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재의 흔적을 통한 껍데기의 조형화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오소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알맹이가 제거되고 남은 껍데기의 조형화 작업을 부재의 흔적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설명하고, 미학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껍데기의 개념과 조형적 표현 방식을 기술한다. 연구자가 습관적으로 수집해오던 대상들은 ‘껍데기’로 정의할 수 있다. 수집가의 자세를 사물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예술가적 태도와 연결하여 껍데기를 관찰, 분석, 분류한다. 연구자는 껍데기가 부수적인 존재의 틀에 해당한다는 것을 자크 데리다의 파레르곤 개념으로 설명한다. 파레르곤이란 부수적인 장식의 부분을 의미하며, 본질적인 것을 의미하는 에르곤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하지만 데리다는 파레르곤과 에르곤이 결핍과 보완의 관계로 소통하기에 경계 짓기가 모호함을 주장하며 결국 틀의 개념을 해체한다. 연구자는 껍데기가 파레르곤에 속하지만 파레르곤을 덧입히는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본질을 이동시키며 파레르곤과 에르곤의 경계를 넘나들게 한다. 연구자는 알라이다 아스만이 언급한 쓰레기와 쓰레기 기록물보관소를 토대로 기능을 잃고 폐기되기 직전인 껍데기의 상태를 설명한다. 알라이다 아스만은 쓰레기가 쓸모를 잃은 대상이기에 기록물보관소로 이동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쓰레기에 내포된 시간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예술가들이 쓰레기를 이용한 작업 사례를 소개하며 새로운 유형인 쓰레기 기록물보관소의 등장을 밝힌다. 따라서 연구자는 기능을 상실하고 버려지기 직전의 쓰레기와 같은 껍데기의 기록물 가치를 인정하고 보관할 것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껍데기에 부재하는 알맹이의 흔적이 묻어있는 점을 주목한다. 흔적은 부재의 존재를 증명하고, 과거의 시간을 회상하고 추억하게 한다. 회상과 향수는 고통을 완화하고 부재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치유한다. 연구자가 껍데기의 흔적을 분석하는 예술적 행위는 부재하는 대상을 소생시키고 부재에 대한 불안과 미련의 감정을 해소한다. 연구자는 껍데기를 조형화하는 방식에서 선행 작가 하임 스타인바흐와 소피 칼의 작품을 연구한다. 하임 스타인바흐는 일상 속에서 수집한 오브제들을 선반 위에 재배치함으로써 생기는 새로운 의미를 작업으로 얘기한다. 스타인바흐는 오브제를 배열하는 과정에서 오브제와 소통하고, 예술의 지위를 부여한다. 파레르곤에 해당하는 스타인바흐의 선반과 연구자의 작업 속 진열대는 유사한 맥락으로, 배치되는 오브제에 새로운 의미 해석을 가능케 한다. 소피 칼은 작업에서 부재하는 대상의 흔적과 기억을 수집하여 부재하는 대상을 복원한다. 칼은 사진과 텍스트를 통해 흔적을 기록하는데, 이는 부재의 대상이 실존했다는 증거물이 되며 결국 부재를 통해 존재를 확립하고자 한 갈망을 해소한다. 칼은 작업을 통해 부재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부재를 극복한다. 연구자의 작업에서 사용되는 포장지 속 이미지와 텍스트 구성 방식은 칼과 유사하게 부재를 포착, 기록하여 부재를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자의 작업은 흔적 수집, 포장 껍데기의 생산, 그리고 진열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흔적이 축적되어있는 껍데기를 촬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장지를 생산한다. 이는 껍데기를 기록하는 매체가 된다. 일상 속 포장지의 디자인 형식을 차용하여 껍데기의 이미지와 텍스트를 구성하고 속이 텅 빈 틀의 형태로 제작한다. 이렇게 재상품화된 껍데기는 진열대 위에 배치된다. 이처럼 연구자의 작업은 일상성을 강조하고 입체적인 기록과 감상을 가능케 하여 새로운 기록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자의 개별 작품 분석을 통해 껍데기에 본질을 부여하고, 껍데기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과정이 부재에 대한 불안과 미련을 해소해줬다는 것을 설명한다. 연구자는 껍데기를 기록하고 보관할 것을 제안하며 새로운 유형의 기록물보관소를 제시한다. 연구자의 예술적 표현이 빠르게 변해가는 시대를 대비하여 과거의 것을 기념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시도가 되기를 밝힌다. This paper studies the aesthetic perspective of a shell and explains the researcher’s artwork based on studying traces of the absence. In the paper, a “shell” is defined as an object that is habitually collected by the researcher. The researcher observes, analyzes, and categorizes shells by connecting a collector’s perspective with an artist’s attitude of observing objects in a different angle. The researcher refers to Jaques Derrida’s parergon theory in describing a shell as a supplementary issue or an accessory, parergon. Parergon is an embellishment and extra, an opposite concept of the core/essential, which is referred as ergon. Derrida denotes the interaction of parergon and ergon as a communication between the scarcity and supplements, and the border of the two is ambiguous. Due to this ambiguity, Derrida dismantles the framework of the concepts of parergon and ergon. The researcher frames the shell as parergon that enables the accessory to become the centerpiece and transcends the boundary of ergon and parergon in the artwork. The researcher describes the state of the shell by comparing it to Aleida Assmann’s concept of trash. Assmann depicts “trash” as objects without function and cannot be archived. However contemporary artists have attempted to make artworks from trash to demonstrate a new type of repository for trash. A shell without its contents is similar to trash devoids of any function or purpose; thus, the researcher suggests storing shells as a form of documenting the value of trash. The researcher regards the shell as an accumulation of traces. Traces prove the existence of the one in absence and make the viewers to be reminiscent of the past. Artistic work on observing and archiving the traces can resuscitate the ones in absence and ease the anxiety of confronting the absence. Through studying Haim Steinbach and Sophie Calle’s early artworks, the researcher explains the artistic expressions with shells. Haim Steinbach collects objects and rearranges them on a shelf. He communicates with objects while rearranging them and confers the status of artwork. Haim Steinbach’s shelf and the researcher’s display stand are parergon which provide the object a new concept. Sophie Calle revitalizes the ones in absence by collecting traces in images and texts. These traces are the proof of the existence of the ones in absence, and the works on the traces of the foregone ease the fear and anxiety from losing. The researcher’s design of images and texts on packages shares some similarities with Sophie Calle’s efforts and aims to consequently give the ability to overcome the absence. The researcher collects traces, produces packages, and displays the final product in her artwork. The researcher photographs the shells that have accumulated traces and uses the images of the shells to create packaging wraps. Each packaging wrap becomes a medium of storing a certain piece of memory. Borrowing a design of a package wrap from a commercial product found in daily life, the shells are presented as mass produced goods without their contents. These “re-commercialized” shells are displayed on shelves. The researcher emphasizes the dailiness and devises a new three-dimensional storage for memories. Analyzing the researcher’s artwork demonstrates the process of turning a shell into a centerpiece and examining the shell alleviates the fear and anxiety of absence. The researcher suggests a new type of archive by collecting and documenting shells. In a moment of rapid changes and transitions, the researcher’s artwork commemorates the past and prepares for an upcoming future.

