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企業의 文化마케팅 活動이 브랜드 資産과 信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硏究

        전재남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Cultural developments are promoted to develop humanity, in the modern society the new trend is that corporations and culture collaborate for co-existence and mutual development. Satisfying customers culturally is a high value-added future industry, creates significant additional values, and is considered an important element of national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Currently, corporations sponsor or host various cultural events such as performances, exhibits, or concerts in order to improve corporate images, and also support cultural arts and advertisements in marketing efforts to integrate cultural images to products and services. Therefore, taking a long-term perspective, the outcome of marketing strategies by corporations using culture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corporate images, marketing and sales of products, and reducing anti-corporate sentiments. Further, it would be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rporations to attempt to reduce social polarization and anti-corporate sentiments, and one such method for corporations would be to support cultural art. Corporations are expanding supporting activities for cultural art to create unique cultures for corporations, and based on this, imaginative spirits from the cultural arts and value systems are being introduced into corporations to transform the corporations themselves, leading to co-existence of economic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as a unified, single entity. Corporations are working hard to instill the notion that corporations are interested in social development and public good through social contributions to the customers. Furthermore, corporations are carrying out marketing activities that go beyond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sider social welfare as well. Consequently, this research analyzed and presented the impact for the corporations by providing cultural art to the consumers through reviewing precedent study materials, surveys, and scientific statistics. Additionally, we presented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on corporate brand asset and confidence in a further segmented manner. As a result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corporate support for cultural ar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to a corporation's brand assets and confidence. As such, satisfying consumer's cultural desires - one of corporations' social roles - is becoming more than simply a choice for corporations to make and instead a core theme of the 21st Century, and this is no longer an option but rather a requirement for corporations. 문화의 발전이 인간의 발전을 도모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리고 기업과 문화는 서로 공존 발전해 가기위해 협력하고 있는 것이 현대 사회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소비자의 문화적 충족이 고부가가치의 미래형 산업이면서 고부가가치의 창출 요소이기도 하다. 또한 국가와 기업의 중요한 경쟁력으로 인식되고 있기도 하다. 현재 기업은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공연, 전시회, 음악회 등 각종 문화 행사를 후원하거나 주최하고 있으며, 또한 제품과 서비스에 문화 이미지를 담아내는 마케팅 활동으로서 문화예술 지원 및 광고를 펼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문화를 이용한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의 결과는 기업들의 장기적인 안목으로 기업이미지 제고와 더 나아가 상품판매의 마케팅, 반 기업정서의 해소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기업들이 이러한 사회적 양극화와 반 기업정서 해소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일 것이며 그 중 하나가 기업의 문화예술지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기업은 기업 나름의 독특한 문화를 창출하기 위해서 문화예술 활동지원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화예술의 상상력과 가치관 등이 기업 속에 유입되어 기업을 변화시켜 경제활동과 문화 활동이 하나의 결정체가 되어 공존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로 인하여 기업은 사회공헌을 통해 사회발전이이나 공익에도 관심을 가지고 지원한다는 인식을 고객에게 심어주려 노력하고 있으며, 나아가 기업은 소비자 만족을 넘어 사회복지까지 고려한 마케팅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문화예술을 소비자에게 지원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를 기존의 선행연구 자료와, 설문, 그리고 과학적 통계방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제시 하였다. 또한 기업들이 문화마케팅을 접근하는데 기업 브랜드 자산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좀 더 세분화하여 제공 하였다. 그 결과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은 기업 브랜드 자산과 신뢰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밝혀낼 수 있었다. 결국 기업의 사회적 역할 중 하나인 소비자의 문화적 욕구 충족은 단순한 기업에서 선택의 영역에서 벗어나 21세기 핵심 테마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CSR 진정성 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승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기업들은 ‘이윤추구’라는 목적에서 벗어나 기업의 사회성 또는 여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년 사회적 책임 활동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이것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에 대해 관심과 중요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또한 높아져 점차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사용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비용에 비해 그 효과는 생각만큼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또한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는 모든 기업이 기업 이미지․평판의 향상, 매출의 상승 등을 보이지는 않고 있다. 이러한 관심의 시작이 본 연구로 이어졌으며, 본 연구자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를 ‘진정성’으로 보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경제적․윤리적․자선적․법률적 책임 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기업이미지가 사회적 책임 활동의 4가지 차원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았다. 