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이오 레더의 추상적 표현성을 응용한 비건 패션디자인 연구 : 소재개발을 중심으로

        김남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7772927

        As the first fashion material that has co-existed with the human history for a long time, natural animal leather is still being widely used with the perception as the high quality material. However, problems of CAFO, reckless slaughter/mistreatment, abuse of toxic chemicals and lack of ethics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or modern textile⦁fashion industries have enormous effects on animals and environments, even threatening a human life. Vegan fashion is based on ethical values considering the co-existence with ecosystem of the earth in addition to animal protection and it is demanding new and harmless production procedures under the awareness of a wide range of issues on animal materials. Hence, biomaterials are regarded as safer ones since they are based on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sourced from the biological inspiration. They have a common denominator with vegan fashion in that they lay stress on animals and eco-friendly values, rising as the core field of the next generation textile⦁fashion industries under a concept of the advanced materials according to the innovative material system. Fueled by the situation above, as for bio, convergence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actively in many fields. In particular, unlike domestic design research in regard to this topic above, overseas research cases are constantly increasing based on biomaterial production and application. Most of them are still in the prototype stage, however, at this time when we need safe, sustainable and innovative materials without cruelty, they function as a driving force to make a new attempt. Therefore, along with ethical values of vegan fashion considering animal, human and environment as the beings coexistent with each oth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type of aesthetic leather by applying abstract expression which manifests in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io-leather. With the application of it to fashion design, the research examines its feasibility into vegan fashion design that covers diversity and creativity and as the basic research it intends to contribute to its practical use in follow-up stud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both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work, composed of material development and design, were conduc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backgrounds and production principles of bio-leather and vegan fashion through the theoretical research, the study investigated related cases in art and fashion fields to apply and express abstract form represented from physical properties of bio-leather. In addition, by exploring physical properties and expressive techniques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study prepared a foundation for material development and design applying abstract expression. Furthermore, considering the frequent errors in making clothes and difficulty in predicting a result since the material has variable and accidental properties, real garments were produced after simulation with CLO 3D. As a result, the study proposed 10 materials and 6 costumes. The summaries and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still undefined concept which began to be mentioned recently, bio-leather has the meaning of leather sourced from biological inspiration so it allows a wide range of categories even including animal components. However, as shown in this research, from a perspective of vegan fashion it is reasonable to minimize animal components by approving some materials only acquired ethically. Second, it was found that vegan fashion begun to improve various issues from the animal fashion industry was expanded to responsible and ethical fashion even considering issues of human rights and damages to the environments as a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recommended to develop nontoxic bio-leather or an advanced material which is not harmful to the ecosystem. Also, by exploring and implementing material and design developmen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ethical values, needs and directions of bio-leather for vegan fashion. Third, since bio-leather can cover a wide range of raw materials and it is required to apply production principles and modes by object owing to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preliminary experiments are essential about whether materializ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tudy selected and researched an agar compound and Kombucha scoby as appropriate raw materials so could implement materialization and establish expressive methods by acquiring basic methodological knowledge unique to this study. Fourth, present situations and types of bio-leather for vegan fashion design show that multilateral fashion world is being constructed with attempts at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Its types mainly may be divided into leather of surplus-based generation type and microbe/cell-based growth type and be subdivided according to kinds of raw materials. Fifth, as for properties of bio-leather, it reveals that while biodegradability and recyclabilit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llow safety in terms of eco-friendliness, hygroscopicity is the important property to be recognized for improvement though it requires attention since it affects the durability and solidity of a leather material. On the other hand, transformation and expression are meaningful in giving an opportunity for various creative results through experimental attempts, showing that they are key elements for design conception and development. Sixth, the aim pursued in this study, expression and implementation of unconstrained and creative materials and designs, was similar to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bstract art, that is, non-figurative and non-stereotyp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techniques of abstract expressionism which mainly focus on a figure by chance and an outburst of impulsive feelings were adequate as expressive techniques consider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 and intention of the author. The empirical works were made by applying the bio-leather material with abstract expression to vegan fashion design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lgae and scoby leather caused an unintended change in formative aspects including color, pattern and shape by spontaneous action. Such a variable may be regarded as a difficulty in the research but by useful transition into abstract expression with aesthetics it was possible to propose the new expression satisfactory in originality and diversity. Second, maintaining proper environments including humidity and temperature affected successful generation, growth and then state of leather. Particularly, production environments