      • 서브컬처를 전유하는 조각의 연구 : 연구자의 작업을 중심으로

        김정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서브컬처를 전유한 조각이 가진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넷(net) 상에서 볼 수 있는 밈(meme)의 하나인 ‘와 샌즈! 언더테일 아시는구나!’에는 오타쿠(おたく)를 조롱하는 의도가 숨어있다. ‘샌즈’는 게임 ‘언더테일’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해당 밈에서 오타쿠 자신이 향유하는 문화에 가지는 긍지와 상대방 또한 자신과 같은 ‘파편화된 언어’를 사용하리라는 기대를 볼 수 있다. 오타쿠는 서브컬처(subculture, 하위문화) 집단의 하나로, 대중에게는 허구의 이야기를 중시하며 타인과의 소통에 어려워하는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다. 근대의 식민지배와 지리상 가까운 이유로 일본 문화의 영향은 우리나라의 전반에 깊게 스며들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살펴볼 오타쿠 문화도 그중 하나이다. 연구자가 오타쿠 문화에서 주목하는 지점은 2차 창작으로 기존의 작품을 원전으로 삼고 이를 전유(專有)하여 재-창작하는 행위이다. 전유는 오타쿠와 같은 ‘팬덤’에서 흔한 현상으로, 헨리 젠킨스(Henry Jenkins)는 원전에서 오는 좌절이 2차 창작인 팬픽의 창작 동기라고 지적한다. 전유라는 방식에는 저작권의 침해라는 부작용이 존재하며, 이는 문제가 될 여지가 많음에 연구자 또한 동의한다. 하지만 오타쿠 문화에서 허구의 데이터베이스를 차용하는 행위는 암묵적으로 용인되고 있으며, 2차 창작의 특성을 활용하는 원전이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원전의 요소를 차용하는 작업은 동시대를 규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에서 보이는 보편의 형태이다. 동시대의 모방은 프레드릭 제임슨(Fredric Jamson)에 의해 패스티쉬(pastiche)라 명명되는데 패스티쉬는 패러디(parody)와 유사하지만, 표상에 그치는 가벼운 모방이다.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가 포스트모더니즘을 ‘거대 서사에 대한 회의’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는 큰 이야기의 해체와 그로 인해 파편화된 언어가 발생하는 현상에 기인한다. 또한 미디어가 인간의 소통과 행동을 규정한다고 주장한 마샬 맥루한(Herbert Marshall McLuhan)에 따르면, 동시대 디지털 매체의 완벽한 기술 복제의 가능성은 패스티쉬의 발생을 용이하게 한다. 아즈마 히로키(あずま ひろき)는 오타쿠를 포스트모더니즘의 존재로 규정하는데, 오타쿠 문화에서 보이는 2차 창작과 허구중시의 태도가 그 주장을 뒷받침한다. 사회 전반에 통용되는 언어보다 파편화된 언어에 집중하는 태도로 인해, 오타쿠가 소통에 무능한 부적응자로 보인다. 이는 오타쿠의 어두운 면의 하나로,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여 가상으로 도망치는 경우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이 부각된 사례이며 대다수의 오타쿠는 현실과 가상의 줄타기에서 혼란스러워하지 않는다. ‘펭수’가 말하는 ‘눈치 챙겨’는 가상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알면서도 이를 무시하며 몰입할 수 있는 현대인의 사고를 보여준다. 펭수는 방송사인 EBS의 캐릭터로 인형 탈을 쓴 연기자가 구현하는데, 기존의 인형극과 다르게 성인이 주요 팬층이다. 2차 창작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인 패스티쉬의 오타쿠 판(版)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의 작업은 오타쿠 문화를 전유하는데 이는 2차 창작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연구자의 작업이 2차 창작이라 단정할 수 없지만 2차 창작의 성질을 지녔다고 주장한다. 연구자의 작업은 조각으로 귀결되며 그로 인해 기존의 조각 언어와 문법이 등장한다. 선행작가인 무라카미 다카시(むらかみ たかし)는 오타쿠 문화에서 볼 수 있는 미소녀 피겨를 거대화하여 조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동시대 조각에서 보이는 서브컬처인 오타쿠 문화의 요소를 대상으로 하며 해당 서브컬처를 전유하여 조각으로 번역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다른 매체의 요소를 통해 조각의 언어나 문법이 확장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오타쿠 문화의 전유와 고전 조각 형식의 차용이라는 방법론을 택한다. 그 결과물은 고전 조각의 형식을 갖춘 생경한 형태거나, 조각에 편입되지 않았던 입체 문법을 차용한 익숙한 형태를 띠게 될 것이다. 연구자는 이 문화적 이종교배를 통해 새로움이 불가능해 보이는 포스트모더니즘에 저항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예술적 애도를 위한 환대의 만찬

        송엘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resent paper discloses that the formative work of the researcher, who is preparing a feast of hospitable reception, is established on the foundation of the concept of mourning, through artistic expression, the losses of contemporary man in the digital era. The paper grafts the researcher’s art practice onto the social role of the arts. The main text focuses on the dysfunctions of ‘infectious healing’ created by the media, which has designated as a melancholic contemporary man who has experienced loss in the dystopia which lies on the flipside of today’s technological utopia. The researcher views the sharp increase in suicide rates due to psychological causes such as anxiety, rage and depression, and suicides due to the Werther Effect, as pathological phenomena of hidden misery. The researcher, therefore, stresses the importance of healthy mourning to the melancholic living in this age of loss, so that her mourning is neither suppressed nor delayed. She gives her formative work the identity of an artistic expression of mourning for contemporary man. The researcher approaches mourning through the psychoanalytical perspectives of Sigmund Freud and Susan Kavaler-Adler. Freud classified cases of patients having suffered loss of a spouse through death into successful and failed cases, defining successful mourning as the bearing of loss and grief, recovering the libido invested, and having the ability to reinvest the same into a new object. Conversely, in depression, when the libido is withdrawn, instead of finding a new object of desire, it retracts into the ego to equate the self with the object which was lost. It then proceeds to judge and split the self, trapping the self in the shadow of the object which was lost. Depression is defined as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failed mourning. Freud’s mourning is centered on clinical cases of patients having lost a spouse to death. So that the researcher’s object of mourning is not limited to loss due to death, Susan Kavaler-Adler’s mourning was analyzed additionally. This expands the scope of the researcher’s mourning to all everyday psychological losses, including those due to death. The developmental mourning analyzed by Susan Kavaler-Adler plays the role of benevolent other and hugging place. The melancholic is put in a place of sympathy and made to form a new self-representation. The core idea of sympathy in a free environment so as not to suppress mourning is suitable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In the study of earlier work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Salvadore Dali came to fixate on the world of dreams rather than reality through paranoia and the Oedipus Complex was examined, and to explore how the paranoia-like psychological disorder of Dali’s was treated, Freud, an important associated personality, and his muse, Gala Dali, were discussed. Further, for comparative interpretation against the researcher’s work, the motive behind Dali’s food fetish was explored, and the motifs had by the food of Dali and that of the researcher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earcher’s work is based on the theme of ‘a feast of hospitable reception prepared by a wounded healer’, adopting the concepts of wound and hospitable reception as explained in the book The Wounded Healr by Henri Nouwen in describing the process by which the feast was prepared and the hospitable reception it is intended to give. The works discussed in the text were selected between works produced in between 2019 and 2020. ‘Candle’, based on the motif of sweat and tears for the melancholic, is described, and a cake symbolizing ‘Congratulations for Things Uncongratulated’-Happy Unbirthday is analyzed based on Elizabeth Kubler-Ross’ concepts of congratulations and play. In countenance of the fact that the ‘preparation for hospitable reception’ embodied by the kitchen in the work 《Pit- a- pat, Pit- a- pat, Miss Alie!》exhibited in 2020 sheds light on the wounds of the hospitable receiver, the scene from “Babette’s Feast” (1987) was extracted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symbolic nature of the place and of the act of sculpting food. In the conclusion, it is disclosed that the formative work of the researcher is intended to allow others who are marginalized by the individualism and digital culture of contemporary society to delve into their pain through a process of mourning, so that they do not internalize their relational and emotional wounds. The researcher’s visual expression of a feast through artistic mourning reveals that through hospitable reception, pain may be perceived as an object deserving of congratulations. Through everyday congratulations, it may be an attempt in changing our perspectives on loss. 