또한 ‘CSR 진정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4가지 차원과 기업이미지 사이에서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으며, CSR 진정성의 정도에 따른 기업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4가지 차원은 구매의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4가지 차원은 기업이미지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기업이미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적․윤리적․자선적 책임 활동은 부분매개, 법률적 책임활동은 직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기업이미지 사이에서 CSR 진정성은 조절효과는 자선적․법률적 책임 활동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또한 회귀방정식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자선적․법률적 책임활동에 대한 진정성이 높을수록 기업이미지가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로부터의 시사점은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해서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구매의도에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진정성이 낮을 때보다 진정성이 높을 경우에 기업이미지에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업은 경제적 책임을 다한 후, 윤리적․자선적․법률적 책임에 대한 활동을 수행해야 하며, CSR 진정성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수행할 때, 소비자들로부터 더욱 긍정적이고, 도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음을 시사점으로 두어 CSR 연구 분야의 발전에 일조했다는데 의의를 둔다. Today, corporations are making heavy investments in social activities every year to achieve their social or other different goals. These objectives are different with their prior objective, ‘the pursuit of profit’. This shows that corporations’ interest and importance on social responsibility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also the public’s interest on corporations’ social responsibility increased, hence, we may know that the recognition for social responsibility is gradually expanding. However, compared to the investments in social activities by the corporations, the effects, unexpectedly, are ineffective. And also, all the corporations do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do not show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and reputation and the increase in sales. These factors led to the start of this research and I have chosen one of the factors to be primarily considered to overcome this situation as ‘authenticity’. Thus, this research analyzed the economical, ethical, philanthropic and legal influences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to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corporate image and confirmed whether the corporate image takes the role of inter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4 dimensions of CSR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also, I’ve analyzed how the ‘CSR authenticity’ adjusts the influenc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4 dimensions of CSR and the corporate image. Another factor analyzed was the difference of corporate image based on the CSR authenticity. The summary of the verifi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tatistically revealed that all 4 dimensions of CSR were positively affecting the purchasing intention. Seco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4 dimensions of CSR were positively affecting the corporate image. Third,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SR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the corporate image took the role of intermediation. And the economical, ethical and philanthropic social responsibilities made partial mediation but legal social responsibility made direct mediation. Fourth, in between the CSR and corporate image, the adjusted effects of CSR authenticity came out only in philanthropic and legal social responsibil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rm of interaction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 I was able to confirm that higher the authenticity in philanthropic and legal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corporation, the corporate image developed.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confirmed that corporations’ CSR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the corporate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Secondly, positive effects in the corporate image through the CSR activities also were shown in the purchasing intention. Lastly, the research has shown that in terms of doing the CSR activities, when the authenticity was stronger, it had greater influence than when the authenticity was weak.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in terms of doing the CSR activities, implicates that the corporations should conduct ethical, philanthropic and legal responsibilities after their economic responsibility and the corporations may be evaluated positively and ethically from the consumers when they autonomously conduct CSR with authenticity. These research results were meaningful that these made a contribution for the development of CSR research field.

      •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이 가맹점의 재계약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관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의 프랜차이즈 시스템은 1979년 롯데리아 개점을 시작으로 1980년대에 들어서 외식업, 서비스업, 소매업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양적으로 급속히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시스템은 현재 대표적인 마케팅 방법인 동시에 유통방법이라 할 수 있다. 외식 프랜차이즈는 위험부담이 적고, 사업경험이 없는 초보자에게도 적은자본만 있으면 가맹본부의 지원을 받아 비교적 쉽게 시장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가맹본부입장에서 소자본의 조직화와 넓은 판매망 구축 등을 통해 공동마케팅 등 브랜드 역량 제고가 용이하고 자기자본의 투자 없이도 사업 망을 쉽게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맹본부와 가맹점 모두에게 매력적인 시스템이다. 그러나 한국의 가맹본부들은 신규 가맹점 확보를 우선시하고 있으며, 기존 가맹점과의 관계유지를 위한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즉, 가맹점의 증가는 프랜차이즈 사업의 속성상 가맹본부와의 갈등과 분쟁을 야기하였으며, 이러한 사업구조로 인해 산업전체에 불신감과 위기의식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교육적 지원, 경제적 지원, 프로모션 지원, 물적 지원, 커뮤니케이션지원-이 가맹점의 재계약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가맹본부와 가맹점간 상기 언급한 지원시스템이 재계약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질적인 영향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실제 서울·수도권으로 국한하여 가맹점주 19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거시적 관점으로 교육적 지원·경제적 지원·프로모션 지원·물적 지원·커뮤니케이션 지원이 가맹점주의 재계약 의도에는 모두 正(+)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세운 가설 중 점포운영 교육, 영업상의 방문지원, 내부 인테리어지원, 인센티브, 판촉행사 지원, 주문처리, 불량납품에 대한 공정한 처리진행, 운영관리에 관한 정보제공 정도, 해결책 제시여부는 不(-)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외식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가맹본부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가맹점의 안정적 수익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신뢰확보 및 사업 확장을 도모하여야 한다. 또한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의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가맹점의 현실적인 고민 해결에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영업지원을 통하여 문제발생 시나 가맹점주의 요청 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슈퍼바이저를 육성하는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가맹점 역시 프랜차이즈의 기본 이념을 정립하고 가맹본부의 지원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가맹본부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과 가맹점의 대응노력은 쌍방간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의 기본이라고 하겠다.