had an effect on the functional aspects like thickness, solidity and flexibility of leather and environments in a drying step had an effect on the formative aspects like color, pattern and shape. Hence, customized production seemed to be possible by controlling conditions of bio-leather. Third, hygroscopicity of algae and scoby leather causes stickiness and adhesion. Therefore, rather than using it as a singe material, double composition on a ground was helpful for stable materialization. Furthermore, complement and extension of a shape via easy adhesion, without sewing, were useful as a functional and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 In particular, overlap of transparent physical properties was very effective in providing aesthetics. Fourth, while scoby leather expressed abstractness spontaneously, for algae leather, it was possible by intervention of researcher's intention and action along with easiness of expression that material itself had. Aesthetic visualization could be achieved by applying abstract expressions and techniques of abstract expressionism so objects of a variety of creative expressions could be derived.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a material applying abstract expression of bio-leather and examine whether it could be implemented to vegan fashion design. It has ethical significance and accepts the creativ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from a wide range of materials and abstract expressions. Besides, it places a high value on laying a cornerstone for expanding the base as the basic research to seek for a direction of the future fashion. Accordingly, through the continual research and convergent collaboration/development with other domai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present technical limitations and contribute to academic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the related fields. 동물성 천연가죽은 오랜 기간 인류사와 함께 지속하여 온 최초의 패션 소재이며, 여전히 고급소재라는 인식과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섬유⦁패션산업을 위한 공장식 사육, 무분별한 도살 및 가학행위, 독성 화학물질 남용, 생산 및 유통과정의 윤리성 결여 문제는 동물과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인간의 삶까지 위협하기에 이르고 있다. 비건 패션은 동물보호뿐 아니라 지구생태계와의 공존을 고려하는 윤리적 가치에 기저를 두고 있으며 동물성 소재가 갖는 광범위한 문제들에 대한 자각을 토대로 새롭고 무해한 생산절차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등장한 바이오 소재는 생물학적 영감을 원천으로 한 원재료 사용과 제조방식을 기초로 하기에 더욱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비건 패션과 마찬가지로 동물 및 환경친화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점에 공통분모를 지니며, 혁신적 물질 체계에 따른 진보된 소재라는 개념 하에 차세대 섬유⦁패션산업의 핵심 분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힘입어 다분야에 걸쳐 바이오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해당 논제와 관련하여 국내 디자인 분야 연구와 달리 해외 연구사례는 바이오 물질생성 및 응용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대부분 아직 프로토타입 단계에 그치고 있으나 잔인함 없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혁신적 소재 패션을 필요로하는 현시점, 새로운 시도를 위한 시발점으로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동물, 인간 그리고 환경을 상생의 존재로서 배려하는 비건 패션의 윤리적 가치와 더불어 바이오 레더라는 물질로부터 특성을 수용함에 따라 발현된 추상적 표현성을 응용하여 심미성이 표현된 새로운 형태의 가죽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패션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다양성과 창의성을 포괄하는 비건 패션디자인으로의 구현 가능성을 살펴보고 후속연구의 실용화 시도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소재개발 및 디자인 전개의 내용으로 구성된 실증적 작품 연구로 이어진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바이오 레더와 비건 패션의 개념 및 배경, 생산원리를 이해하였고, 바이오 레더의 물성으로부터 표출되는 추상적 형상을 응용, 표현하고자 함에 이와 관련된 미술, 패션 분야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전실험을 통해 물성과 표현기법을 탐구함으로써 추상적 표현성이 응용된 소재개발 및 디자인 전개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가변적 특성과 우연성을 내재한 소재이므로 의상제작에 있어 오류 발생이 잦고, 결과물 예측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CLO 3D로 시뮬레이션해본 후 실물제작을 시도한 결과, 소재 10점과 이를 활용한 6착장의 의상작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요약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이오 레더는 최근, 언급되기 시작한 아직 정의되지 않은 개념이며 생물학적 영감을 원천으로 한 가죽의 의미를 지니므로 동물 성분까지도 포괄하는 넓은 범주를 허용한다. 그러나 본 연구와 같이 비건 패션의 관점에 입각한 경우 윤리적으로 획득된 일부 소재만을 허용함으로써 동물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건 패션은 동물성 패션산업으로부터 야기된 각종 문제들을 개선하고자 시작되었으나 상관관계로서 인권과 환경침해 문제까지도 고려하는 책임감 있는 윤리적 패션 경향으로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영향으로 생태계에 해롭지 않은 무독성 바이오 레더 혹은 신소재 개발이 권장됨을 인식하였고, 소재개발 및 디자인 전개를 통해 탐구, 구현해봄으로써 비건 패션을 위한 바이오 레더의 윤리적 가치와 필요성, 그리고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셋째, 바이오 레더는 원재료의 수용 범위가 넓고, 각기 다른 물성으로부터 대상별 생산원리와 방법 적용이 요구되므로 소재화 가능 여부 사전실험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에 적합한 원재료로 우뭇가사리 배합물과 콤부차 스코비를 선정, 연구함으로써 본 연구만의 방법적 기초지식 습득에 의한 소재화 전개 및 표현방법을 구축할 수 있었다. 넷째, 비건 패션디자인을 위한 바이오 레더의 현황과 유형을 통해 새로운 재료 및 기술시도로 다각적 패션 세계가 구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유형은 잉여물 기반 생성형과 미생물 및 세포 기반 생장형 레더를 주축으로 구분되며, 원재료 종류에 따라 더욱 세분화됨을 이해하였다. 다섯째, 바이오 레더의 특성 중, 생분해성과 재활용성은 환경친화적 측면에서 안전성을 부여함에 의미가 있는 반면 흡습성은 레더 물질의 내구성 및 견고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가 필요하지만, 발전적 개선을 위해 반드시 인지해야 할 중요한 특성이었다. 한편 전환성과 표현성은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다양하고 창의적인 결과로 이끌어내는 계기를 마련함에 의미가 있으며, 디자인 발상 및 전개를 위한 핵심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자유분방하고 창의적인 소재표현 및 디자인 구현이라는 본 연구의 지향점은 추상미술의 비구상성, 비정형성의 조형적 특징과 유사성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우연에 의한 형상, 즉흥적 감정분출의 표현을 골자로 하는 추상표현주의의 기법들이 원재료의 물성과 필자의 의도를 고려할 때 표현방법으로서 적절하였다. 바이오 레더의 추상적 표현성을 응용한 소재를 비건 패션디자인에 적용하여 구현한 실증적 작품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알개와 스코비 레더는 자연 발생적 작용에 의해 색채, 무늬, 형태 등 조형적 측면에 의도치 않은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수는 연구 과정의 어려움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오히려 심미성을 부여하여 추상적 표현방법으로 유용하게 전환함으로써 독창성과 다양성이 충족된 새로운 형태의 표현물로 제안할 수 있었다. 둘째, 습도, 온도 등 적절한 환경 유지는 성공적인 레더 생성 및 생장 그리고 이후 상태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생산과정의 환경은 레더의 두께, 견고성, 유연성 등 물질형성에 관한 기능적 측면에 영향을 미쳤고, 이후 건조단계에서의 환경 유지는 색채, 무늬, 형태 등 조형적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바이오 레더의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맞춤형 생산이 가능함을 짐작할 수 있었다. 셋째, 알개와 스코비 레더의 흡습성은 끈적임을 유발하여 밀착하는 성질을 지니므로 단일 소재로의 사용보다 바탕소재에 이중구성함이 안정적 소재화를 위해 도움이 되었다. 또한, 손쉬운 접착으로 봉제 없이 형태를 보완, 확장할 수 있음은 기능적, 조형적 표현방법으로 유용하였고, 특히 투명한 물성의 중첩은 심미성을 부여하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넷째, 스코비 레더는 자연 발생적으로 추상성을 표출해내는 반면, 알개 레더는 물질이 지닌 표현의 용이성 그리고 연구자의 의도와 행위를 개입시킴으로써 추상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러함은 추상표현주의의 표현성 및 기법을 표현방법으로 적용함에 따라 심미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창의성과 다양성이 충족된 표현물을 도출할 수 있었다. 바이오 레더의 추상적 표현성을 응용하여 소재개발 및 비건 패션디자인으로의 구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본 연구는, 윤리적 의의를 지님과 더불어 광범위한 재료사용 및 추상적 표현성으로부터 창조적 가능성과 잠재력을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미래 패션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연구로서 저변 확대의 초석을 마련함에 가치를 둔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지속적인 연구 및 타 영역과의 융복합적 협업, 개발을 수행한다면 현 단계에서 미흡했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여 관련 영역의 학문적, 실용적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중국 창원 동굴벽화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아플리케 기법을 중심으로