본 논문은 환대의 만찬을 준비하는 연구자의 조형 작업이 디지털 시대에 현대인이 가지는 상실을 예술적 표현으로 애도한다는 작업 개념을 기반으로 연구되었음을 밝히며,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연구자의 작업관을 접목하여 기술한다. 본문은 기술 유토피아 이면의 디스토피아에서 상실을 경험한 상처받은 현대인을 멜랑콜리커로 지칭하고 미디어가 만들어낸 ‘유행성 힐링’의 역기능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불안, 분노, 우울 등의 심리적 원인으로 인한 자살률의 급증과 베르테르 효과로 인한 자살을 숨겨진 불행의 병리적 현상으로 본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상실의 시대를 사는 멜랑콜리커를 위해 애도가 억압되거나 지체되지 않도록 건강한 애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본인의 조형 작업이 현대인을 위한 애도의 예술적 표현이라는 정체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연구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수잔 캐벌러 애들러의 정신분석 관점을 통해 애도에 접근한다. 프로이트는 사별을 겪은 환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애도를 성공과 실패로 구분한다. 성공한 애도란 상실과 비탄을 감당하고 투자했던 리비도를 회수하여 새로운 대상으로 재투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으로 정의한다. 반대로 우울증은 리비도가 철수될 때 새로운 욕망의 대상을 찾는 대신 자아 속으로 철회하여 상실한 대상과 자신을 동일시한 후에 자아를 심판하고 분열시키므로 상실한 대상의 그림자에 갇히게 되는 것이며 우울증을 실패한 애도의 병리적 현상으로 규명한다. 프로이트의 애도는 사별로 인한 상실을 겪은 환자들의 임상 사례에 중점을 두고 있어 연구자의 애도 대상이 죽음으로 인한 상실로 제한되지 않도록 수잔 캐벌러의 애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별을 포함한 일상의 모든 심리적 상실로 애도 범위를 확장한다. 수잔 캐벌러에 의하면 발달적 애도는 자애로운 타자와 안아주는 환경의 역할로 멜랑콜리커를 공감의 자리에 두어 새로운 자기 표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며 자유로운 환경 안에서 공감하는 것으로 애도가 억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선행작가 연구에서는 살바도르 달리가 편집증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해 현실이 아닌 꿈에 세계에 집착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달리의 정신장애가 어떻게 치유되었는지 탐구하기 위해 프로이트와 갈라 달리에 관해 기술한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과 비교분석 하기 위해 달리가 음식 페티쉬를 가지게 된 동기를 탐색하고 달리와 연구자의 음식이 가지는 모티브를 살펴본다. 연구자의 작품은 ‘상처 입은 치유자가 준비하는 환대의 만찬’을 주제로 헨리 나우엔의 저서 『상처 입은 치유자』에서 설명하는 상처와 환대의 개념을 도입하여 만찬의 준비과정과 환대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문의 작품은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년간의 작업물 중에 선정하였으며 멜랑콜리커를 위한 눈물과 땀의 모티브를 가지는 ‘초’에 대해 기술하고 ‘축하받지 못한 것들에 대한 축하’-Happy Unbirthday 를 상징하는 케이크를 엘리자베스 퀴블러의 축하 개념을 기반으로 해석한다. 2020년 전시한 《Pit- a- pat, Pit- a- pat, Miss Alie!》에서 주방의 공간이 내포하는 ‘환대의 준비 단계’는 본인의 상처를 먼저 조명하는 환대의 첫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영화 <바베트의 만찬>, 1987 에서 바베트의 주방 장면을 추출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자의 조형 작업이 현대 사회의 개인주의와 디지털 문화로 소외된 타자의 관계적, 감정적 상처가 내면화되지 않도록 애도 과정을 통해 자신의 고통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것임을 밝힌다. 연구자의 예술적 애도를 위한 만찬의 시각적 표현은 환대를 통해 고통이 축하받을 수 있는 대상임을 인지할 수 있음을 규명하며 일상의 축하를 통해 상실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는 시도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

      • 디지털 방식을 활용한 현대미술의 비동일적 상상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한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thesis aims to analyze nonidentical imaginations of the researcher’s digital assemblage work, <A Chance Encounter>, and the follow up, three-dimensional work, <What are you thinking sir?>.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who faces the researcher’s work is made in the realm of perception. Depending on the viewer’s stream of consciousness, some stay in the realm of perception, while others extend their consciousness to the realm of imagination claimed by the researcher.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imagination in the researcher’s work by the relation of art history representation theory and expression theory, and studies the form of digital art focusing on metaphorical representation of postmodernism. Furthermore, meanings of perception, imagination, identity and non-identity are to be compared and analyzed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Thu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henomenon of nonidentical imagination that occurs in contemporary art is contemplated through the researcher’s works. The concept of imitation that reproducing a particular object as it is has long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value in Western Art since Plato and Aristotle. Imitation,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mimesis deeply involves a basic concept of human perception that objects are recognized through the sensory apparatus. However, as the 19th century had begun, the concept of art started to be shaken since the appearance of a new method which was ‘expressing’ one’s feelings rather than simple ‘representation’ of the outside world. In other words, the flow of art turned from objective-oriented representation to subject-oriented expression. Therefore, instead of objective ‘perception’ ability, ‘imagination’ became more important. This served as momentum for the beginning of modern art by replacing the ‘value of representation’ that lasted for around 2000 years to a new style called ‘value of expression’. Coming into the postmodernism era,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 had expanded to metaphorical representation, and appeared in various formats through digital art of new media. Entering The 20th century, this trend coincides with a philosophical movement that was trying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framework and insisting that the concept of imagination is the subordinate concept of perception. Jean-Paul Sartre, through his books 『L'imagenation』(1936) and『L'imagenare』(1940), defines imagination as a conscious activity rather than a sub-concept of perception. Sartre incorporates the imagination that belonged to material objects into the realm of mind and elevates the concept of imagination to the equivalent position as perception with one complete act of consciousness. And then Sartre says that perception and imagination have an asynchronism that cannot happen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he insists humans are linked to the world of perception and the world of imagination depending on how we see the world, but moving toward each different stream of consciousness. Theodor W. Adorno argues that the ordinary concepts and understandings of modern society follow the principle of identity, and aesthetic experiences through art follow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This means that while ordinary understandings are maintained by the principle of identity, but art works appear into their shapes by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that denies the forms of understanding of spiritual universality. This meaning of non-identity of Adorno was used to analyze the meaning of imagination in researcher’s works and modern art as an important valu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thinks that the reason for existence of modern art should play a role allowing humans to move to the realm of nonidentical imagination and beyond the realm of perception. In response, the researcher argues that his works, in which digital methods were applied should exist for the purpose of creating ‘space for imagination’ in an identity-oriented ‘managed society’. Like the representation and expression of art history, the aforementioned theories of philosophers can be analyzed in two separated streams, first, identity and non-identity, and second, the world of perception and the world of imagination. As Sartre claims, perception and imagination are equally entitled, they are placed in opposition, but they maintain tension with each other like the movement of seesaw, which cannot be separated.