      • 소셜커머스의 특성이 신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혁신성향, 정보추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광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a social network’s proportion is becoming larger as a method for people to share information, interest in social commerce utilizing a social network is also increasing as well. In particular, social commerce, once the minimum number of people is met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sells products at a discounted price about 30%∼80% of the original prices, allows users to share shopping information through networks they are using, and sells products through a real-time price comparison and a link between on- and off-line networks. However, although interest in social commerce is increasing, its market size is increasing as well, a study on social commerce as Internet shopping’s new business model is lack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rough an empirical study whether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in the course of its purchase trust social commerce sites,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exist that affect a purchase intention, and to verify a model on innovativeness and an information search style’s moderating effect among consumer nature. A summary of a verification of a research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word-of-mouth effect, interaction, security/privacy, and price discounts have affected a formation of a trust on social commerce sites, and interaction has indicated a negative effect on it. This means that delivering information to customers by understanding coupons and services that consumers frequently use on social commerce sites only negatively affect their trust on social commerce sites. Second, a purchase intention was positively affected best by a word-of-mouth effect followed by price discounts, a provision of diversity, security/privacy, and interaction in order. This means that consumers, upon purchasing products, are mostly affected by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SNS and networks on their purchase intention, while a price discount at 30%~80% is thought to be important for a purchase decision. Third, it was indicated that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a purchase intention as trust’s mediated effect. That is, since trust on social commerce sites themselves or trust on products and services provided by social commerce sites can lead to an actual purchase by increasing a purchase intention, it is perceived that businesses operating social commerce sites must make an effort to win customers’ trust. Fourth, it was indicated that a word-of-mouth effect and interaction differ according to innovativeness, while a provision of diversity and price discounts differ according to an information search style. This means that innovative consumers in their 20s to the 30s have an moderating effect because they deliver postscripts and information to other people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on SNS. Also, it can be perceived that an information search style may differ because consumers compare various products and purchase relatively affordable products or services. 소셜 네트워크가 사람들의 정보 공유의 방법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이를 활용하는 소셜커머스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셜커머스는 특정시간동안 최소인원의 충족이 되면 30%∼80%의 가격에 할인 판매를 하며, 쇼핑에 관한 정보도 자신이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공유하며, 실시간 가격비교와 온·오프라인 연계를 통한 판매를 하고 있다. 하지만, 관심이 증가하면서시장의 규모도 커져가고 있지만, 인터넷 쇼핑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인 소셜커머스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의 구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소셜커머스의 특성이 소셜커머스 사이트를 신뢰하는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특성이 어떤 것이 있는지, 소비자 성향 중 혁신성향과 정보추구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한 모형을 실증연구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의 검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커머스 특성 중에서 구전효과와 상호작용성, 보안/프라이버시, 가격할인은 소셜커머스 사이트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상호작용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셜커머스 사이트에서 소비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쿠폰, 서비스를 파악하여서 고객들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오히려 소비자들이 소셜커머스 사이트를 신뢰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소셜커머스의 특성 중 구전효과, 가격할인, 다양성제공, 보안/프라이버시, 상호작용성 순으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 시, SNS, 네트워크에서 얻은 정보들이 구매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며, 30%∼80%의 가격할인이 구매에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소셜커머스 특성이 신뢰의 매개효과로 구매의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셜커머스 사이트 자체에 대한 신뢰 또는 소셜커머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구매의도를 향상시켜 실제 구매행위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소셜커머스 사이트 운영하는 기업은 고객의 신뢰를 얻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구전효과와 상호작용성은 혁신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성제공과 가격할인은 정보추구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적인 20∼30대의 소비자들이 SNS 등에서 자신이 직접 경험을 통해 후기나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을 하기 때문에 조절적 영향이 있고, 정보추구성향은 다양한 제품을 비교하면서 상대적으로 싼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서 구매하기 때문에 정보추구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소상공인 지원기관의 서비스품질 만족에 관한 연구

