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화시대의 성찰 매개, '재일코리안'을 둘러싼 서사적 상상 : 후카자와 우시오의 소설 『녹색과 빨간색(綠と赤)』에 재현된 감정 분석을 중심으로

        강도소백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本論文では日本で2015年に出版された深沢潮の小説『緑と赤』の登場人物の感情変化に注目し、グローバル化時代に複数のアイデンティティが衝突し葛藤する際に生じる社会的な問題について分析した。在日コリアンを媒介として、在日コリアンが日本と韓国で感じた感情、日韓の歴史認識の違い、国家の境界を超えた時の認識の変化について分析した。 研究方法としてまずバフチンの多声性理論を活用し、文化分析をするためにスチュアートの理論を参考にした。 先行研究では在日コリアンの名称をめぐった研究者たちの様々な意見をまとめ、その歴史的・文化的な経緯を検討した。この論文では中立的な立場を示すために‘韓国’と北朝鮮をイメージする‘朝鮮’という単語を避け、在日コリアンと呼ぶことにした。また深沢潮は他の在日コリアン作家とは異なり、国家アイデンティティをめぐる在日コリアンの様々な感情に注目したことが特徴である。日本では嫌韓勢力が活発化したことにより、韓国人と在日コリアンに対するヘイトスピーチが拡大された。作家はヘイトスピーチよって傷を負った人びとの心情を描きたいという思いで『緑と赤』が誕生したことを明らかにしている。 2章では作品概要と嫌韓、在日コリアンの経験と歴史、そしてグローバル化の概念について考察した。2章での分析を通じて、作家は在日コリアンと関係を構築すること、在日コリアンのアイデンティティの理解する上で感情が非常に重要だと表現しており、この論文では感情は時に危険性を伴うが交流する原動力となることができると明らかにした。 3章では、この作品の登場人物の感情変化の過程についての考察と分析を通じて、人と人の間で「歴史 - 主体 - 他者」というの三つのアイデンティティが交差し、内部的な和解と外部的な和解が行われる過程を分析した。 4章では以上の作品分析をもとに、グローバル化時代において在日コリアンのような人種差別問題が繰り返されないよう、多文化時代を生きる私たちが在日コリアンについて発展的に考える必要があることを提示した。今までの在日コリアン問題は主に差別についてフォーカスが当てられていたが、これからは差別を受ける存在という認識から脱皮して、韓国及び日本社会のメンバーとして新たに認める必要があり、これは将来の平和的な多文化共生とグローバル化のための原動力になるだろうと判断した。 結論では在日コリアン問題を解決することこそがグローバル化時代の様々な問題を解決するができ、今日のような多文化社会においては他地域や国家の違いを相互認め、人類共通の価値のために互いに協力する市民性の教育が必要であることを提示した。また登場人物たちがそれぞれ経験した葛藤や不安、そして恐怖はアイデンティティの和解がなされる直前に共通する現象であり、これらの対立の深化は、和解や理解に進む一つの過程であり、最終的には省察的な対話が重要な媒介となることを確認した。 This thesis is based on the novel Green and Red published in 2015 by Fukazawa Ushio in Japan, and it is analyzed through the change of emotions of characters that multi-identity conflicts and conflicts are form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did. I analyzed the change of perception about the experience of emotions felt in Korea and Jap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Korea and Japan, and the border crossing between Koreans in Japan. As a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first, Bakhtin's theory was utilized for the understanding of polystance, and second, Stuart' s theory was used for cultural analysis. In the previous research section, the names of Korean people in Japan were summarized. There are various opinions within the researchers about the names. In this paper, we use the name of Korean in Japan to maintain the neutrality. Unlike the works of other Korean artists in Japan, Fukazawa and Ushio also paid attention to the various emotional reactions of characters surround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because of the theory of homophobia, in Japan, there is a hate speech about Koreans and Koreans in Japan, and the writer says that he started to write Green and Red with the desire to narrate the hearts of those who were hurt. In Chapter 2, I examined the experience and history of Koreans living in Korea and the discourse of globalization, not to mention the composition of narrativ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Korean people living in Japan. Through the second chapter, the author suggests that emotions are quite important and often have the power to engage in negotiations, even though they may be dangerous. Chapter 3 explores the process of emotional change for the character of this work and seeks to find out the process of internal reconciliation and external reconciliation by negotiating the three identities of "history-subject-other" between person and person. In chapter 4, it is suggested that it is time for us to extend the