        HOU, RUI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7772927

        중국의 창원 동굴벽화는 중국에서 발견된 세계적 동굴벽화로서 주목받는 유적이다. 창원 동굴벽화의 발견은 민족고고학 자료 발굴로서도 큰 역할을 하여 중국 서남 변강 지역 고대 민족의 역사, 종교와 문화를 연구하게 하고 새로운 이미지 자료를 제공했다. 중국 창원의 동굴벽화 이미지를 패션디자인에 응용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수천 년 전 인류의 표현이 담긴 이미지들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오늘날의 패션디자인 원천으로 응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패션디자인을 결과로 하는 창작의 과정 중 동굴벽화 이미지를 모티프로 삼아 디자인을 전개하기 위한 표현기법으로서 평면형의 이미지를 개성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아플리케 기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국 창원 동굴벽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전개하였다. 이를 위한 자료들은 선행논문, 보도자료, 관련 전문서적과 현지답사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특히 창원 동굴벽화에 대한 연구자료 및 사진자료 확보에 최선을 다하였다. 실제 발굴자인 민족고고학자 왕닝성의 저술들 및 관련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고 분석하여 창원 동굴벽화의 이미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패션디자인 연구로서 기존의 패션 컬렉션을 통해 동굴벽화 응용 디자인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한편 아플리케 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전개하였다. 아플리케의 개념과 역사를 파악하였고 아플리케 기법의 종류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현대의 패션컬렉션 중에 등장하는 아플리케 디자인들을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고 구체적 소재와 방법을 파악하여 작품 연구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창원 동굴벽화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을 계획하였다. 창원 동굴벽화 이미지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모티프들을 선정함으로써 전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아플리케 기법 및 형태, 색채, 소재 등을 계획하여 패션디자인 작품 총 5벌을 제작하였다. 본 논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얻은 결론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 세계 인류사를 기반으로 동굴벽화에 대하여 조사했을 때, 유럽 중심의 동굴벽화 연구가 치중되어 있고 특히 몇몇의 유명 동굴에 대한 연구가 집중된 상황이므로 아시아 지역의 동굴벽화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문화예술 기반에서 아시아 지역 내 동굴벽화 예술적 원천자료의 체계적 보존과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중국 창원 동굴벽화의 이미지 구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인물, 동물, 상황 등 총 세 가지의 요소별 분류가 가능하였다. 분류 중 가장 흥미로운 항목으로서 상황은 장면이라고도 일컬어질 수 있을만한 것들인데 원시사회의 일상적 삶을 읽을 수 있도록 인물, 동물, 도구, 기호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함께 구성되어 있다. 셋째, 중국 창원 동굴벽화의 이미지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순수성, 역동성, 단순성, 평면성, 과장성 등 총 다섯 가지의 특성을 정리할 수 있었다. 원시적 삶을 표현한 순수성, 삶에 대한 생동감 및 표현 방법에 나타난 역동성, 내용과 시각적 표현 등을 아우르는 단순성, 조형적 측면에서 두드러지는 평면성, 상징과 더불어 강조되는 과장성 등이 이에 해당한다. 넷째, 동굴벽화 응용의 패션디자인 표현 기법으로서 벽화 이미지를 뚜렷하게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플리케 기법을 채택하였는데 아플리케 기법은 평면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구성하면서 최근의 패션컬렉션에서도 다채롭게 응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자연물 표현 혹은 상징물 표현 모두를 폭넓게 아우르며 활용되고 있다. 작품디자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굴벽화의 이미지 특성을 뚜렷하게 강조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의 화폭과 같은 의상 실루엣을 계획하였는데, 이는 연구자로 하여금 벽화를 구성하는 예술가의 작업과 같은 행위를 가능하게 하였다. 드레스 전체를 가로지르며 순수성을 가진 이미지들을 역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둘째, 검은색, 흰색, 회색을 주요 색채로 전개하여 색채 대비를 강조함으로써 이미지 표현에 있어 강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이렇듯 명도의 대비는 특히 창원 동굴벽화가 가지는 단순성과 평면성 표현에 적합하였다. 셋째, 아플리케 장식에 돈피 스웨이드를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끝단 처리가 필요 없어 아플리케 기법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각각의 모양을 자유롭게 자르는 과정에서 창원 동굴벽화 이미지가 가지는 순수성과 역동성 등이 강조되어 표현될 수 있었다. 넷째, 아플리케 장식으로 표현되는 내용들이 창원 동굴벽화의 인물, 동물, 그리고 수렵, 전쟁, 무용, 잡기, 방목 등 다양한 상황 등에 해당하는데, 다채로운 이미지 요소들의 크기와 수량에 변화를 주어 구성함으로써 거리감 등 흥미로운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었다. 특히 창원 동굴벽화 원형 이미지가 갖는 역동성과 과장성을 강조할 수 있었다. 다섯째,아플리케 기법으로 장식된 이미지들을 의상에 부착함에 있어 어떤 부분에 어떻게 부착하는가, 한 겹 혹은 여러 겹 쌓아 부착하는가에 따라서 장식적 효과를 다채롭게 표현할 수 있었다. 여섯째, 작가 의도에 따라 아플리케 기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과정에서 아플리케 기법이 갖는 우연성의 특성 표현이 가능하였다. 엄격한 관례와 규범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어떻게 조합하는가에 따라 매번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갈 수 있는 아플리케의 특성에 따라 각 작품에 다양하며 유희적인 개성을 부여할 수 있었고 이는 특히 창원 동굴벽화가 가지는 순수성 표현에 적합하였다. 인류사의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서 창원 동굴벽화 이미지를 패션디자인에 응용하고자 했던 본 연구는 수천 년 전에 그려진 벽화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완벽한 이미지 자료 수집의 한계점이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발굴자의 도안에 의존하여 분석을 진행한 점에서 한계점을 갖는다. 이에 역사적 자료의 발굴과 실제적 활용이 가능한 자료화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한편, 앞으로 발전하는 기술에 기반하여 보다 많은 역사적 자료들이 풍요로운 디자인 원천으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 또한 갖게 된다. 본 연구가 중국 창원 동굴벽화를 비롯하여 아시아 지역의 고대 유적물에 대한 예술적 원천 발굴 기회로서 하나의 작은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과거의 문화유산들이 현대의 디자인을 돌아볼 수 있는 경험의 산물이자 영감을 얻을 수 있는 풍성한 텍스트로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ina's Cangyuan cave paintings are relics that attract attention as world-class cave paintings discovered in China. The discovery of the cave paintings in Cangyuan also played a large role in the discovery of ethnographic archaeological data, allowing the study of the history, religion and culture of ancient peoples in the frontier region in southwestern China, and providing new image data. This study, which intends to apply the image of cave murals in Cangyuan, China to fashion design, aims to study how to apply it as the source of today's fashion design by observing and analyzing images containing human expressions thousands of years ago.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creation resulting from fashion design, a major expression technique is required to develop designs using the image of cave murals as a motif. As a method of finding and apply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cave murals, a planar cave mural image can be clearly expressed. Appliqué technique was adopt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theoretical review of cave paintings in Cangyuan, China was developed. Materials for this were collected through methods such as previous thesis, press releases, related professional books and field trips. In particular, we did our best to secure research and photographic data on the cave murals in Cangyuan.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Cangyuan cave murals were deriv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s much as possible the works of the ethnic archaeologist Wang Ningsheng, the actual discoverer, and related materials. Also, as a fashion design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cave wall painting application designs through existing fashion collections. On the other han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applique technique was developed. The concept and history of appliqué were identified,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ppliqué technique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cases of application of appliqué designs appearing in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s, and identifying specific materials and methods, the foundation for work research was laid.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 fashion design was planned that applied the image of the Cangyuan cave paintings. The overall design direction was set by selecting the motifs that bes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gyuan cave mural image, and the applique technique, shape, color, and material were planned to produce a total of five fashion design work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hen investigating cave murals based on the world's human history, research on cave murals centered on Europe is focused, and research on some famous caves is concentrated, so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cave murals in Asia was confirmed .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excavating and preserving artistic source data for cave murals in Asia was confirmed in the culture and art bas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elements of the cave murals in Cangyuan, China, it was possible to categorize three elements, including people, animals, and situations. Among the most interesting categories, situations are those that can be referred to as scenes, and various elements such as characters, animals, tools, and symbols are composed together so that you can read the daily life of primitive socie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cave murals in Cangyuan, China, a total of five characteristics such as purity, dynamism, simplicity, flatness, and exaggeration could be summarized. These include the purity that expresses primitive life, the dynamism of life and the dynamism of the expression method, the simplicity encompassing content and visual expression, the flatness that stands out in the formative aspect, and the exaggeration that is emphasized along with the symbol. Fourth, the appliqué technique was adopted for the purpose of clearly realizing the mural image as a fashion design expression technique applied to cave painting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ppliqué technique freely composes a flat image and has been applied in various ways in recent fashion collections, and it is widely used to express both natural objects and symbolic object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work design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clearly emphasize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cave paintings, a costume silhouette, such as a canvas of a large area, was planned, which enabled researchers to act like the artist's work that composes the mural. It was able to dynamically compose images with purity across the entire dress. Second, by emphasizing the color contrast by developing black, white, and gray as main colors, a strong visual effect could be expressed in image expression. As such, the contrast of lightness was particularly suitable for expressing the simplicity and flatness of the Cangyuan cave murals. Third, it was very effective in expressing the appliqué technique as it did not require end treatment by using pig leather suede for appliqué decoration. In the process of freely cutting each shape, the purity and dynamics of the Changyuan cave mural image could be emphasized and expressed. Fourth, the contents expressed by the appliqué decoration correspond to the figures, animals, and various situations such as hunting, war, dancing, catching, and grazing in the cave murals in Cangyuan. By changing the size and quantity of various image elements, it is interesting to see distance, etc. Visual effects could be implemented.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emphasize the dynamics and exaggeration of the original image of the Cangyuan cave murals. Fifth, when attaching the images decorated with the appliqué technique to the clothes, the decorative effect could be express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which part and how to attach them, stacking one or several layers. Sixth, in the process of freely expressing the appliqué technique according to the artist's intention, it was possible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gency of the appliqué techniqu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qué that can create a different image each time depending on how it is combined without being bound by strict conventions and norms, it is possible to give each work a diverse and entertaining personality, which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expressing the purity of the Changyuan cave paintings. This study, which attempted to apply the image of Cangyuan cave murals to fashion design as an important historical data of human history, had limitations in collecting perfect image data in the process of observing murals painted thousands of years ago. There is a limitation in progres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historical data and converting it into a material that can be used practically, and there is also an expectation that more historical data will serve as a rich source of design based on future technologie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artistic source of ancient relics in Asia, including cave paintings in Cangyuan, China. We hope that more and more cultural heritages from the past will be the product of experience and inspiration to look back on contemporary design. We look forward to contributing as a rich text that can be obtained.