        정희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민경제와 지역경제에 삶의 근간을 둔 소상공인에 대한 관심은 외환위기 이후 「소기업 및 소상공인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제정에 의해 본격적인 정책대상으로 여겨지면서 시작되었다. 또한 2005년 5·31대책과 소상공인 지원하는 전담기관들의 설립 등을 통해 여러 가지 소상공인들의 지위향상과 권익보호, 경쟁력 강화 및 자생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지원서비스를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 지원기관을 공급자로, 소상공인을 지원에 대한 수요자로 보고 두 집단 간에 ‘서비스 시장’의 논리를 적용하여 고객지향적인 서비스 측면에서 소상공인 지원기관의 서비스품질 만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상공인 지원기관의 서비스품질을 Parasuraman, Zeithaml & Berry가 제시한 5가지 서비스품질 구성차원(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을 중심으로 지원기관에 대한 사전기대와 지각된 성과 비교를 통해 서비스품질 차원별 중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차원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서비스품질 측정모형인 SERVQUAL과 SERVPERF 측정방법을 통해 지원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과의 관계와 두 모형을 비교·분석하여 소상공인 지원기관 서비스품질 측정방법에 대한 적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지원기관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서비스 품질 인식에 대한 사전기대 수준과 실제성과 수준을 보면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확실성→응답성·공감성→신뢰성→유형성의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공감성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품질 차원에서 실제성과가 사전기대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지원기관의 서비스품질에 만족을 나타내고 있었다. 서비스품질 측정방법을 통한 지원기관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을 보면 SERVQUAL에 의한 측정에서는 서비스품질 구성차원에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추출되지 못하였지만, SERVPERF에서는 유형성과 공감성에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측정방법의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지각된 성과만을 측정한 SERVPERF 모형이 소상공인 지원기관의 서비스품질을 측정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전담기관들의 짧은 역사로 인해 지원기관에 대한 기대가 낮을 뿐 아니라 지원서비스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기대감을 형성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소상공인 지원기관들은 전반적인 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통해 고객에게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및 지원기관과 지원서비스에 대한 광고·홍보를 통해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소상공인들을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 스스로가 자생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우리나라 국민경제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 기대되어진다. The interest on the Small and Micro Business(SMB) which is based on the national and regional economy started as it was regarded as an object of a policy in earnest by "The Action for Supporting Small Company and Small and Micro Business"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e government is also providing various supporting services for a rise in their position, protection of their rights and interests,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and security of self-survival ability through measures, 5·31 in 2005 and foundation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In this study, the support institution for SMB is regarded as a supplier and the SMB as a user for supporting. This is about satisfac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by applying the concept of "service market"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a customer-oriented service. To this end, the attribute on service quality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is presented as five service quality dimensions (Tangible,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which was developed by Parasuraman, Zeithaml & Berry.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each service quality dimension through comparison between pre-expected level and perceived performance level on the support institution. Consumer satisfaction on supporting services with these dimensions will be closely examined through a classical measuring model of service quality, SERVQUAL and SERVPERF. And suitability about The method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will be also stud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model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pre-expected level about perceiving service quality of customers using the support institu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level were a little different. But mostly, the result was this in order of low perception: assurance, responsiveness and empathy, reliability, tangible. And judging from higher perceived performance level than pre-expected level in all service quality dimensions except for the empathy,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support institution quality of the support was generally high. The result of consumer satisfac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the support institution through the method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is following. Factors affecting consumer satisfaction were not extracted by SERVQUAL in the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But tangible and empathy affect consumer satisfaction by SERVPERF. As the result by the two measurement methods was compared and analyzed, SERVPERF model measuring just perceived performance was more suitable for measuring the service quality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It is thought that this result of the study was represented like this because the level of expectation about the support institution is low for little interest on policy related to the SMB and short history of related institution and expectation can't be formed for rare experience about supporting service. Thus the support institution for SMB need to try to improve overall service quality. Specially, the system consumer can use easily and conveniently must be built through interest and concern on consumer using the service. And opportunity supporting SMB whose ability dealing with information is relatively weak should be promoted through advertisement and public relations about the support institution and service. By doing these things, if the SMB can be induced to improve self-survival ability itself, a ripple effect on national and regional economy is likely to be promoted more.

