 동의어 의미장에 대해 고찰했다. 사전에서 동의어의 해석은 보통 교체방법으로 설명한다. 그렇지만 이런 해석방법은 각각의 동의어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본고는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의미 연구의 대표적인 분석방법 즉, 성분분석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촉각형용사의 의미장 구조를 뚜렷하게 확인하였다. 따라서 그것들의 공통점과 미묘한 차이점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4장은 3장의 기초 위에 촉감각형용사를 촉감각형용사와 온도각형용사 및 통각형용사 3가지로 나누고 각각 갈래마다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앞의 3개 단어와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를 선택하여 분석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분석을 통해서 한·중 촉각형용사를 종류별로 3갈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기본의미와 전이의미가 같은 것들, 두 번째는 기본의미는 같고 전의의미가 일부 다른 것들, 세 번째는 기본의미가 같고 전의의미는 다른 것들이다. 그리고 기본의미가 같고 전이의미가 일부 다름과 완전히 다른 상황에서 한국어 촉각형용사의 전이의미가 중국어 촉각형용사의 전의의미 수량보다 더욱 많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 ‘덥다, 춥다’가 대응하는 중국어 ‘ 熱, 冷’보다 전의의미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이 제3장에서 한국어 ‘덥다, 춥다’와 중국어 ‘ 熱, 冷’의 사용 빈도수 차이를 만든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한·중 촉각형용사의 대조 연구에 있어서 관용표현에 대해서는 자세한 고찰을 다루지 못한 것이 부족한 부분이다. 이를 비롯한 미지한 부분에 대한 고찰은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삼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emantic understanding of touch sensation adjective which is divided into subcategories of moder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t the same time, focused on clarifying the difference and likeness from a lexical semantic perspective. We looked into frequency in use of modern Korean edited 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Adjectives in modern Chinese Dictionary edited by China international broadcasting service to consider meaning of touch sensation adjective in Korea and China. About 70 words are frequently used for touch sensation adjective in Korea and 47 words in China. We conducted a survey of these. On the third chapter, we analyse the semantic structure, especially about synonymous semantic field. The synonyms is usually interpreted by alternate ways in a dictionary. But this kind of interpretational way is hard to explain delicate difference in each synonyms. This study progresses component analysis so that the semantic field of touch sensation adjective are identified clearly. Therefore we can clearly understanding difference and likeness. Based on the third chapter, touch sensation adjectiv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emperature sensation adjective, pain sensation adjective and pressure sensation adjective on chapter four, anf choose Chinese corresponded with 3 words which is frequently used in each parts. By analysis, Korean and Chinese touch sensation adjective can be divided into 3 parts. The first is which are common in basic and transferred meaning. The second is which are same in basic meaning but different in transferred meaning. The third is which are different in transferred meaning but same in basic meaning. When basic meaning is same and transferred meaning is different partially and entirely, Korean transferred meaning of touch sensation adjective is more than that of Chinese. However, Korean transferred meaning of '덥다', 춥다' is much less than Chinese transferred meaning. It is maybe responsible for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덥다', 춥다' in Korean and '热', '冷' in Chinese. But in this study, we didn't investigate the idiom by the contrastive study. Including this, study of other insufficient parts are next subject of a research. 本研究是在詞彙意義論的觀點上,以現代中韓兩國形容詞中感覺形容詞的下級分類感覺形容詞為中心,分析觸覺形容詞的意義構造的同時對於觸覺形容詞意義上具有的共同點和差異點為研究目的。 為了考察韓中觸覺形容詞的意義,本研究翻閱了國語國立研究院編纂的《現代國語使用頻度調查》和中國國際廣播社編纂的《現代漢語形容詞詞典》。韓語觸覺形容詞有使用頻率的詞語是70個漢語是47個。研究以此為研究對象。 第三章主要是對於觸覺形容詞的語義場構造進行分析。在字典裏對於同義詞的解釋通常是用代替法進行說明,但是這種解釋方法很難說明每個同義詞之間微小的差異。所以本文應用成分分析方法來進行研究。這種分析方法為依據同義詞的意義以及他們之間的關係及差異點會更容易理解。 第四章在第三章的基礎之上把觸覺形容詞分為觸感形容詞、溫度感覺形容詞、痛感形容詞三類。各自选择使用频率高的前三个词作为分析对象进行研究。通过研究发现,韓中觸覺形容詞分成三類,第一類是基本意義和轉移以相同,第二類是基本以相同轉移意義有相同也有不同,第三類是基本意義相同而轉移意義不同。在第二三类情况下韩语触觉形容词比汉语触觉形容词的数量更多。韩语的‘덥다,춥다’和與之對應的漢語‘熱,冷’相比轉移意義很少。這也可能是韓語‘덥다,춥다’和汉语‘热,冷’使用频率相差很大的原因之一。但是本文对惯用表现的研究不太深入这是今后应该探讨的课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