      • 패션디자인의 창의적 발상 교육 방안 연구

        이교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7772927

        Ideation in fashion design is an essential process that is highly dependent on the designer’s creativity and determines the success of the final design output. Creativity is a potential attribute of an individual that can be developed by education and training. As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field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use of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at facilitate creative ideation, but in-depth research on actual application of thinking techniques in fashion design education remains insufficient. Since creativity is a core competence for the future society, effective and validated cases and methodologies of education require continuous research to promote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creative idea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to determine the need for fashion design ideation training in Korea. Second, this study reviewed thinking techniques that can be applied to fashion design ideation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ird, an ideation worksheet for a training experiment was designed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of six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ideation process, such as 5W1H, attribute listing method, mind map technique worddiamond method,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 and checklist method. Fourt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 to determine the difficulties faced by fashion design majors in Korea in the ideation process. Fifth, an experiment in fashion design ideation training using the ideation worksheet was conducted. This is to examine how using the thinking techniques actually helped students in the ideation process by the worksheet results of each participant and post-test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n examination of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fashion design ideation training among fashion majors found that student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reative thinking, but not enough ideation training is currently provided. This proved the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the experiment with eigh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who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The students were found to face difficulties such as fixed thoughts about familiar habits, materialization of ideas, convergence of ideas, fear of repeating and imitating what already exists, expression of one’s originality, and giving up on ideation due to result-oriented evaluation. An experiment examining design ideation training on participants with these difficulties found that the six thinking techniques in the worksheet actually helped participants in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The 5W1H and consumer attribute listing method In the theme and design direction–setting stage helped set the design goals that understand consumers. The task keyword listing method helped students explore the relevance between two subjects by listing al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personal inspirations in keywords. Then, the mind-mapping technique in the concept-setting stage helped students come up with a new concept through association by recording thoughts that arose related to the given task, while also organizing the concepts that had been disordered and ambiguous. Word diamond in the design stage helped students set the direction for visualization, such as which fashion design element to focus on. Morphological analysis helped students come up with original ideas that that had not been discovered at first by thinking outside the box, and it was effective in generating many idea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checklist method was also effective in generating unexpected ideas by thinking from a new perspective. The sketching process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and the checklist method were accessible to participants who lacked confidence in sketching, helping them not only concretize their ideas but also think outside the box. Thus, ideas that had been somewhat ambiguous took shape more concretely through sketches, based on which they could maintain consistency with the general theme in their final design sketch while also expressing diversity of ideas. The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 thinking techniques in the ideation process were effective for ideation, as they could get new ideas by recording and combining ideas in various ways such as texts, images, and sketches, while also organizing their thoughts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is showed that the ideation worksheet can be a useful strategy to resolve difficulties in ideation. The ideation exercises using thinking techniques are accessible to even students with a vague difficulty in expressing their ideas, thereby laying the groundwork for free ideation. Moreo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study related to ideation for fashion design ideation training, attempting to take a new approach by using various thinking techniques that had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has presented ideation-training methods based on actual cases by conducting a training experiment using thinking techniques in the idea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and qualitatively analyzing their thinking process. 패션디자인에서 발상은 디자이너의 창의성에 의존도가 높은, 최종 디자인 결과물의 성패가 좌우되는 핵심적인 과정이다. 창의성은 개인의 잠재된 특성으로 교육과 훈련으로 계발될 수 있는 영역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성 교육이 확대되면서 발상을 쉽게 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기법 활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에 비해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사고기법의 실질적 적용 방안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창의성은 미래 사회의 핵심역량이기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검증된 효과적인 교육사례 및 교육방법론은 지속적으로 필요한 연구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디자인 전공대학생을 위한 창의적 발상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패션디자인 발상법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패션디자인 발상에 적용 가능한 사고기법을 고찰하였고, 셋째, 발상 프로세스에 따라 창의적 사고기법 중 5W1H, 특성열거법, 마인드맵, 워드다이아몬드법, 형태분석법, 체크리스트법의 총 6가지의 창의적 사고기법 연계성을 고려한 교육 실험용 발상워크시트를 설계하였다. 넷째, 국내 패션디자인 전공대학생이 발상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심층면담을 통해 파악하고, 다섯째, 이들을 대상으로 발상워크시트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발상 교육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로써 사고기법 활용이 학생들의 발상 과정에서 어떤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었는지 참여자별 워크시트 결과물과 사후 면담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패션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패션디자인 발상법 교육의 필요성 인식을 알아본 결과, 학생들은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발상법 교육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체계적인 발상 교육 방안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발상 교육 실험 참여자로 선정된 8인의 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전 심층면담을 진행한 결과, 익숙한 습관에 의한 고착된 사고, 아이디어의 구체화, 아이디어의 수렴, 이미 있는 것의 반복과 모방에 대한 두려움 및 자신만의 독창성 표현, 결과물 중심 평가로 인한 발상 포기에 대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가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발상 교육 실험을 진행한 결과, 워크시트에 반영된 6가지의 사고기법은 참여자들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실질적 도움이 되었음을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 및 디자인 방향 설정 단계에서 5W1H법과 소비자 특성열거법은 소비자를 이해한 디자인 목표 설정에 도움을 주었다. 과제키워드 열거법은 소비자와 개인적 영감에 관한 모든 특성을 키워드로 열거해봄으로써 두 가지 대상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후 콘셉트 설정 단계에서 마인드맵 기법은 주어진 과제와 관련된 떠오른 생각들을 기록해봄으로써 연상을 통해 새로운 개념을 도출함과 동시에 무질서하고 모호했던 개념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디자인 단계에서 워드다이아몬드법은 패션디자인의 요소 중 어떠한 요소에 중점을 두어 표현할 것인지 시각화 방향을 기획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형태분석법은 초기에는 발견하지 못했던 고정된 시각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게 하였고, 단시간에 많은 아이디어 생성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체크리스트법도 대상을 새로운 관점으로 발상하게 하여 예상치 못했던 아이디어 획득에 효과적이었다. 형태분석법과 체크리스트법에 의한 스케치 과정은 스케치 능력에 자신감이 부족한 참여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뿐 아니라 고착된 사고에서 벗어난 발상에 도움을 주었다. 이로써 다소 모호했던 개념의 아이디어가 스케치를 통해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 디자인 스케치에서는 전체적인 주제와의 통일성을 유지하되, 아이디어의 다양성이 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발상 과정에서 사고기법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스케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기록하고 조합해봄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 획득과 동시에 디자인 전개 과정에서 생각이 정리되어 발상에 효율적이라고 하였다. 이로써, 발상워크시트가 발상의 어려움의 해결전략으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고기법을 활용한 발상 연습은 아이디어 표현에 막연한 어려움을 가진 학생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자유롭게 발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패션디자인 발상 교육을 위한 발상법 관련 연구로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양한 사고기법을 활용해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과 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발상 과정에 사고기법을 활용한 교육 실험을 진행하여 학생의 사고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질적 사례를 바탕으로 발상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패션스타일에 따른 MZ세대 여성의 색채 선호 특성

        김지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7772927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lor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women according to fashion style.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account for 34.7 percent of the nation's total population. Therefore, in the fashion industry, the MZ Generation is one of the main customers. And consumers'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new fashion products outweigh those of other product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ra is rapid change, and fashion is also changing rapidly according to the changing trend of the times. And color preference characteristics may vary depending on 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subdivide the MZ Generation. In this study, the fashion style of women in the MZ Generation was examined and color preferenc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ly. In this study, a 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Z Generation, which is emerging as a major target customer to find out the favorite color, least favorite color, most purchased clothing, and fashion style, by using 155 color samples standardized according to Korean industry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analyzed that MZ Generation favors achromatic color, especially Generation Z has a high preference for achromatic color. Second, in their favorite colors, the Millennial Generation prefers the Y, YR, R, RP, P, PB, B, G types and achromatic color, while the Generation Z tends to prefer the R, RP, P, PB, B types and achromatic color. Millennial Generation prefers the Y and YR types to the Generation Z, while Generation Z prefers the P type and achromatic color to the Millennial Generation, so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have different tendency in color preferences. Third, the colors of purchased clothing were found to favor achromatic color for both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and most of them showed a tendency to be distributed in a low chroma. Fourth, MZ Generation's general favorite colors prefer the Y, YR, R, RP, P, PB, B types and achromatic color, and are widely distributed in high brightness-low chroma. The colors of the purchased clothes of the MZ Generation prefers the PB type and achromatic color, are mostly distributed in low-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 especially Black and White colors, indicating a difference between preference colors and preference tone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preferred color for Generation Z is related to the color of clothing purchased. Fifth, according to their fashion style, the colors of the clothes they wanted to buy were similar in favor of Black and White in all four styles: Classic, Modern, Casual, and Natural, but each style has different color categories. Finally, between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the colors of the clothes they want to buy according to their preferred fashion styles are different in preference colors depending on the fashion styles of classical, modern, casual, and natura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ference tones in classical and modern style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preference tones in casual and natural styles. However,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preferred tones of natural style, except for the achromatic color, tend to be simi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etailed color preference information data in planning colors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MZ세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패션스타일에 따른 색채 선호 경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34.7%를 차지한다. 패션업계에서는 MZ세대가 주요 고객층 중 하나이며, 패션상품은 다른 상품보다 소비자들이 새로운 것에 대한 기대감과 요구하는 마음이 크다. 또한, 지금 시대의 특성 중 하나가 빠른 변화이며, 패션 역시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유행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그리고 색채에 대한 선호는 연령이나 시대에 따라 색채 선호의 경향이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MZ세대를 분리해서 세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Z세대 여성들의 패션스타일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색채 선호 경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좋아하는 색, 싫어하는 색, 구매하는 의복색, 패션스타일에 따른 구매하고 싶은 의복색을 알아보고자 주요 고객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MZ세대를 대상으로 한국산업표준에 맞게 개발된 KS 표준색 155색의 컬러차트를 이용하여 직접보고 색의 번호를 기입하는 방식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는 무채색을 선호하며 특히, Z세대는 무채색에 대한 선호 경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좋아하는 색에서 밀레니얼 세대는 Y, YR, R, RP, P, PB, B, G 계열과 무채색을 선호하며, Z세대는 R, RP, P, PB, B 계열과 무채색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밀레니얼세대는 Z세대보다 Y, YR 계열을 더 선호하고 Z세대는 밀레니얼 세대보다 P 계열과 무채색을 더 선호하므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선호색상의 경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하는 의복색은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모두 무채색을 선호하며 대부분 저채도에 분포되어 있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넷째, MZ세대의 일반 좋아하는 색은 Y, YR, R, RP, P, PB, B, 계열과 무채색을 선호하며 고명도-저채도에 많이 분포되어있다. MZ세대의 구매하는 의복색은 PB 계열과 무채색을 선호하며 저채도와 무채색에 대부분 분포되어있고 특히 Black, White를 많이 선호하므로 MZ세대의 일반 좋아하는 색과 구매하는 의복색은 선호색상과 선호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Z세대에 있어서 선호하는 색과 구매하는 의복색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패션스타일에 따른 구매하고 싶은 의복색은 클래식, 모던, 캐주얼, 내추럴 4가지 스타일 모두 1순위와 2순위가 Black과 White를 선호하는 유사성이 있지만, 각각의 스타일마다 색채범주는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간의 선호하는 패션스타일에 따라 구매하고 싶은 의복색은 클래식, 모던, 캐주얼, 내추럴 모두 선호색상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클래식과 모던은 선호톤의 차이는 없었지만 캐주얼과 내추럴에서는 선호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추럴 스타일의 선호톤에서 무채색을 제외한 선호톤들이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관계, 패션스타일에 따른 색채 선호 특성이 향후 패션업계에서 색채기획을 하면서 세분화된 색채 선호 경향에 정보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에 의한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 연구