      • 경제신문의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 경제신문에 종사하는 기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동원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신문 산업을 위기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경제신문의 위기는 더욱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도래는 경제신문 산업의 위기를 가속화 시키고 있고, 법적 환경 변화는 기존 신문의 시장 환경에 변화를 요구하면서 압박해 들어오고 있다. 현재 경제신문 산업이 처해 있는 상황은 구독자 수의 감소와 신문 산업의 주 수입원이라 할 수 있는 광고 수입의 격감으로 이어졌다. 이제 경제신문은 여러 타 매체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새로운 경영 전반의 변화를 요구받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법적 환경 변화와 경쟁 미디어의 대두로 인한 경제신문 전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서 과학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겠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일반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는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고객 관계 형성을 경제신문에 적용해 보고 이를 통한 세부적 전략들을 알아보고자 했다. 앞에서 논의한 일반 기업이 활용하고 있는 마케팅전략을 경제신문에 적응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는데 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신문의 내부 조직적 문제를 보면 전체적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대부분이 신문 마케팅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지 못했으며 이런 부재가 조직 구성에 나타나는데 편집국의 집중과 마케팅을 전담하는 인적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취약했다. 둘째, 경제신문의 일반적인 마케팅을 평가했을 때 경제신문에서 경영이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마케팅이란 개념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광고주와 구독자라는 이중적 시장 구조로 인해 마케팅 기법을 활용하는 것 보다 단기간에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품 등을 이용한 무차별적 구독자 유치에 열을 올리며 판매 부수를 늘리려고 하였다. 셋째, 경제신문이 앞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보았을 때 계좌이체, 콜센터, 고객 관리 등을 실해하는 전략이 유용할 것으로 전망되며, 독자 세분화를 통한 프로모션 활동을 통해 독자들에게 자사의 일관된 이미지를 주는 방안이 있으며, 경제신문들도 브랜딩(branding) 작업을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언론인 마인드의 변화와 마스터플랜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It is said that the newspaper industry is now in a crisis. In particular, the crisis of the business newspaper is more critical. The advent of multimedia and multichannel has accelerated the crisis of the business newspaper industry. In addition, the change of legal environment calls for the change of market environment for the existing newspaper, thus aggravating market environment. The circumstance of current business newspaper industry is remarkable with the decrease of subscribers and the plummeting reduction of advertising revenues-a main source of income for the newspaper industry. The competitiveness of business newspaper is lower than other media. In this regard, The business newspaper is required of a new general change in its business management in order for it to overcome its lower competitiveness. In order to overcome the general crisis of business newspaper,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nge of legal environment and the appearance of rival medi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scientific marketing strategy. As the methods of making the most of this marketing strategy, the investigator applied business corporation-oriente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nd customer relationship formation to the business newspaper and then examined detailed strategies. In order to apply the previously mentioned business corporation-oriented marketing strategy to the business newspaper, a survey of specialist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nternal organization problems of the business newspaper, most of employees did not recognize the necessity of newspaper marketing. Second, as for the general marketing of the business newspaper, as there was no concept of management in the business newspaper, so was the concept of marketing. Due to the dual market structure of advertisers and subscribers, they did not utilize the technique of marketing, but tri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cop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free gifts and so on. Third, as for the marketing strategies of the business newspaper in the future, such strategies as account transfer, call center and customer management seems to be useful.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consistent image to subscribers by classifying them. It is necessary for the business newspaper to carry out the work of branding. It seems to be necessary the change of journalists' mind. And the necessity of a master plan is on the rise.

      • 특허자산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견기업의 자원기반관점에서

        최강모 건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중소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운영자원과 산업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한정적인 자원들과 이에 대한 활용 역량, 그리고 적정 운영전략이 있어야 효과적인 성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다양한 중소기업육성정책과 교육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지만 기업들에게 적합한 지원책이 되려면 기업의 특성과 보유 자원수준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에는 기술자원, 마케팅자원, 인적자원 등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술자원을 구체적으로 특허자산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중소기업의 적정 지원을 위해 지속성장을 하고 있는 중견기업들을 대상으로 보유한 특허자산들이 실질적으로 기업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기업특성에 맞는 관리부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통 중심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는 상장기업과 기술 중심의 성장을 추진하고 있는 코스닥기업들의 기업성장에 특허자산운영에 특징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중소기업들의 성장전략 수립시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특허자산은 소극적으로는 기술경쟁력을 보증하는데 활용되고 있지만, 라이선싱이나 거래를 통해 적극적으로 부가가치를 생성할 수 있는 유동화 가능한 자산이기에 최근 기술금융이나 지식재산(IP) 담보 등 다양한 방식으로 그 가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허자산 중 기술측면의 등록특허를 중심으로 기술력 확보와 보호수준을 파악하고 국제특허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가름하고 홍보측면의 등록상표를 활용하여 기업의 마케팅활동에 시너지가 발생하는지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자원들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업의 경영성과는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 활동성 등 다양한 지표들이 존재하나 보유정보를 기초로 선행적으로 예비분석을 통해 영향력이 존재하는 성장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특허자산 활용이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키워나가는데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게 된다면 기업 투자활동에도 충분히 참고할 만한 자료가 될 수 있기에 추가적으로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통해 기업가치를 가름해보고자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10년 이상 기업운영이 유지되고 있는 중견기업 208개사에 대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특허자산과 경영성과를 추적하였다. 