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봉사활동 교수-학습과정의 구안에 관한 연구 : 4,5,6학년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류광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초등학교에서 봉사 활동의 지도 목표는 봉사 정신과 태도를 기르는 데 있다. 봉사 활동을 실천하는 것도 강조되어야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봉사의 의미를 알고 실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 봉사 활동 지도는 봉사 활동의 결과만 중시하여 활동 자체만을 강조하고, 봉사 활동 결과를 시간으로 종합생활기록부에 기록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봉사 활동의 필요성이나 의미를 교육하는 사전 단계의 지도와 격려나 칭찬 같은 봉사 활동 등의 평가 단계는 소홀히 다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봉사 활동의 의미와 필요성을 알고, 봉사 활동의 결과에 대해 격려와 칭찬을 받는 봉사활동의 지도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봉사 활동의 지도 과정은 도덕과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덕과의 지도를 통해 학생들에게 봉사 활동의 의미와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학생에게는 봉사 활동의 결과에 대한 격려와 칭찬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봉사 활동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도덕과 수업에서 학생들이 봉사의 참된 의미를 느끼며 봉사 활동을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수-학습 과정의 구안에 필요한 봉사 활동의 의미와 내용을 살펴보고 봉사 활동의 지도 절차를 거시적 절차와 미시적인 절차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아울러, 봉사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 또한 교육 과정에서 봉사 활동의 위상과 도덕과에서 봉사 활동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의 봉사 활동과 관련된 단원을 추출하여 제재별로 분석하였으며, 교수-학습 과정안은 봉사 활동의 지도 단계에 맞추어 봉사 활동의 준비 단계, 실천 단계, 평가 단계로 구안하였다. 도덕과의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은 첫째, 도덕과의 일반적인 수업 절차와 달리 인지적 영역 → 행동적 영역 → 정의적 영역의 순서로 지도 절차를 구성하였다. 봉사 활동의 준비 단계는 봉사 활동 탐색, 활동 계획 수립, 사전 교육 실시이다. 봉사 활동의 실천 단계는 봉사 활동 안내, 활동 실천, 활동 정리이며, 평가 단계는 봉사 활동의 기록, 반성·토의, 인정·격려로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둘째, 봉사 학습의 단계에 따라 수업 시간을 탄력적으로 구성하였다. 준비 단계(인지적 영역)와 평가 단계(정의적 영역)는 초등학교 단위 수업 시간인 40분씩을 배당하고 있으나 실천 단계(행동적 영역)에서는 특별 활동과 재량 활동을 연계하여 실제로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학년별 제재를 봉사 활동 유형별로 구분하여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즉 봉사 활동이 실시되는 제재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봉사 활동의 유형과 연관지어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도덕과 수업에서 봉사 활동을 알고(인지적), 실천하고(행동적), 느끼는(정의적) 통합적인 봉사 활동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마련했다는 데 있다. 따라서 준비, 실천, 평가의 3단계로 구안된 도덕과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은 봉사 활동 유형과 관련시켜 지도할 수 있다. 즉, 단순한 일손 돕기가 봉사 활동의 전부로 생각하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실천하는 봉사 활동의 의미를 알고 봉사의 즐거움을 맛보는 소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봉사 활동 교수-학습안 과정안이 도덕과 수업에서 봉사 활동을 지도하는데 많은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 그러나 봉사 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제재의 교수-학습 과정안이 학년별로 모두 제시되지 못하고 봉사 활동의 유형에 따라 1개 제재만으로 제한하여 구안하고 있으며, 봉사 활동의 평가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점도 사실이다. 또한 도덕과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그쳤을 뿐 이것을 실제적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는 절차를 밟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이 실제로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도덕과 수업과 연계되는 다양한 봉사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등 많은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learning the service activ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is to promote the service mind and attitude. It should be rather meaningful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 service than just doing. However nowadays, the instructions of the service activities facing in the schools are just headed to the activity itself, result-oriented, reporting the cumulative records measured the spending time. So to speak, the necessity or meaning of the service activity has been neglecting in evaluating the pre-step such as teaching, encouragement, compliment. Therefore some instruction should be needed to recognize true meaning of the service activity and that could be achieved by the moral education. This study is the purpose of designing a scheme for practical teaching-learning process, concentrating on the significance and appreciating the value while practicing service activities. For this matter, the instructional procedure was considered in a two way - macro and micro processing in this designed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dure. In addition, the phase of the service activity was deliberated and teaching plan was devised for an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a moral education.. The subject matters for each textbook unit were analysed relating to the service activity, and the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were designed to preparing, practicing, evaluating the service activity according to the teaching step. First, the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the service activity was constructed as cognitive domain → practical domain → affective domain , which was unlikely to other procedure in a moral education class. Preparing is the step for searching the activity, establishing the plan, and pre-study. Practicing is for introducing the activity, practicing, and adjusting. Evaluating is made up of making a report, reflection, discussion, acknowledgement, encouraging. Second, the period was constructed with a flexibility as development of the service activity. Preparing (cognitive domain) and Evaluating (affective domain) were allotted into 40 minutes, the same amount of time as a class in a elementary school. Practicing (practical domain) is consisted of flexible time to be engaged in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nd discretion activities. Third, the subject matters for each grade were separately designed in this scheme. The accomplishment of this study is preparing for the integrative scheme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the service activity, knowing (cognitively), practicing (practically), feeling (affectively). Hence, this scheme on teaching-learning process in a moral education, based on 3 phase - preparing, practicing, evaluating - could instruct related to diverse types of service activity. It would help students appreciate the true meaning and enjoy participating in the service activity. Consequently, I believe this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of service activity would be beneficial for teaching the service activity in a moral education. However, the subject concerning the service activity was not presented to all grade, limited to just one subject in a particular service activity. Also, there needs to be researched on the evaluation of the service activity, and. the scheme designed on this thesis was not practically applied to a real class. For that reas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rvice activity programs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o practically apply the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