        신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7772927

        Modern society is a time of mixed concepts that are difficult to define as one. Fashion design is also difficult to create new things with one-dimensional ideas. Ideas from unfamiliarity are required beyond traditional dualism. In this paradigm, fashion design methodologies are expanding the boundaries of fashion through exchang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various theories, phenomena, and experiences. Among these diverse approaches, adopting and visualizing concepts of philosophy can be a repository of new ideas. The heterotopia of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is a concept that enables a new spatial composition that eliminates stereotypes about space.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and arrangement of space and denies absoluteness by mixing heterogeneous elements. In fashion design, body space forms a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space. The concept of heterotopia, which unfamiliarizes the existing space, is expected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a new methodology to implement creative ideas of fashion design. This study attempted to construct a method for design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heterotopia as a method for a new idea of fashion design. As a source of ideas to put this into practice, we are trying to bring the structure of package design. Since the structure of package design is similar to clothing in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composing the space, it can be the structural basis related to the fashion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creative expression and prov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ideas by applying a design method based on the heterotopia spatial view to design development. The method of this study examines the heterotopia and the structure of the package through literature studies. On this purpos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various books, papers, and Internet sites, and case studie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analysis, a new design method is constructed to develop a structured fashion design as a heterotopia. Based on the established design method, the newly way of design is developed and verified. By developing various types of designs in six ways about structured design, 6 types of the package structural fashion design are produc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hich applied the structured fashion design method to actual works as a heterotopia,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rived a design concept from the six principles of the heterotopia. Based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principle, the concept of the human body was liberated from the existing notion, which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form of clothes and allowed to interpret it as an creative and newly way of design. Second, the six specific design methods are developed from the concept of design ideas. ‘The movable space through the turning of functions’ was able to convey novelty by transforming the details of the structure into new costume details within the design form. ‘The moving space’ made it possible to design a new silhouette through the polyhedron form at various angles, which is seen as it transforms into the form of a package structure within the form of a garment. ‘Establishing a relationship of two-sided space’ made possible the juxtaposition between incompatible spaces by combining incompatible flat and three-dimensional package structures with the human body and clothes. ‘The space that accumulates the flow of time’ designs the process of folding and completing the package structure in the form of a continuous plane. As a result, the continuity of time was shown as a new design possibility in the human body space. ‘Another space through the ambiguous blocking of the outside’ brought the transformation into a unique structure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form and function by isolating the space of the human body and blocking its function by putting the costume inside the package structure. In ‘the redefined space’, an unexpected structural form was formed as the package structure was converted into a costume. Through this, the philosophical concept became the basis of the design idea and showed that the human body was recognized as another space through the source of the idea of ​​the package structure and created a new space for the human body. Third, the package design was an interesting design source for expressing heterotopia as a fashion design. As a result of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ckage structure in harmony with the human body, it was possible to show this through silhouette and shape. The methods of combining the fabric structure with the garment pattern to create a new structure were the planar combination of the flat pattern and the enlarged package structure, and the dimensional draping of the garment and the package structure. Fourth, the color was able to show the coexistence of incompatible spaces through contrast with black, mainly using off-white, which can clearly show the shape of the package struc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off-white accurately reveals the fold lines and corners that make up the shape of the package structure, so that the angular shape of the geometric structure created through this is clearly and visually. Fifth, the material used in this work is light, but it has a thick and cushiony feel, which is effective in holding the shape of the base structure and erecting an ang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riving a new design idea by visualizing philosophical thought, and by designing based on thi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현대사회는 한가지로 정의하기 어려운 개념들이 혼재된 시대이다. 패션디자인 역시 일차원적인 발상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기 어렵다. 전통적인 이원론에서 벗어나 낯선 것으로부터의 발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속에서 패션디자인 방법론은 다양한 이론, 현상, 경험 등 여러 영역의 교류를 통해 패션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접근 중에서 철학의 개념을 가져와 시각화하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보고가 될 수 있다.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공간에 대한 고정관념을 없애는 새로운 공간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개념이다. 공간의 관계성과 배치에 주목하고 이질적 요소를 혼합하여 절대성을 부정한다. 패션디자인에서 형태를 구성하는데 있어 인체 공간은 주변 공간과의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기존 공간을 낯설게 하는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은 패션디자인의 창의적 발상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의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디자인의 새로운 발상을 위한 방법으로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을 분석하여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디자인 소스로 패키지디자인의 지기구조를 가져오고자 한다. 지기구조는 공간을 구성하는 원리와 과정이 의복과 유사하여 패션디자인에 대입할 형태적 근거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에 기반한 디자인 방법을 디자인 개발에 적용해봄으로써 창조적 표현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아이디어의 실용화 가능성을 입증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헤테로토피아와 지기구조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관련된 각종 서적, 논문,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하여 연구하고 사례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헤테로토피아 실천으로서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을 전개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을 새롭게 구축한다. 구축한 디자인 방법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여 발상법의 가능성을 검증한다.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의 여섯 가지 방법으로 다양한 유형의 디자인을 전개하여 지기구조를 활용한 총 6벌의 디자인을 제작한다. 헤테로토피아 실천으로서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 방법을 실제 작품에 적용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의 여섯 가지 원리로부터 디자인 개념의 틀을 도출하였고 각각의 원리의 구체적인 특징들을 바탕으로 의상 형태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주어 생소한 의상 공간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디자인 개념의 틀로부터 전개한 여섯 가지 디자인 방법으로 ‘기능의 선회를 통한 가동적 공간’은 지기구조의 디테일이 디자인의 형태 안에서 새로운 의상 디테일로 변형되어 새로움을 전할 수 있었다. ‘이동하는 공간’은 하나의 의상 형태 안에서 지기구조의 형태로 변형되면서 보여지는 여러 각도의 다면체 형태를 통한 새로운 실루엣을 가능케 하였다. ‘양면적 존재의 관계 맺음 공간’은 공존할 수 없는 평면과 입체 형태의 지기구조가 인체와 옷에 결합함으로써 양립 불가능한 공간 간의 병치를 보여주었다. ‘시간의 흐름을 축적하는 공간’은 지기구조가 접혀 완성되는 과정을 연속면의 형태로 디자인한 결과 시간의 연속성이 인체 공간에서 새로운 디자인 가능성으로 보여졌다. ‘외부의 모호한 차단을 통한 또 하나의 공간’은 의상을 지기구조 안에 담아 인체 공간을 격리하고 그 기능을 차단하여 기존의 형태와 기능의 탈피를 통해 독특한 구조로의 전환을 가져오게 하였다. ‘재정의된 공간’은 지기구조 자체가 의상으로 전환되어 예상치 못한 구조적 형태가 구현되었다. 이를 통해 철학적 개념이 디자인 발상의 근간이 되어 지기구조라는 디자인 소스를 통해 인체를 새로운 인체 공간을 만들어냄을 보여주었다. 셋째, 지기구조 디자인은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을 패션디자인으로 표현하기에 흥미로운 디자인 소스였다. 지기구조의 특징을 인체와 어울려 표현한 결과 실루엣과 형태를 통해 이를 보여줄 수 있었다.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 디자인을 전개하기 위해 지기구조를 의상패턴과 결합하는 방법은 평면패턴과 확대한 지기구조 도면의 평면적 결합, 의상과 지기구조의 형태적 입체 재단이었다. 지기구조의 형태가 인체와 결합했을 때 예상하지 못한 인체 부분에서 독특한 구조가 구축되어 새로운 조형미를 창출할 수 있었다. 또한, 지기구조가 갖는 각진 구조는 인체의 곡선과 어우러져 인체를 따르는 형태는 물론 인체에서 벗어난 새로운 공간을 창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색채는 지기구조의 형태를 구조적으로 분명하게 표출할 수 있는 오프화이트를 주로 사용하면서 블랙과의 명암 대비를 통해 양립할 수 없는 공간의 공존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다. 오프화이트는 지기구조의 형태를 만드는 접힘선과 모서리를 정확하게 드러내므로 이를 통해 만든 기하학적 구조의 각진 형태가 가시적으로 뚜렷하게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본 작품의 소재는 쿠션지와 에어메쉬를 사용하였다. 가볍지만 두께감과 쿠션감이 있는 소재의 특성은 지기구조의 형태를 잡아주고 각을 세우는 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철학적 사상을 시각화하여 새로운 디자인 발상 방법을 도출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실제 디자인에 적용하여 그 실천 가능성을 확인하여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시간관의 유형 : 메종 마르지엘라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7772927