분석대상 기업의 평균 업력은 35.78년이며, 종업원수는 평균 456명 정도이었다. 또한, 매출액규모는 평균 2,256억 원 정도였으며, 매출액증가율은 약 16.46% 정도였다. 중견기업들의 특허자산 운영현황과 경영성과 간에 영향력을 연구해 본 결과, 등록특허는 기업의 매출액증가율과 시가총액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마케팅자원은 매출액과 시가총액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코스닥기업과 전기·전자·컴퓨터산업에서 마케팅자원은 매출액과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10년 이상 성장해온 중견기업들의 특허자산과 마케팅자원, 인적자원 투입효과를 실증분석한 것이기에 중소기업들의 성장전략 수립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 Various government support plans should be used for induce development of small enterprises. However, to make those support plans outcome could be a actual help for improving small firm's competitiveness, it is needed to understand a growth process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grasp and support the most desirable way which is used of resource needed for support. Hereupon, for a form of small firm's resources drawing an optimum development way, it has a signification that figuring out local high potential enterprises' capability of patent, marketing capacity, organization capacity and understanding how to influence business management performance such as business growth, profitability and job creation. Also, it could be a good material that helps investing an enterprise knowing if those resources management could influence development of company value in the medium to longer term. Therefore, there is a significance that carrying out analysis of actual proof of medium firms 10 years activity to comprehend the management result. Especially, from the difference between KOSPI firm and KOSDAQ firm, this paper wants to know a characteristic by type of listed. This research progressed traces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s about the high potential enterprises, which run more than 10 years, 208 enterprises from 2004 to 2013. This study researches and analyses the domestic granted patent, registered trademarks and international publicized patent for examining the medium firms that are progressing a sound managem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manage a patent assets reflected the substantive management result for technical skills and differentiation. As a result, the sales representing the growth and enterprise value is positive(+) influenced by the granted patent.

      • 모바일광고 특성이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영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모바일매체는 생활 속에서 사람들의 밀접한 관계를 이어주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해 음악을 듣거나 영화를 보는 모습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의 기술개발로 소비자 패턴변화가 기존의 SMS, 무선통신등의 단순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뛰어넘어 게임, 정보습득, TV, 금융거래 시청 등 사용자의 생활 전반에 걸처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잡으며, 모바일광고 역시 대중화되고 있다. 기존의 다른 매체에 의해서도 유사한 광고가 구현되고 있지만, 모바일광고가 주목받게되는 이유는 모바일광고가 구현되는 차별화된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즉,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활용되어지는 모바일광고는 유용성, 개인성, 필요성, 비용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모바일광고 시장은 스마트폰 보급의 빠른 확대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에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증연구와 문헌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고자 하며,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 모바일광고 특성, 신뢰, 구매의도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를 정립하고 관련된 이론을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의 실증적 검증을 위하여 총 9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설문지 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광고 특성 중 유용성을 제외한 나머지 개인성, 필요성, 비용성은 신뢰간의 관계는 신뢰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광고 특성과 구매의도에 대해서는 개인성과 필요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유용성과 비용성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광고 특성 중 개인성과 필요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유용성과 비용성은 신뢰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용자가 모바일 광고를 통해 구매까지 이뤄지기 위해서는 네 가지 모든 특성이 중요하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모든 가설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개인성과 필요성을 가장 중요시 여겨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의 욕구와 수준이 높아져 나타난 결과라 판단된다. 따라서 모바일광고는 개인성과 필요성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사용자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사용자 맞춤화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모바일광고 특성의 중요성과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모바일광고를 통해 매출 증대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하며, 더 나아가 모바일광고 특성과 성장세에 대하여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Today mobile media is connecting the intimate relationships of people in daily life and many people can be seen easily to listen to music or see movies using smartphones. Now as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smart phones change of comsumer's patten are beyond the features of simple telecommunications such as SMS, radio communications and mobile media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around the user's whole life such as games,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TV, financial transactions, watching. Also, mobile advertising is being popularized. A similar advertisement is described by traditional media, but the reason that mobile advertising has been taken notice is its distinguished features. Mobile advertising, that is, being used based on radio internet has merits such as availability, personality, necessity, and cost expenses. The scale od mobile advertising market is developing rapidly with the quick distribution of smartphone around the world. We want to research both positive and philology stud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we established the concept and about features, trust and purchasing intention of mobile advertising components and reviewed related theories. We made 9 hypothesis to verify empirically about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carried out verification of those hypothesis through the questionaire analys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following: First, we know that personality, necessity, and cost except availability of the features of mobile advertising produce positive influences on making trust. Second, it seemed that personality and necessity have impact on the features of mobile advertising and purchasing intention, but availability and costs are for nothing in it. Third, it seemed that personality and necessity of the features of mobile advertising influence positively on trust but availability and costs don't. It means that all 4 features are important to buy something through the mobile advertising of the features but personality and necessity influenceing on all hypothesi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eatures. It is thought that user's desire and levels are improving.