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constant circulation of perception (the principle of identity) and imagination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and the circulation expands our view and recognition system. The researcher’s works also seek viewers nonidentical imagination. The researcher’s work <A Chance Encounter> series is digitally formed. This work appeared as a form of metaphorical representation through processes of rendering of 3ds Max and V-Ray. The objects created in virtual spaces are installed in an exhibition hall, which is a real space. The exhibition hall, where the virtual space and the real space exist at the same time, are then transformed into a "space for imagination" claimed by Adorno by being mixed with the traces of visitors, works and the artist. The researcher defines this digitally processed series of <A Chance Encounter> as a digital assemblage. Directed in the Déepayments format and unique context, the researcher's digital assemblage works are not fixed in meaning but are used as a device to induce active imagination for viewers. The researcher’s three-dimensional work, <What are you thinking sir?> series also utilizes digital production method. In the process, not only the work, but also the space on display go through 3D simulation process to create a digital world called virtual space in between the imaginary space and the actual space. <What are you thinking sir?>, the series made this way, is perceived as humans and animals through forms of layers. However, the surface is covered with abstract and disorderly overlapping colors due to decalcomania techniques. In other words, the shapes of the works conjure up images of humans and animals, but the surface of the works are covered with colorful camouflage colors that are completely unrelated to these forms. These patterns are applied as camouflage affects of the shapes created through perception, and contain a meaning that the shapes and the surface are nonidentical. Also, the title, <What are you thinking sir?> contains a purpose, which is to ask audience that ‘What is it that you are imagining?’ when they perceive the researcher’s works. The meaning of non-identity in the researcher's work is a paradoxical question to the era that emphasize identity, and a device of resistance against the human society that is standardized. The principle of identity gives us a fixed view to see the world from our suitable positions in a ‘managed society’. This made us have the same point of view, enforce consensus and fixed interpretation. However,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makes it possible to face objects freely without such restrictions. So is contemporary art.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centered on various interpretations and sensibilities based on subjectivities of the audience expand views to see the world, and contemporary art should emphasize this principle of non-identity. The direction toward nonidentical imagination in contemporary art is becoming a clue to the emotional liberation of contemporary people who increasingly emphasizes identity. Therefore, the researcher emphasizes the phenomenon and role of nonidentical imagination in the researcher's works as a way of emotional expansion of contemporary people. 본 논문은 연구자의 디지털 아상블라주(Digital Assemblage) 작품인 <우연한 조우> 연작(聯作)과 입체 작품인 <무슨 생각이신가요?> 연작에 나타나는 상상의 비동일적 현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자의 작품을 대면하는 관람자의 시각은 지각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관람자의 의식 흐름에 따라 어떤 사람은 지각의 영역에서 머무를 것이고 또 다른 사람은 연구자가 주장하는 상상의 영역으로 의식을 확장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연구자 작품에서 나타나는 상상의 의미를 미술사의 재현론과 표현론의 관계로 분석한 후 포스트모더니즘의 은유적 재현을 중심으로 디지털 아트의 형식을 연구한다. 또한, 철학적 관점에서 지각과 상상 그리고 동일성과 비동일성의 의미를 비교 분석한다. 그리하여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미술에서 발생하는 상상의 비동일성 현상을 디지털 방식을 응용한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고찰한다. 특정한 대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모방의 개념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시기부터 오랜 시간 서구 미술의 중요한 가치로 여겨져 왔다. 모방 즉 미메시스 개념은 감각 기관을 통해 대상을 인식한다는 인간의 기본적인 지각 개념이 깊게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미술의 개념이 단순히 외부 세계를 ‘재현’하는 것이 아닌 작가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방법이 등장하면서 지각 중심의 재현 가치는 흔들리기 시작한다. 즉 객관 중심의 재현에서 주관 중심의 표현으로 미술의 흐름이 바뀌게 된다. 그리하여 객관적 ‘지각’ 능력 대신 인간 개개인의 비이성적 능력인 ‘상상’에 큰 관심을 두게 된다. 이는 약 2000년 동안 지속된 ‘재현의 가치’가 ‘표현의 가치’라는 새로운 화두로 교체되면서 현대미술의 시작을 알리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맞이하면서 재현의 의미는 은유적 재현으로 확장되면서 또 한 번의 변화를 맞이하며 새로운 매체인 디지털 아트를 통해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흐름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상상의 개념이 지각의 하위 개념이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려는 철학적 움직임과 맞물려 있다. 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는 그의 저서 『상상력 L’imagenation』(1936)과 『상상계 L’imagenare』(1940)를 통해 상상을 지각의 하위 개념이 아닌 하나의 의식 활동으로 정의 내린다. 사르트르는 물질적 대상에 속해 있던 상상력을 정신의 영역으로 편입시키고 하나의 완전한 의식행위로 상상의 개념을 지각과 동일한 위치로 격상시킨다. 그러면서 사르트르는 지각과 상상은 동시에 일어날 수 없는 비동시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이에 인간은 세계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서 지각의 세계와 상상의 세계라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각각 다른 의식의 흐름으로 나아감을 주장한다. 테오도르 아도르노(Theodor W. Adorno)는 현대사회의 통상적 개념과 이해는 동일성의 원리에 따르며 예술을 통한 미적 경험은 비동일성의 원리에 따른다고 주장한다. 이는 통상적 이해는 동일성의 원리로 유지되지만, 예술작품들은 정신적 보편성의 이해 형식들을 부정하는 비동일성의 원리로 그 모습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아도르노의 비동일성에 대한 의미는 본 논문의 중요한 가치로서 현대미술 및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상상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연구자는 현대미술의 존재 이유가 인간이 세계를 바라봄에 있어 동일성에 중점을 둔 지각의 영역을 넘어 비동일적 상상의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연구자는 디지털 방식을 응용한 연구자의 작품이 동일성 중심의 ‘관리되는 사회’ 속에서 ‘상상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존재하여야 함을 주장한다. 앞서 말한 철학자들이 주장하는 이론들은 미술사의 재현과 표현처럼 동일성과 비동일성, 지각의 세계와 상상의 세계로 두 줄기에서 분석될 수 있다. 지각과 상상은 사르트르의 주장대로 동등한 의식의 자격이 주어지며 정 반대에 서 있는 관계이지만 분리될 수 없는 시소의 운동처럼 서로 긴장감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동일성의 원리인 지각과 비동일성의 원리인 상상이 끊임없이 순환하며 우리의 시각과 인식 체계를 확장하기 때문이다. 연구자 작품 역시 관람자의 비동일적 상상을 추구한다. 연구자의 <우연한 조우> 연작의 형식은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오브제를 그대로 그려내거나 사진을 찍어서 오려 붙인 콜라주 기법이 아닌 3ds Max와 V-Ray의 렌더링(Rendering) 과정을 거쳐 은유적 재현으로 나타난다. 가상의 공간에서 만들어진 오브제들은 실재의 공간인 전시장에 설치된다. 