        These days, humanity is experiencing fast paced and continuous changes in material civilization due to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ue to these changes, a modern society encourages people to consider their time as one of a commodity that could be managed indiscriminately to value its efficiency and quantity. This directs people to aim only for their fragmental goals, but easily neglects other important aspects in time. This study started with an interest in how the time can be depicted in a fashion design industry that is based on changes and tren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1) investigate and categorize a temporality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2) rediscover the time’s fundamental concept/value that has been neglected due to modern society’s improvements and non-awarenes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ypes of how the awareness of time is expressed in a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ndustry, which has a lot of experimental and unique designs that were affected by a society’s diversity, internationalism, convergence, and new media technology. In order to discuss different time awareness, this study explores and categorizes based on social trends, numerous scholars’ theory of time, and east versus west’s difference in theory of time.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theory of time that appear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y dissecting the creative, international and influential Masion Margiela’s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iscover time’s essential value out of a homogeneous materialism in modern society and to define the new understanding of time; and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depiction of time by exploring Masion Margiela’s design concepts and inspi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nnection between fashion design and time, and categorizes different aspects of time in the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ndustry. This investigation required interviewing ten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designers and fashion major students and selected ten total designers as a subject of study that relate to the theory of time. Based on the interview and precedent research, Masion Margiela’s design interpretation of time, and the theory of time. This study’s conclusion is as below: Since the perception of time is humanity’s subject throughout history, this study was able to discover that the concept of time is the endless result of interactions between numerous philosophical views, social bias, and scientific results over the century. As a result of analyzing new understandings of time based on the numerous scholars’ opinions, this study was able to categorize three different types of time awareness; mobility, immortality, and complexity. After reviewing relations between fashion and time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is study also discovers an additional type of time awareness. Including mobility, immortality, and complexity, this chapter introduces expandability of time in some design instances. Categorizing Masion Margiela’s depiction of time theory in his design resulted in four types: mobility, immortality, complexity, and expandability. After studying Masion Margiela’s design, his work traces time/history and it symbolizes the time itself. Masion Margiela’s work differentiates himself by conveying types of time theory in his entire collections. Finally, This study not only limits designs' visual aspect, but remarks the creativity in redefining and analyzing different types of time to further expand aspects of design.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specifics of time and analysis based on the scholars’ theories of time. This study hopes to be considered an essential reference that helps develop one’s diverse understanding in design analysis to find fashion design as not only superficially visual, but also theoretical in social trends for scientific reasons. 오늘날 현대인들은 과학의 발달로 물질문명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급변하는 사회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시간이란 단편적 순간으로 쪼개지고 일률적으로 관리되는 대상 중 한 가지이며 양적인 가치로 생각되고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재화처럼 여긴다. 즉 자신이 성취하고자 하는 단편적인 목적을 위한 시간개념을 지향하며 그 외의 시간이나 상황은 등한시 한다. 즉 시간이 지니는 다각적인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변화와 흐름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패션 디자인에 적용된 시간의 표현방법에 관한 관심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패션 디자인의 나타난 시간성에 주목, 고찰하여 그 시간관을 유형화함으로써 오늘날 사회 변화와 인식의 변화로 인해 간과하고 있는 시간의 본질적 개념을 재인식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사회의 다각화, 세계화, 융복합, 뉴미디어 기술 발달로 인해 유연해진 사고로 실험적이고 독특한 디자인이 많이 나타나는 현대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시간의 개념이 어떠한 유형으로 표현되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이러한 시간의 탐구에 있어서 여러 학자들의 철학적 견해와 동양과 서양의 다른 시간관, 사회적 경향을 기반으로 시간관을 유형화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시간의 개념을 조사하고 그 중 패션 디자인 분야에서 창의적 발상으로 인해 세계적인 영향력을 지닌 메종 마르지엘라 브랜드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시간을 고찰하여 그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양적으로 등질화 되었던 시간의 본질을 재인식하여, 메종 마르지엘라의 디자인에 적용된 시간의 개념을 고찰,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시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해석이 디자인의 발상과 컨셉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규명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패션 디자인과 시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시간의 개념을 고찰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패션디자이너 및 패션 전공 대학원생들 총 20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로 진행하였고 시간관을 기준으로 해 관련 있는 디자이너 총 10명을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면담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해 시간관에 근거한 독특한 발상을 디자인에 구현해온 메종 마르지엘라의 디자인을 대상으로 시간에 대한 해석과 시간관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에 대한 인식은 인류의 오랜 역사를 관통하는 주제로서, 수 세기에 걸친 철학적 견해, 사회적 경향, 과학적 성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의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오늘날 더욱 강조되는 시간의 재인식을 그간의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정리한 결과 유동적 시간관, 영속적 시간관, 복합적 시간관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셋째, 패션과 시간의 연관성 및 현대 패션디자인을 살펴본 결과 3가지 시간관 외 확장성의 시간 개념이 적용된 디자인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메종 마르지엘라의 디자인 세계에 대하여 시간관의 유형 분류를 시도한 결과 기본적으로 유동적, 영속적, 복합적 시간관 외에 확장성의 시간개념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메종 마르지엘라의 디자인을 고찰한 결과, 옷은 시간의 흔적을 전달하며 그 자체가 기호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메종 마르지엘라의 디자인은 전 컬렉션에서 시간관의 유형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디자인을 단지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디자인을 바라보는 관점의 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의도로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시간에 관한 학자들의 논의를 기반으로 한 시간관의 유형을 현대 패션디자인 및 메종 마르지엘라에 표현된 창의적인 시간의 해석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로 인해 패션 디자인에 대한 해석을 단순히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시각적인 것이 아닌 철학적 견해, 사회적 경향, 과학적 사유를 토대로 디자인의 숨겨진 의도를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창의적인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수트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