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strategy to satisfy of user's needs as well as efforts for personality and necessity.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n importance, trust and purchasing intention of mobile advertising, we think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fullfill user's needs satisfied and sales and make the increasing of profit through mobile advertising. Futhermore we hope that it can help the features and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 스포츠 관람요인이 구단이미지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프로야구를 중심으로-

        김상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s professional sports industry is growing steadily, continuing to achieve development and success. In the meantime, enterprises are interested in getting economic benefits using the professional sports industry as a means of the promotion of marketing, and of them, the professional baseball industry records most spectators of the most professional sports events, so it is considered the most attractive means of the promotion of marketing for enterpris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s of sports spectator factors of professional baseball of the domestic professional sports events on team image and revisit intention and provide persons concerned with the team and the persons in charge of marketing with materials for the team’s interest and development strategy. It will analyze sports spectator factors (stadium factor, game condition factor, spectating cost factor and spectating promotion factor), investigate and reveal their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team image and revisit intention and verify if team image ha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spectator factors and revisit intention. As a sample for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80 male and female spectator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who have experience of visiting a sports stadium at least once. 28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in total, and excluding 19 copies with inconsistent responses, 261 copies were used in a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verifi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sports spectating factors and revisit intention, it turned out that all four sports spectating factors (stadium factor, game condition factor, spectating cost factor and spectating promotion factor) have positive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sports spectating factors and team image, it turned out that all four factors (stadium factor, game condition factor, spectating cost factor and spectating promotion factor) have positive effects on team imag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sports spectating factors and revisit intention, it turned out that the team image has a mediating role. Also, it was found that it partially mediates game condition factor and spectating promotion factor and directly mediates stadium factor and spectating cost factor.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actively used as a means of marketing promotion, so that they will greatly help the persons concerned with the team and the persons in charge of marketing establish the team’s interest and development strategy by understanding spectating factors that make spectators have a positive team image and revisit intention. 오늘날의 프로스포츠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과 성공을 거두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기업들은 프로스포츠 산업을 마케팅 촉진수단으로 이용하여 경제적인 효익을 거두는데 관심을 두고 있고, 그 중 프로야구 산업은 프로스포츠 종목 중 가장 많은 관람객 수를 기록하고 있어 기업에게 가장 매력적인 마케팅 촉진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프로스포츠 종목 중 프로야구의 스포츠 관람요인이 구단이미지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구단관계자 및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구단의 이익과 발전전략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스포츠 관람요인(경기장 요인ㆍ경기 상황 요인ㆍ관람비용 요인ㆍ관람촉진 요인)을 분석하여 구단이미지와 재관람의도와의 영향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고 구단이미지가 스포츠 관람요인과 재관람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의 검증을 위한 표본으로는 서울ㆍ경기에 거주하는 스포츠 경기장을 한번 이상 방문해 본 경험이 있는 남녀 관람객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28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 19부를 제외한 261부를 실증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관람의 4가지 요인과 재관람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포츠 관람의 4가지 요인(경기장 요인ㆍ경기 상황 요인ㆍ관람비용 요인ㆍ관람촉진 요인) 모두 재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관람의 4가지 요인과 구단이미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가지 요인(경기장 요인ㆍ경기 상황 요인ㆍ관람비용 요인ㆍ관람촉진 요인) 모두가 구단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관람요인의 4가지 요인과 재관람의도와의 관계에서 구단이미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기 상황 요인ㆍ관람촉진 요인은 부분 매개, 경기장 요인ㆍ관람비용 요인은 직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마케팅 촉진수단으로 적극 활용하여 구단관계자 및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관람객들이 긍정적인 구단이미지와 재관람의도를 갖게 되는 관람 요인들을 파악하여 구단의 이익 및 발전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 지역 브랜드의 활용이 중소기업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이강현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대외환경과 국내 경영환경 악화로 인해 많은 중소기업들의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품질과 기술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브랜드라는 이유로 시장에서 제품이 평가 절하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한 조사에서, 대부분의 중소기업 경영자들은 브랜드력이 취약하여 손해를 본 경험이 있으며 이 때문에 제품 판매시장에서 제품가격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최근 '가파치', '귀족' 등의 중소기업 공동브랜드가 널리 알려지면서 많은 공동브랜드가 등장하고는 있으나, 활동 및 성과 면에서 뛰어난 편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브랜드 활용이 중소기업 제품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지역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브랜드가 구체적으로 중소기업 제품에 대한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브랜드에 