reason for Koreans living in a multicultural era to avoid repeti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like Korean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Until now, the Korean problem in Japan has mainly focused on discrimination, but now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t as a member of both Korean and Japanese society, not just discrimination. This will be a motive for future peaceful multicultural coexistence and globalization. In conclusion, solving the problems of Koreans in Japan by analyzing and summarizing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and main text can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today's multicultural society, many different regions and countries recognize mutual differences It also suggested that citizenship education that cooperates with each other for the common values of humanity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characters' conflicts, anxieties and fears experienced through their own situations are common phenomena just before the reconciliation of identity. This deepening of conflict is a process that leads to reconciliation and understanding, and reflexive dialogue becomes an important mediator Respectively. 이 논문은 후카자와 우시오(深沢潮)가 일본에서 2015년에 출판한 소설 『녹색과 빨간색』을 바탕으로 세계화 시대에 다중정체성이 충돌하고 갈등하며 형성되는 문제를 등장인물들의 감정변화를 통해 분석했다. 재일코리안이라는 개념을 매개로 하여 작품 속 재일코리안들이 한국과 일본에서 느끼는 감정의 경험, 한일간의 일상화된 역사의식의 차이와 재일코리안의 경계 넘기에 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했다. 이 논문의 연구방법으로서 첫째 다성성의 이해를 위해서 바흐찐의 이론을 활용하고, 둘째 문화 분석을 위해서 스튜워트의 이론을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부분에서는 재일코리안의 명칭을 정리하였다. 연구자들 간의 다양한 의견을 정리하고 사용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검토하되, 이 논문에서는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한국과 북한을 이미지하는 조선이라는 단어를 피하여 재일코리안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또한 후카자와 우시오는 다른 재일코리안 작가들의 작품과는 다르게 국가정체성을 둘러싼 인물들의 다양한 감성적 반응에 주목한 점이 특징이다. 일본에서는 혐한의 정서가 형성됨에 따라 한국인과 재일코리안에 대한 헤이트스피치가 전개되고 있으며 작가는 그 과정을 목도하고 관찰하면서, 상처받은 사람들의 내면을 서사화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녹색과 빨간색』을 쓰게 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2장에서는 이 작품내에 나타나는 재일코리안의 경험을 통한 서사구성과 혐한, 재일코리안의 경험 및 역사성 그리고 세계화의 담론화 방식에 대해 고찰했다. 2장을 통해 작가는 재일코리안을 둘러싼 관계 맺기, 그들을 바라보는 정체성의 이해에 감정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인식했으며 가끔은 위험을 표출하기도 하지만 교섭하기도 하는 동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했다. 3장은 이 작품의 등장인물들에 대한 감정변화과정에 대한 고찰 및 분석을 통해 인물 및 인물들간에 역사-주체-타자의 세가지 정체성이 교섭하며 내부적 화해와 외부적 화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했다. 4장에서는 이상의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세계화시대에 재일코리안과 같은 인종차별문제에 대해 반복되지 않도록 다문화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재일코리안에 대한 확장적 사유를 할 때가 되었다는 것을 제시했다. 지금까지의 재일코리안 문제는 주로 차별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나 이제는 차별만을 받는 존재가 아니라, 한국과 일본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새롭게 인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미래의 평화적 다문화 공생과 세계화를 위한 동력이 될 것으로 진단했다. 결론에서는 재일코리안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세계화시대의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오늘날과 같은 다문화 사회에서는 여러 타지역 및 국가들이 상호의 차이를 인정하며 인류 공동의 가치를 위해 서로 협력하는 시민성의 교육도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주어진 상황을 거치며 겪는 갈등 및 불안과 공포는 정체성의 화해 직전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러한 갈등의 심화는 화해나 이해로 나아가는 하나의 과정이며 결국 성찰적 대화가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