        김윤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7772927

        The shape of the suit has been changed in various ways, and it is still worn as a garment suitable for culture and society.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suits is that there are more details than other clothes, so you can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suit.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suits are the most identified item in the resale market where clothing waste is collected and re-sold, and the demand for suits is not decreasing, which raises an environmental problem. In addition to suits, upcycling fashion has emerged to solve clothing waste, and many brands and consumers prefer it. Upcycling fashion is used as a means of developing materials or creating new products using various discarded clothing wastes. However, practical research applied to fashion design using discarded suits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up-cycling design method to dismantle the suit in a handicraft way using the discarded suit, and to characterize the components of a series of suits. In addition, through the production of upcycling fashion design works, we want to recreate discarded suits to spread sustainable fashion design and to expand the diversity of upcycling fashion designs emphasizing the asymmetrical silhouette image of various works. To this end, we first collected literature and visual data related to the suit in order to explore the concept of the suit,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and the transition process. In addition,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suit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he suit. In addition, literature and visual materials related to upcycling design methods were collected to explore the concept of upcycling,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methods, and present examples of upcycling modern fashion design through electronic documents and websites. Based on the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 the elements of the suit were selected as motifs and an upcycling expression technique was applied to develop an artistic high value-added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multiple points. First,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suit can be divided into external structural features and internal structural features. Outward features were divided into lapels, pockets, vents, and jacket body, and internal features were categorized into lining, wick, shoulder pads, sleeve heads, chest pie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Second, the upcycling expression technique used in the work was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dismantling, splicing, appending, cutting, dislocating, and folding. The dismantling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a new formative image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frame, and the splicing enlarges the area and makes another optical illusion appear. Adding and folding were possible to present a perspective that reveals three-dimensional and textured expressions. The cutting reveals the body or represents a different formativeness through a change in shape, and the avant-garde is a heterogeneous encounter, resulting in a creative feeling and a unique formativeness through the destruction of stereotypes. Third, among the upcycling design methods utilized, it is also a method appli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a suit that are commonly applied to both dismantling and splicing. A total of five design methods were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work performed in this study, so the first work mainly uses the outer features of the suit and the avant-garde method allows you to check the internal features of the trousers, and the second work is the ego and avant-garde. As a result,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bo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ditional components can be confirmed. The third piece is the piece that reveals the most internal components, and the method is also applied for texture expression. The fourth work is a reversible work that allows you to simultaneously check the appearance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suit. The fifth and final piece is characterized by a zero-waste finished piece. Fourth, the understanding of the suit's components and various dismantled pieces and materials was an important factor in reflecting the components in the work. In the creative experiment of dismantling and recombining all works by hand, in order to produce the work of this study, the design to be implemented as a handicraft work and the components of the suit were designed to be suitable. As a result, the rarity and original image of the work were revealed. Fifth, it was possible to express the unique composition of clothes by synthesizing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he suit and the design method of upcycling. In addition, the asymmetric silhouette allowed various images to be expressed in the formativeness of the work, and most of the same colors were used so that the selected suit melted into a single work of black and gray when creating the work. Additionally, all suit materials selected were used in this study with no waste applied to create ethical upcycling artwork. Together, this study used all of the suit materials selected with zero waste applied to create an ethical upcycling pie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upcycling fashion industry. In the future, upcycling fashion design including aesthetic value is not limited to upcycling fashion design, and many consumers and various follow-up measures are being made as a temporary alternative metho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by using various objects, discarded clothes, suits, etc. . Research.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field of expression of fashion design will be further expanded. 수트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되어져 왔고 현재도 문화와 사회에 맞는 의복으로 착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수트의 차별점은 다른 의복에 비해 디테일이 많아 내부 구성요소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의류폐기물을 모아 재판매하는 구제시장에서 가장 많이 확인되는 아이템은 수트로, 수트의 수요는 줄고 있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문제에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수트 뿐만 아니라 의류폐기물을 해결하기 위해 업사이클링 패션이 등장하였고 많은 브랜드와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업사이클링 패션은 소재를 개발하거나 버려지는 다양한 의류폐기물을 사용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버려지는 수트를 활용하여 패션 디자인에 응용한 실질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버려진 수트를 활용하여 수공예적인 방법으로 해체, 재조합시키고 수트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나타내는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작품 제작을 통해 버려지는 수트를 재탄생시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전파하고 다양한 작품의 실험적인 이미지가 강조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의 다양성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수트와 관련된 문헌 자료 및 시각 자료를 수집하여 수트의 개념과 형성배경, 변천과정을 탐구하고 수트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수트의 외형적 특징과 내부적 특징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리고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과 관련된 문헌 및 시각 자료를 수집하여 업사이클링의 개념에 대해 탐구하고 디자인 방법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전자문헌과 웹사이트를 통해 업사이클링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수트의 구성요소를 모티브로 선정하고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응용하여 예술적인 고부가가치가 포함된 디자인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트의 구조적 특징은 외형적 구조적 특징과 내부적 구조적 특징으로 나눌수 있다. 외형적 특징은 라펠, 포켓, 벤트, 재킷 몸판으로 나누었으며, 내부적 특징은 안감, 심지, 어깨패드, 슬리브헤드, 체스트 피스, 제조공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작품에 활용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은 해체하기, 이어붙이기, 덧붙이기, 전위, 접기, 스티칭/올풀기 조합으로 나타내었다. 해체하기는 기존의 가지고 있던 틀을 탈피하여 새로운 조형 이미지를 표현 가능하게 하였고, 이어붙이기는 면적을 넓혀 또 하나의 착시현상을 나타나게 한다. 덧붙이기와 접기는 질감 표현을 드러내는 시각 제시가 가능하였다. 스티칭과 올풀기는 신체를 드러내거나 디자인 연출 변화를 통한 색다른 조형성을 나타내며, 전위는 이질적인 만남으로 창의적인 느낌과 고정관념 파괴로 독특한 조형성이 나타난다. 셋째, 활용된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 중 해체하기와 이어붙이기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하였으며 이는 수트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적용해야 되는 방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작품 디자인은 총 5가지 디자인 방법이 적용되어 첫 번째 작품은 수트의 외형적 특징을 주로 나타내었고, 전위 방법으로 바지의 내부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두 번째 작품은 덧붙이기와 전위로 재킷 몸판의 내부적 특징과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작품은 내부적 구성요소가 가장 많이 드러나는 작품으로 질감표현을 위해 접기 방법도 적용하였다. 네 번째 작품은 리버시블 작품으로 수트의 외형, 내부적 특징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 작품은 제로웨이스트가 적용된 작품으로 덧붙이기와 올풀기 방법이 강조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넷째, 수트의 구성요소와 다양한 해체 조각들 및 소재에 대한 이해도가 구성요소를 작품에 반영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었다. 모든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여 해체시키고 재조합하는 창조적 실험 가운데 본 연구의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수공예적인 작업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디자인과 수트의 구성요소가 적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그로인해 작품의 희소성과 독창적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수트의 구성요소와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융합함으로써 의상의 독특한 구성법을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적인 이미지로 작품의 조형성에 다양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였으며 선정 수트가 블랙과 그레이로 작품 제작시 하나의 작품으로 이질감 없이 녹아들 수 있도록 대부분 동일 색상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어두운 계열의 수트 색상 선정으로 수트의 구성요소가 잘 보이지 않는 부분은 스트레이트 스티칭 기법을 작품에 함께 녹여내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윤리적인 업사이클링 작품 제작을 위해 제로웨이스트를 적용하여 선정된 수트 재료를 모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업사이클링 패션 산업계에 중요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 수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브제와 버려진 의류를 사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시적 대안적 방법의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에 머무르지 않고 미적가치를 포함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이 많은 소비자들과 다양한 후속연구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패션 디자인의 표현 영역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 지속가능성의 실천으로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 : 폐텐트의 활용을 중심으로