가상의 공간과 실재의 공간이 동시에 존재하는 전시장은 관람객과 작품 그리고 작가의 흔적이 혼합되어 아도르노가 주장하는 ‘상상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된다. 연구자는 이같이 디지털로 처리된 <우연한 조우> 연작을 디지털 아상블라주로 정의한다. 데페이즈망(Dépaysement) 형식과 독특한 상황으로 연출된 연구자의 디지털 아상블라주 작품은 의미가 고정된 것이 아닌 관람자에게 적극적인 상상을 유발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연구자의 입체 작품인 <무슨 생각이신가요?> 연작 역시 디지털 제작 방식을 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작품뿐만 아니라 전시되는 공간까지 모두 3D 시뮬레이션 과정을 거쳐 실제 공간과 상상 공간 사이에 가상의 공간이라는 디지털 세계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무슨 생각이신가요?> 연작은 레이어(layer) 형식을 통해 인간과 동물로 지각된다. 하지만 그 표면은 데칼코마니 기법으로 인해 추상적이고 무질서한 색의 겹침으로 덥혀있다. 즉 인간과 동물이라는 형상을 떠오르게 하지만, 작품 표면은 이러한 형상과 전혀 연관이 없는 화려한 위장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무늬는 지각을 통해 만들어진 형상을 위장하는 효과로 적용하며 외형과 표면의 비동일적 의미를 담아낸다. 또한, 작품 제목 <무슨 생각이신가요?>의 의미는 관람자에게 연구자의 작품이 지각되는 순간 ‘당신이 상상하는 것은 어떤 것인가요?’라는 질문이 담겨 있다. 연구자의 작품에 담겨 있는 비동일성의 의미는 동일성을 강조하는 시대에 대한 역설적 질문이자 획일화되는 인간 사회에 대한 저항 장치이다. 동일성의 원리는 ‘관리되는 사회’에 사는 우리에게 적당한 자기 위치에서 고정된 시선으로 세계를 바라보게 한다. 동일한 시선으로 대상을 바라보게 하고 합의와 고정된 해석을 강요한다. 그러나 비동일성의 원리는 그러한 제약 없이 자유롭게 대상을 대면하게 만든다. 현대미술 또한 그러하다. 주관에 따른 관람자의 다양한 해석과 감성을 중심으로 한 비동일성의 원리는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을 확장하게 하고 현대미술은 이러한 비동일성의 원리를 중시해야 한다. 현대미술의 비동일적 상상의 지향점은 점점 더 동일성을 강조하는 현대인의 감성적 해방을 위한 실마리가 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현대인의 감성적 확장을 위한 방법으로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상상의 비동일성 현상과 역할을 강조한다.

      • 형상적 언어의 비결정성에 관한 알레고리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대철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how allegorical rhetoric might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indeterminate properties in modern art pieces inclined to deconstructionism. In particular, by exploring the artworks featuring figurative languages that the researcher is focused on, the article will try to interpret the ambiguity, unintelligibility, futility and equivocality recognized in the inherent indeterminacy of such works. As this research finds such an interpretive frame, which the researcher will use to analyze the researcher’s own artworks and contemplate further on interpreting other artworks and understanding the semantic interactions, that frame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modern artworks with deconstructionist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such analytical processes. To this end, the overall research direction and related theoretical grounds with examples are presented as below. 1. Texts in modern art act like image objects and function as one of persuasive methods of artistic expression. While texts were traditionally understood for their primary functions of communicating through reading and writing, the postmodern era would understand their additional function as that of images. Texts do not only deliver ideas anymore–they are now recognized to have sculptural and artistic functions of enabling the audience to appreciate and experience them. Consequently, texts in art now function as objects carrying symbolical and indeterminant meanings and project diverse implications. 2. In addition to the inevitable indeterminacy of languages, equivocality and nonsense of such elements in art is analyzed in relation to allegories. Through this analysis, ambiguity, unintelligibility and nonsense in works featuring figurative languages are explored. 3. Focusing on such works about figurative languages, which constitute one of the major pillars of the researcher’s artworks, this research explores symbolism, connection to allegories and deconstructionist trends found in such works. Finally, the research will try to figure out how application of allegorical approaches will enable multiple interpretations of one object effectively.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goals, this article tries to approach the indeterminacy of modern artworks that enable potentials for diverse interpretations by trying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figurative languages. That approach starts from exploring the historical timeline of allegorical rhetoric and figurative languages–interest in allegories reached its peak in the beginning of modernism in relation to its stark contrast to symbolism and declined afterwards–followed by comparative analysis of symbols, which takes part in the basis of the researcher’s own artworks. Then, by learning about figurative languages, the research will go further to touch upon the related factor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s and use of texts in the context of modern art and culture. The next target of exploration is the way the figurative languages are applied in modern art and their artistic potentials. In this context, the artistic and semiotic values of figurative languages a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allegories, thereby finding ways for interpreting their polysemic properties. Through deconstructionism suggested by philosophers like Walter Benjamin, Paul de Man and Jacques Derrida, who founded basis for understanding modern allegories,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modern allegories will also be explor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ideas by Craig Owens’s “The Allegorical Impulse”, the modern art examples that could be interpreted by understanding the allegorical properties will be discussed. Ultimately, analysis on sculptural properties and their potentials for interpretation of modern art regarding allegories and symbols are to be applied to the example works that use texts as images and their diverse allegorical properties, so that those examples might be compared to the researcher’s own artworks. The artists that the researcher has chosen for literature review and comparison are Ed Ruscha, Jack Pierson, Joseph Kosuth and Jaume Plensa. Lastly, by analyzing the researcher’s own works, diverse potentials for application and their differences regarding their figurative languages are investigated, especially since most of the researcher’s works have started based on symbolism or pessimistic sentiments like futility or deadliness, where symbolism and allegorical connections could be found. In addition, use of colors in the selected sample works might also be decoded to their allegorical meanings, by applying theories of colors by Goethe and Kandinsky, showing how the symbolical implications within a work could carry multiple meanings or could even be understood as completely meaningless. Use and adoption of objects, wordplay, deformation and overlapping are also brought as examples for continuous attempts for diverse allegorical approaches. Through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has learned that allegories are not only used in ambiguous modern artworks that are almost unable to fully comprehend but in the entire contemporary art and culture including literature, painting, music and films. As the indeterminacy and futility inherently implied by figurative languages are approached allegorically and applied to modern art, this research shows that trying to exclude multiple interpretive possibilities, set boundaries, look for a clear definition and set a fixed meaning–regarding all the objects including the researcher’s own works–could only be completely in vain. 