대한 인지, 중소기업 제품자체에 대한 인지와 그리고 중소기업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를 측정방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그동안 대다수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기업 자체의 주체성과 발전을 지향하기 보다는 대기업의 하청업체로서의 소극적인 기업 운영을 해 왔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외제브랜드만을 선호하는 국민들의 소비의식으로 인해 중소기업이 지자체와의 공동브랜드를 개발할 기회가 많지 않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정부에서는 그동안 공동브랜드 지원 사업이 실시되어 왔으나, 그 시작 이래 10여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공동 브랜드로 인한 경영 성과나 소비자의 인식은 그다지 향상되지 않았으며, 그 원인으로 공동사업의 결속도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거나, 정부 지원 자금을 배정받기에 급급하여 공동 브랜드 개발에만 치중하고 운영 및 사후 관리에 소홀했던 점, 계획적이고 전략적으로 기획하지 않은 주먹구구식 실행, 정부의 관리 소홀로 공동 브랜드 정착이 미흡했던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제품 브랜드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지역의 공동 브랜드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구매의도 또한 높은 것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지역 브랜드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지역의 공동 브랜드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구매의도 역시 높은 것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했다. 그러므로 공동 브랜드 활성화 방안으로 국내외 경제사회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경쟁력을 강화하여 중소기업 간 전략 제휴를 활성화해야 하며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브랜드 가치를 추구하기 위해 공동노력으로 소비자에게 접근하여야 한다. 따라서 최적의 효과를 내기 위한 공동 브랜드 조직의 구성은 단일 기업과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다. 이에 효과적인 브랜드 경영관리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중소기업의 브랜드 강화. 둘째, 지방 자치제의 지역 공동 브랜드 활성화. 셋째, 중소기업의 공동 브랜드 경영 효율성 제고 방안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브랜드 경영 전략을 제시하였다. 향후 기업이 추진하는 브랜드 개발 및 효율적 관리의 방향 설정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어진다. Due to the deterioration in the recent outside environment and in the domestic management environment since foreign financial crisis, many of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are being continuously reduced competitive edge. In the face of being excellent in quality and technology, the phenomenon, in which product is devaluated in a market for a reason of being brand for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is occurring frequently. In one survey, most of managers for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responded that they have ever experience of damage due to being vulnerable to brand power and that a price in product is being failed to be recognized rightly in the product-selling market owing to weak brand power. As the joint brands such as 'CAPACCI' and 'GUIJOK' are widely known these days, many joint brands are appearing, but tend not to be excellent in the aspect of activity and performan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effects the jointly-used brand in region has specifically on products of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regarding the effects of local-brand utilization on purchasing products of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For this, it examined the recognition on local brand, the recognition on product itself of small-and medium-sized company, and the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products of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as for each recognition through a measurement method. A great majority of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in our country can be indicated a point of having operated passively a company as a subcontractor of large company in the meantime, rather than pointing to subjectivity and development in a company itself. Also, owing to people's consumption consciousness of preferring only highly-priced foreign brand, there had not been many opportunities for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to develop joint brand with the local self-governmen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t could be known that the government has been carried out a project of supporting joint brand in the meantime, but that, despite of the passage of about 10 years since its beginn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r the consumer recognition thanks to joint brand has not been enhanced so much, and that its causes include what solidarity in joint project failed to be sustained for long, what paid no attention to operation and post-management with focusing just on developing joint brand due to thinking only of being alloted the governmental-support fund, and what settlement in joint brand was insufficient for a reason of the catch-as-catch-can execution without being planned deliberately and strategically and of the government's negligence of management. Given examining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the higher recognition on product brand led to being the higher even i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with utilization of joint brand, thereby having elicited significant result. The higher recognition on local brand led to being the higher i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s well of product with utilization of joint brand in region, thus significant result was elicited. Therefore, there is necessity for activating strategic affiliation among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by which a plan for activating joint brand leads to effectively coping with a change in economic society at home and abroad and to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nd for approaching consumers with joint effort in order to reinforce image and pursue brand value. Accordingly, the composition of organization in joint brand aiming to have the optimal effect cannot help taking different form from single company. Thus, the effective brand management form needs to be equipped. Based on these findings, a brand-management strategy in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was suggested through, first, the strengthening in brand of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second, the activation of the locally joint brand in the local self-government, and third, a plan for promoting efficiency of joint-brand management in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It is expected to be likely to be possibly utiliz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brand driven by a company hereafter and in establishing direction of efficient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