본 연구는 해체적인 경향이 짙은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비결정적인 속성에 대하여 알레고리 수사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특히 연구자가 집중하는 형상언어 작품을 통해 비결정성(Indeterminacy)이 내포하는 애매함, 난해함, 허망함, 다중적인 의미 등의 해석에 다가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성취한 해석의 틀은 본 연구자의 작품 분석에 활용하고자 하며, 향후 작품의 해석과 의미작용에 대한 숙고이며, 현대미술에서 보여지는 해체적인 성격의 작품 해석과 그 과정을 제시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의 주요 방향을 설정하고 이론적 근거와 예시로서 밝히고자 한다. 1) 현대미술에서 문자는 이미지로 작용하며, 설득력 있는 예술의 방법으로 기능하고 있다. 기존의 문자는 쓰고 읽는 본래의 기능적 요소가 강한 반면에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진입하며 이미지로 기능하게 되었다. 이에 기존의 문자가 가지던 관념에서 벗어나 보고 경험하는 조형성, 예술성을 성취하게 되었다. 그 결과 문자는 상징성, 불안정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현대미술 작품 안에서 일종의 오브제로 기능하며 다양한 의미들을 발산한다. 2) 언어가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비결정성과 더불어 다중적 의미와 무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으로써 알레고리와의 연관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형상언어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난해함과 모호함, 무의미성에 대해 탐구한다. 3) 연구자의 작품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형상언어 작품들을 중심으로 그 안에서 드러나는 상징성과 알레고리와의 연결성, 해체적인 경향 등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알레고리의 적용이 하나의 사물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지 그 실효성을 알아본다. 상기한 연구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비결정성과 그로 인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에 대하여 형상언어의 알레고리적 해석을 시도하고 접근한다. 먼저 알레고리의 역사적 전개와 형상언어에 대해 고찰한다. 알레고리는 모더니즘 시대에 들어와 상징과 대립각을 이루다 쇠퇴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살펴볼 것이며,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도 한 축을 담당하는 상징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또한, 형상언어의 고찰을 통해 이미지와 문자의 관계, 현대 예술과 문화 속에서 문자의 활용 등을 연구한다. 다음으로 형상언어가 현대미술 속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 예술적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형상언어가 가지고 있는 예술적, 기호적 가치는 현대적인 알레고리의 특성을 연결 지어 다의미(Polysemy)적 성격에 대한 해석의 길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적 알레고리의 기반을 마련한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과 폴 드 만(Paul de Man), 자크 데리다(Jaques Derrida)의 해체주의를 통해 현대적인 알레고리의 특성과 적용을 살핀다. 특히 크레이그 오웬스(Craig Owens)가 논의한 ‘알레고리 충동’의 논의을 통해 알레고리의 특성으로 해석할 수 있는 현대미술 작품의 사례를 본다. 궁극적으로 알레고리와 상징에 대한 현대예술의 조형성 및 해석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은 다양한 알레고리의 특성을 문자를 이미지로 사용하는 작품을 사례로 본 연구자의 연구 작품과 비교 할 수 있게 한다. 연구자가 비교 대상으로 삼은 선행 작가는 1) 에드 루샤(Ed Ruscha) 2) 잭 피어슨(Jack Pierson) 3) 조셉 코수스(Joseph Kosuth) 4) 하우메 플렌자(Jaume Plensa) 의 작품들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 분석을 통해 형상언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비결정성들과 알레고리 해석에 대한 적용과 차이를 밝힌다. 특히 연구자의 작품은 상징을 기반으로 출발하거나 허무함과 죽음과도 같은 감정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 안에서 상징과 알레고리의 연결성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연구의 표본으로 설정한 작품 속에 드러나는 색상 역시 알레고리적 의미 변환이 가능한데 이는 괴테와 칸딘스키의 색채론을 적용한다. 이는 작품 안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징성이 다양한 의미를 가지거나 무의미해지는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오브제의 사용, 차용, 언어유희, 형태의 변화, 중첩 등을 예로 들며 알레고리적 접근을 계속해서 시도한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알레고리는 난해하고 모호한 현대미술뿐만 아니라 문학, 미술, 음악, 영화 등에 이루는 현대의 문화예술 전반적인 부분에 적용되고 있음을 사료할 수 있었다. 또한, 형상언어가 지니는 비결정성과 허무함 등에 대한 알레고리 접근을 현대미술에 대입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자의 작품을 포함한 모든 대상을 읽어냄에 있어 다양한 의미를 흡수하지 않고 경계를 구분 짓는 것, 명확한 정의를 내리고 의미를 규정하는 행위는 오히려 무의미해질 수도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효율적인 조각 연구 : 본인 작품론을 중심으로

        김문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빠르게 변화하고, 가볍게 소비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지금의 시대상과 다른 조각 매체의 비효율적 측면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연구를 토대로 효율적인 조각 방법 및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tendency in the medium of sculpture to be inefficient in the context of today's society where changes happen fast and things are lightly consumed and conveniently done. Another purpose is to analyze my works and the efficient ways of creating sculptures.

      • 현대조각의 확장적 탈경계성 연구 : 연구자의 Ambiguous wall 시리즈 중심으로

        김병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al and artistic properties of the modern architectural sculpture and the formation of their artistic implications, based on postmodern critical theories towards sculpture. Human’s visual and cognitive perception require diversity, because of the complexity and plurality of modern culture. Such perceptive actions are more than simple cognitive functions but require multi-level and multi-sided contemplation over them. Therefore, space is included as a new object for perception. Space, as the modern society has advanced, also developed to involve complex and multiplicative factors when arranging or dividing it–that development can be explained by the clear difference of postmodern architecture from the modern one. In modernist architecture that prioritized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inside and outside were clearly divided. While concrete was material that looked heavy and therefore created inherent burden, that burden was resolved by assigning glass windows appropriately. Meanwhile, in the postmodern era, using glass and its transparency as the tool to arrange spaces creatively emerged as a new trend, which might be called ambiguity of boundaries. That ambiguity between inside and outside did not only change the architectural structure but also blurred binary borders among architectural elements. The new processes and methods of dividing a space catalyzed change of aesthetic paradigm, further eliminating the existing dichotomy segregating the essential and nonessential or the essential and supplementary. Consequently, in the postmodern art scene that emphasized ambiguity of division between genres, architectural sculpture emerged. In the extended fields of architecture and sculpture or landscapes and environment, architectural sculpture cross boundaries and invade, connect and share with the neighboring territories that were supposed to be divided traditionally. In particular, void and grid, the concepts that had emerged before the beginning of modernist art criticism and played their own roles depending on the contexts related to the trends, again gained emphasis when discussing modern sculpture and architectural sculpture. Grid, which was employed to let painting escape the traditional representative roles, was used by minimalist sculptors to define the theatr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sculptural pieces. For modern sculptors, void and grid were more than for the functional roles to minimalize the forms–they were in the core of the sculpture portraying the temporal and spatial properties. Jacques Derrida and his signature deconstructionist theory provided an invaluable clue to understand sculptural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formation and interaction of implications of modern and architectural sculpture. “Parergon” (supplements of “ergon” or work), first suggested in “Critique of Judgment (Kritik der Urteilskraft)” by Immanuel Kant, is the peripheral or surplus element outside the essential part and is denied inclusion to artistic interpretation. On the contrary, just as the history of modern abstract philosophy suggests, “ergon” of the work, the essential part that is complete by itself, is understood as the work as the whole. Derrida overturned the traditional binary and hierarchical segregation of ergon and parergon. To Derrida, parergon reveals the deficiency of ergon and establishes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Since this process could ironically enable parergon to replace and surpass ergon, parergon has become a key term for art criticism suggesting fresh interpretation of art. Derrida’s difference and deferral of meaning or “Différance”, the concept established while being distanced from Saussure’s linguistic difference or Heidegger’s ontological difference, suggested how to explore the new meaning of modern and architectural sculpture, in addition to Rosalind Krauss’s postmodernist critique of sculpture. While aforementioned ergon-parergon implies topological shift of sculptural elements, difference-différance sheds light on semantic interaction produced by the temporal and spatial properties in the whole context of an artwork. In particular, it shows how a meaning is generated and spread in modern architectural sculptural pieces, including sculptural works embodying 3-dimentional objects. The researcher’s artwork has been estimated to be an appropriate object for analyzing by applying ideas on postmodern properties of architectural sculpture and Derrida’s deconstructionist theory. The philosopher’s theory was applied to touch upon the characteristics of a modern space and semantic interactions between the artwork and spatial elements. At the background that enables interactions between postmodern grid and negative space, the composition of the objects and the shades of them–the effects of light that the artist had spontaneously discovered during the production–cross boundaries between genres, since they are like architectural sculpture as well as shadow drawing. Grid of architectural sculpture interact with the temporal and spatial properties generated from the negative space, expanding themselves to become an environment and landscape as well. Such interaction results from the différance -based relationship created by the repetition and difference of the traces remaining in the time and the space. Ultimately, the relief series “Ambiguous Wall” has accomplished multisensory experience of spatial cognition in a modern architectural space, the completion of the wholesome and comprehensive experience. While the work tried to portray an urban landscape, by employing political implication of glass to build a postmodern object, it intended to understand the overcrowded modern urban landscape as depersonalized and inhumane. By stacking and deconstructing building objects, the work tries to reinterpret the traces of individual buildings and their différance -based relationship. As the audience enters the space and makes intervention, that motility of the audience interaction also creates more repeated creation of traces and différance. The void created by the grid, temporal properties embodied in the negative space, overlap of changing time within the grid and suspended time of the audience will generate a chain reaction of semantic interaction and permanent continuity of multilayered moments that produce eternity. 본 논문은 현대 건축조각의 조형성과 예술성을 포스트모더니즘 조각 비평에 입각하여 그 특성과 예술적 의미의 생성과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현대문화의 복잡하고 다원적인 성격에 의하여 인간의 시, 지각에는 다양성이 요구된다. 이는 시, 지각을 이용한 감각작용은 단순한 인지작용을 넘어 외부 요소에 대한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인식의 숙고를 필요로 하며, 이에 공간을 새로운 인지의 대상으로 편입하였다. 공간 역시 현대사회의 발전에 따라 그 배치나 구획에 있어 복잡하고 복합적인 성격을 필두로 발전했는데, 이는 모더니즘 건축과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차이로 설명이 가능하다. 기능과 효율을 최고의 가치로 여겼던 모더니즘 건축에서 내부와 외부는 명백히 구분되어 있었다. 비록 콘크리트라는 소재가 가진 시각적 하중과 이로 인한 부담감을 내포하고 있었지만 유리창의 활용으로 이는 해결이 가능한 것이었다.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에 이르러 유리창의 투명성을 이용하여 공간의 배치에 있어서 새로운 경향이 탄생했다. 이를 경계의 모호성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안과 밖,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허무는 경계의 모호성은 단순히 건축물의 구조뿐만 아니라 건축 요소 간 이분법적 경계를 허물었다. 새로운 공간의 구획 과정과 방법은 미학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발했는데, 이는 기존의 본질과 본질 아닌 것, 본질적인 것과 부가적 잉여물을 구분하는 이분법의 철폐로 이어졌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들어서 장르 간 경계의 모호성이 강조된 예술계에서도 건축조각의 등장을 암시한다. 이에 건축조각은 건축과 조각, 풍경과 환경의 확장된 장에서 경계를 넘나들고 전통적으로 구분되어온 고유한 영역을 서로 침범하고 연걸하며, 공유한다. 특히 그리드(Grid)와 빈 공간(Void)은 모더니즘 미술비평 이전부터 부상한 개념으로 시류에 따라 역할을 수행했다. 이제 현대조각, 건축조각에 이르러 그 역할이 다시 한번 부각됨을 살펴볼 수 있다. 회화의 재현적 기능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등장한 그리드는 미니멀리스트 조각가들에 의해 차용되었고 그들 조각의 연극적 성격을 규정짓는데 활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대 조각에 이르러 빈 공간과 그리드는 형태의 단순화를 추구하는 기능성을 벗어나 시간성과 공간성을 담는 조형의 핵심으로 부각되었다. 이와 더불어 데리다와 그의 대표적인 해체주의 이론은 현대 조각과 건축조각의 조형성과 예술성, 의미 생성과 그 작용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단초를 제공한다. ‘파레르곤’은 칸트의 저서 『판단력비판 Kritik der Urteilskraft』에서 언급된 것을 시작으로, 예술작품의 의미에서 본질적인 것을 제외한 부차적인 것, 잉여물의 예술적 의미로의 편입을 부정한다. 이는 근대적 관념 철학의 계보가 위시하듯 본질적인 것으로서 작품인 에르곤은 그 자체로 완결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데리다는 에르곤과 파레르곤의 양분되고 상하의 지위로 규정된 전통적 위계를 뒤집는다. 데리다에게 있어서 파레르곤은 에르곤이 결핍된 존재임을 드러내면서 상호보완적 관계를 이룩한다. 이 과정에서 파레르곤은 오히려 에르곤을 대체하고 뛰어넘는 것으로 부상하고 새로운 예술의 해석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용어로 제시되었다. 또한, 소쉬르의 언어학적 차이와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로부터 거리를 두며 성립한 데리다의 차이와 지연, 그리고 차연은 크라우스의 포스트모더니즘 조각비평과 더불어 현대조각, 현대 건축조각의 새로운 의미를 탐구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앞서 논의한 에르곤-파레르곤이 조형 요소 간 위상변화를 의미한다면, 차이와 차연은 전체 작품 안에서 시간성과 공간성이 내포하는 의미작용을 나타낸다. 이는 특히 3차원의 입체를 형상화한 조각을 포함하여 현대 건축조각의 의미 생성과 산종의 과정을 드러낸다. 연구자의 작품은 앞서 논의한 건축조각의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과 데리다의 해체주의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는데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현대 공간적 특징과 작품과 공간 구성 요소 간의 의미작용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하여 데리다의 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는 초기 작품에서 드러난 건축조각의 건축적 특징과 조각적 특징 간 경계를 허무는 것에서 시작한다. 포스트모더니즘적 그리드와 네거티브 스페이스의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배경을 마련하였으며, 작업 과정에서 발견한 그림자의 효과에 따라 건축조각에서 그림자 드로잉으로, 다시 그림자 드로잉에서 건축조각으로 장르 간 경계를 허무는 탈경계성이 드러난다. 이는 건축조각이 가진 그리드와 네거티브 스페이스에서 발현된 시간성과 공간성이 환경과 풍경으로서 확장되며, 시간과 공간에 남겨진 흔적의 반복과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차연적 관계 맺음에 의한 것이었다. 궁극적으로 <Ambiguous wall> 부조 시리즈에 도달하여 현대 건축공간과 공간 인지의 공감각성, 그 통합적이고 체험적인 경험의 총체를 성취한다. 도시 풍경을 담아내는 시도에서 유리의 정치성과 포스트모더니즘 건축물로 과포화된 현대 도시의 풍경을 몰개성적이며 비인간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해석했다. 이를 통해 연구자의 작품은 건물을 중첩시키고 해체하여 개별 건물이 가진 흔적들과 차연적 관계에 대하여 재고한다. 아울러, 관람행위의 개입을 통하여 조각 관람의 행위 과정에 내포된 운동성으로 흔적의 반복과 차연의 탄생을 의도한다. 이에 그리드로 인해 탄생한 빈 공간, 네거티브 스페이스에 담아낸 시간성, 그리고 그리드와 함께 변화하는 시간의 중첩과 감상 과정에서 얻어지는 정지된 시간은 의미작용의 연쇄가 일어나는 지점이자 영속성의 발현으로 다층적 순간의 영원한 지속으로 볼 수 있다.

      • 측정을 통한 자화상 제작연구

        김민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연구자가 측정을 사용하여 제작한 자화상 또는 자소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풀이해본 ‘자화상’이 지니고 있는 미술사적 의미를 연구하여, 조금 더 깊이 있는 작품의 해석을 시도한다. 자화상이라는 단어의 어원부터 시작하여, 다른 예술가들은 본인의 자화상을 어떻게 해석하고 그려왔는지 살펴본다. 아울러 ‘자화상’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방식의 해석과 그 의미의 폭이 넓어져 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그 외에도 동양과 서양의 관점에서 볼 때, 각각의 다른 특징을 지니고 어떠한 방식으로 해석됐는지 알아본다. 연구자의 작업이 자화상의 한 부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연구자를 표현해왔는지 기술한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의 의미를 해석해보고, 다른 작품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깊이 알아본다. 연구자의 작품분석에서는 연구자가 실제로 생활하면서 혹은 유년기에 느껴왔었던 감정을 토대로 그려온 자화상을 학술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지 탐구하고 있다. 연구의 주제에 덧붙여서 연구자의 작업은 ‘죽음’이라는 계기를 통해 시작하였다. 그것에 기반하여 여러 자화상과 자소상을 제작해 나갔기 때문에, 앞서 다른 작가들이 자화상을 통해 풀어가는 내면과 어떻게 ‘죽음’을 계기로 작업을 풀어왔는지 비교 분석해 나아간다. 연구자의 작품들은 주로 본인의 신체를 사용한다. 연구자의 두상을 실제 비율로 ‘측정’하여 작품에 사용한다. 작가의 신체측정을 반영하여 만들어진 이미지들을 작업으로 만든다. 그렇게 함으로써 연구자의 작업은 사람을 직접 본뜨는 것과는 다르게 제작된다. 실질적으로 연구자의 두상 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기록되는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다양한 자화상 또는 자소상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연구자의 내면을 개념 미술로써 은유적으로 표현하려 한다.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해서 연구자의 자화상이 지닌 의미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생각해보는 것으로 마무리를 짓는다. 오래전부터 제작되어온 수많은 자화상 속에서 연구자의 자화상은 그것들과는 다른 어떠한 작품으로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서술하며 결론에 다다른다. This paper examines my self-portrait paintings and sculptures that are made through measurement. A deeper analysis of the works is conducted, researching on the meaning of "self-portraits"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It is examined how artists have made and understood their self-portraits, starting from where the word "self-portraiture" derived from. Moreover, the various ways of construing self-portraits and how they came to convey a wide variety of meanings are examined. In addition, I compare and contrast the Eastern and the Western perspectives on them. I explain how my self-portraits have represented myself and compare them with other works. In the analysis of my works, I search for ways to take an academical approach on the self-portraits that began from my childhood experiences. The subject "death" also was a starting point for for my works. As the self-portrait paintings and sculptures were made based on the subject, I compare the minds that other artists discuss through self-portraits with how "death" became the subject of my works. I often involve my body in my works. I use my head in its actual ratio as a means of "measurement". The images created from measuring my own body are turned into works. In doing so,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works that make mere casts of the body. Various attempts from within my head are recorded and made into works. By measuring my self-portraits, I try to show my inner mind metaphorically as conceptual art. The paper concludes by understanding, analyzing and thinking about the meaning behind my self-portraits from various angles. It arrives to the conclusion by summing up how my self-portraits have value out of a myriad of self-portraits that have existed in history.

      • 결핍의 형상화를 통한 내면 치유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유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결핍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이를 형상화하는 것이 치유의 방법론으로써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누구나 결핍을 안고 살아가고, 그로 인한 상처로 괴로워하는데, 이 결핍의 원인은 과연 어디에서 찾을 수 있고, 사람은 반드시 고통받으며 살아야 하는가에 하는 결핍의 근원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Ⅱ장에서는, 결핍의 필요성과, 상처와 결핍, 욕구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이때 매슬로의 욕구 5단계설은 인간이 가진 욕구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또한 이로부터 파생된 결핍이 어떠한 이유에서 시작된 것인지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돕는다. 2절에서는 본 연구자가 작품활동을 함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노장사상의 노자(老子)가 『도덕경』을 통해 계속해서 풀어내는 도(道)의 개념을 치유적 관점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노자가 말하는 도(道)는 모든 자연 만물의 시작이자 어디에나 보편적으로 작용하는 우주원리이다.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제작 과정에서 경험한 반복행위의 수행적 측면의 타당성에 대해 연구한다. 치유적 측면에서 내면의 결핍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하는가? 그리고 그로 인한 상처를 끄집어내 ‘형상화’ 하는 작업이 결핍을 치유함에 있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연구자가 작품제작 과정에서 수행적 의미로 활용한 ‘반복행위’가 실제로 내면을 치유함에 있어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지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한다, In humans, deficiencies or wounds are not necessarily interpreted as negative. Because deficiency always presupposes desire, and people always move to satisfy their desire, and it can be said that repetition of fulfilling the desire only to find out a new one acts as the driving force of lif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cept of the Taoism of Lao-tse Philosophy for healing the mind is not intended to eliminate the need nor to completely satisfy the desire, but it is an attempt to learn to not relate to the need or lack. In that way, Lao-tzu says one must follow the road by blocking his senses and emptying his mind to maintain a clear, calm state like a mirror. For the cultivation of the Tao, I discarded the desire to know and the desire to know (虛) and maintained the calmness of the mind. You have to figure it out right away. This researcher's work of creating the deficiency of himself is a means of conveying the will and spirit of the researcher to the audience through winning a prize, and a way to pursue his own way. It can be said. This is why all the researcher's works require repetitive, labor-intensive, and long-term investment in terms of production method. Considering that “action” is a kind of stimulus, the fact that an action is repetitive is the same as saying that a similar stimulus is continuously given. Physically, humans tend to automate behavior when the same behavior is repeated – in other words,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through habits. It means that human beings can minimiz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imuli as long as the behavior is automated. Thus, in a state whe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imuli are minimized, a person feels calm and stable. Therefore, the fact that the continuous and repetitive movements in terms of the method of production of work has entered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earcher's pursuit of psychological 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get an answer to what role shaping one's own deficiency plays in inner healing, and what the researcher's position on the process means. It has been found that repetitive acts in the methodical aspect of work production can have a performance characteristic by helping to pursue imagination. It was found that the purpose was to convey meaning through erecting statues. Also, from the point of view of healing of deficiency, it was also examined that the process of first facing the deficiency and accepting it honestly should come first.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er has contributed to widening the perspective of th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oriental aesthetics in interpreting numerous works on the subject of deficiency and healing in contemporary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