        이혜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7772927

        The rapid growth and advanced industrialization of civilization that exceeded ecological capacity has enriched the modern living, but it brought the negative result such as threatening the environment and damaging the self-purification of the earth. The consumption oriented culture encouraged overproduction, which led to reduction of forest, water pollution and waste of resources, and especially the increase of waste damaged the resource circulation and became a lethal issue that threatens the future of civilization. Thus, this study face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design toward environment and mankind, and aims to suggest a design method that resolves immediate social issue by exploring the sustainable fashion design that circulates resources. As for the specific action pla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pcycling fashion design, produce fashion design, and prepare a foundation for the designers to play social roles. Based on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toward the sustainable fashion design and discarded tents as a waste resource, this study aims to create an upcycling fashion design as a sustainable fashion and apply it to actual work. Sustainability is based on development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present attitude toward future development from future-oriented point of view. Thus, this study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sustainability in not only fashion design, but also from social, economic,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examined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upcycling and upcycling fashion design, created an upcycling fashion design method using discarded tents as to practice the sustainability, and presented total 6 fashion design work. The summary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sustainability is the future-oriented concept based on the development which promotes development for future by understanding the present. As for the economic concept, going through the time when only the state's social and economical growth was pursued, by limiting the restriction to present production and approaching humanely, we try the qualitative development and sharing of relieving poverty, social inequality and education. Also, businesses must go beyond pursuing benefits, and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sustainable business management, and advance toward to become a subject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is, law and system must be backed up, and promote both profitability and environmental integrity to achieve real economic growth and social contribution. Second, practice of sustainable fashion starts from not just ecofriendly approach, but to realize the bigger ecological stability and social justice, it starts from renewing the system and philosophy. Also, from the production stage, it needs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burden, reject anti-environmental resource circulation to extend the life cycle from consumption until disposal to recover the resource circulation. The practical value followed by this practice are recovery of ecology based on the coexistence of man and ecosystem, improvement of life quality, expansion of social role of fashion, securing unique raw ingredient. Third, to practice sustainable fashion, various classes such as global leader, governmental policy institutes, large corporate, department stores, SPA brands are actively expressing heir will to solve the problem. Institutional strategics such as carbon emission reduction goal has become the essential consideration for business management, and the discussion for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s for the types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there were sustainable fashion design based on ecology-friendliness, sustainable fashion design that involves economic efficacy, sustainable fashion design that emphasizes the social ethics. Among them, this study suggested upcycling fashion, zero-waste fashion and multi-function fashion that can contribute to economic efficacy. Specifically, the concept of upcycling examined to study the upcycling fashion design is to minimize the negative influence on environment by imparting the higher value to old things. The ultimate goal of upcycling is to realize the resource circulating society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 were upcycling cases found from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space, and design. Upcycling enables extending the stage before waste burial and incineration, and decreases environmental burden by reusing the resources.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are used for upcycling fashion design, and as the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fashion design are dissolution and restructure from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waste, unexpected combination from the process of recombining strange materials, Coutre style expression from the process that is not mass produced or mechanized, and production of eco-friendly material by recreating from waste. This study predicted the increase of wast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leisure culture and lifestyle trend of consumers who pursue nature, and studied fashion design from upcycling of discarded tent that will cause the development of camping industry. By apprehend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ent, and checking the applicability and appropriacy of fashion design, the study dismantled the structure, creatively recombined the human space and suggested a fashion design work. The direction of design plan is first, minimizing the waste, second, respecting the function, structure and formation of tent, third, pursuing the variable details, fourth applying the decoration sewing for aesthetic effect, and also, via multi-dimensional experiment process, the study pursued formative effect and visual differenti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examining the upcycling fashion design work using discarded tent to practice sustainability is as below. First, as the result of fashion design study using the functional structure of tent actively, the new beauty of form and structure was found. The bold zipper that is not used in general fashion design was freely combined to clothing, which became a pleasant factor for visual refreshment, and granted variability and functionality for the functional aspect of clothing. Second, as the result of dismantling the tent based on the structure of tent, and avoiding the damage on inner details and formation, it derived to creative and innovative design that is not a typical form or structure of clothing. Third, various items such as one-piece, skirt, pants, top, vest, coat, jacket and cape were designed and produced using discarded tent, and this became a cause of checking the potential of discarded tents as upcycling fashion design. Also, while asking for advice of experts regarding th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potentials that were not discovered before. Fourth, this study conducted social evaluation and design evaluation on the works. As for the social evaluation, it was considered to be a new attempt on fashion upcycling to use discarded tents as a material because previous fashion upcycling only used clothing. And as for the social aspect, it was considered that it is highly likely to be the alternative to environment by conducing the role of delivery a message to the society. Also, as the result of reviewing the amount of tent used in this study, about 80% of 1 family tent composed of inner tent and fly was made into 10 pieces of clothing in 6 styles. More than 97% of used tent materials were consumed in the production process. About 20% of remaining tent materials will be consumed completely by creating skirts and garment bags. The evaluation on design was very positive, because the unique result from draping experiment on tent was highly effective in design. Also, by optimizing the use of tent function and structure and applying techniques such as tucking and stitching for the decoration was evaluated to be appropriate on the image of work. This study proved relatively high consumption rate of discarded tent in upcycling, and it is expected to play positive role on environment. The current environment issue that threats mankind also threats the quality of life by invading our daily lives more deeply. To re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that needs to be prioritized, it is highly anticipated that the upcycling fashion design of discarded tent will be a successfully way of practicing sustainability.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form the significance of sustainable fashion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taking actions. 생태 수용력을 초과한 인류문명의 급성장과 고도의 산업화는 현대인의 삶을 윤택하게 하였으나 환경을 위협하고 지구의 자정능력을 감퇴시키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였다. 소비중심의 문화는 과잉생산을 부추기고 이는 삼림축소, 수질오염 등의 자원 낭비로 이어졌으며 폐기물 증가는 자원순환의 고리를 파괴하여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는 치명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과 인류에 대한 패션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을 직면하고 자원순환 차원의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연구를 모색하여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 실천방안으로 지속가능성을 위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을 연구하고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여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 수행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 개념과 폐자재로서 폐텐트 제품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도출한 지속 가능한 패션으로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여 실질적인 작품에 적용하고자 한다. 지속가능성이란 발전에 기반을 둔 것으로 미래지향적으로 볼 때 현재에 어떠한 태도로 미래를 위한 발전을 이루어 나아갈 것인가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패션디자인뿐만이 아닌 사회적, 경제적, 생태적 관점 및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또한 업사이클링의 개념과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의 특성 및 가치를 연구하여 지속가능성의 실천으로서 폐텐트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여 총 6벌의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요약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성은 발전에 기반을 두는 미래지향적 개념으로, 현재의 입장을 정비하여 미래를 위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경제적 개념으로는 국가와 사회의 경제성장만을 지향하던 시대를 지나 인간 스스로 현재의 생산에 제한을 가하고 범인류적인 접근을 통하여 빈곤 완화, 사회적 불평등 해소, 교육의 질적 발전과 공유를 시도하는 것이다. 또한 기업의 이윤추구 활동을 넘어 지속가능경영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주체로서 존립하도록 도약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법과 제도가 뒷받침 되어야하며 수익성과 동시에 환경적 건전성을 도모해야만 진정한 졍제적 성장과 사회 기여가 촉발된다. 둘째, 지속가능한 패션의 실천은 환경친화적인 접근뿐 아니라 더 큰 생태적 온전성과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시스템과 철학을 새롭게 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또한 생산 단계에서 환경 부담을 최소화하고 소비된 이후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수명 주기를 연장하기 위하여 환경 파괴적 자원 흐름을 지양하고 자원의 순환을 복원시켜 나아가는 것이다. 이에 따른 실천적 가치는 인간과 생태계의 공존을 통한 생태계 회복과 삶의 질 향상, 패션의 사회적 역할의 확장, 독창적인 원자재 확보를 들 수 있다. 셋째, 지속 가능한 패션의 실천을 위해 글로벌 리더, 국가 정책기관, 최고위 기업, 백화점, SPA 브랜드 등 각계각층에서 적극적으로 문제해결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탄소배출 감량 목표 수립 등 제도적인 장치들이 기업경영에 있어 필수적인 고려대상으로 자리 잡았고 동시에 환경 책임에 대한 논의는 가속화되고 있다.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생태적 친화성에 기반한 지속가능의 패션디자인, 경제적 효용성을 내포한 지속가능의 패션디자인, 사회적 윤리성을 강조한 지속가능의 패션디자인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 중 경제적 효용성에 기여 가능한 방법으로 업사이클링 패션, 제로웨이스트 패션, 멀티펑션 패션이 제시되었다. 이 중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을 연구하기 위하여 살펴본 업사이클링의 개념은 옛것에 더 높은 가치를 불어넣고 이를 통해 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자원 순환형 사회를 실현하는 것이 업사이클링 궁극의 목표이다. 업사이클링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건축, 공간,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업사이클링을 통하여 폐기물 매립 및 소각 전 단계를 연장하여 자원의 재사용과 이로 인한 환경부담을 줄이는 것이다.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의 경우 다양한 소재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결과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의 특성은 폐자재 분해 과정에서 도출되는 해체와 재구성, 낯선 소재의 재조합 과정에서 발견하는 의외의 조합, 대량생산과 기계화가 어려운 작업의 특성에서 발현되는 꾸뛰르적 표현, 폐자재를 원자재로 재탄생 시키는 환경친화적 원자재 생산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저문화 발달과 자연 향유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서 소비에 따른 폐기물 증가를 예측하고 캠핑산업의 발전이 초래할 폐텐트의 업사이클링을 통한 패션디자인을 연구하였다. 텐트의 구조 및 특성을 파악하고 패션디자인에의 적용 가능성과 적합성을 타진한 뒤 구조를 해체하고 인체 공간에 창의적 재조합을 통하여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계획 방향은 첫째, 폐기물 최소화 둘째, 텐트의 기능과 구조 및 형태 특성 존중 셋째, 가변적 디테일 추구 넷째, 미적효과를 위한 장식봉제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고 면밀하고도 다각적인 실험 과정을 통해 조형적 효과와 시각적 차별화를 추구하였다. 지속가능성의 실천으로서 폐텐트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작품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텐트의 기능적 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의 결과, 새로운 형태미와 구조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패션디자인에서 사용하지 않는 대담한 지퍼가 옷에 자유롭게 결합 되었으며 이는 시각적으로는 신선한 구성을 즐기는 요인이 되었고, 옷의 기능적 측면으로는 가변성과 기능성을 부여하였다. 둘째, 텐트의 구조에 근거하여 해체하였고, 내부 디테일과 형태를 손상시키지 않고 작업한 결과, 전형적인 옷의 구조와 형태가 아닌 획기적이며 창의적인 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폐텐트를 활용하여 원피스, 스커트, 팬츠, 탑, 베스트, 코트, 자켓, 케이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아이템을 디자인하여 제작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으로서 폐텐트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물에 대하여 전문가의 조언을 얻고 견해를 나누는 과정을 통하여 연구자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넷쩨, 연구 결과로서 작품에 대한 사회적 평가와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평가의 결과는 폐텐트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이 기존의 옷을 업사이클링 하던 패션 업사이클링을 넘어 새로운 영역을 시도한 것으로 평가 되었고 사회에 메시지를 전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대안의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본 연구에 주어진 텐트 사용량을 검토한 결과, 이너텐트와 플라이로 구성된 가족용 텐트 하나의 80%가량을 사용하여 6착장 총 10점의 옷을 만들었다. 사용된 텐트소재의 부분들은 제작과정에서 97% 이상 소모할 수 있었다. 20% 정도에 해당하는 남은 텐트는 스커트와 가먼트 백 제작을 통하여 모두 소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디자인 평가로는 매우 긍정적이었는데, 텐트의 드레이핑 실험을 통한 독창적인 결과물이 디자인에 있어 효용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텐트의 기능과 구조를 최대한 활용하고 터킹, 스티칭 등의 기법을 적용한 장식성의 부여가 작품이미지에 적절하게 이루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 업사이클링 된 폐텐트의 소진율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인류를 위협하는 현재의 환경이슈는 일상 깊숙한 곳까지 파고들어 삶의 질을 위협하고 있다. 반드시 우선순위로 고려하고 해결해 나아가야 하는 환경문제에 폐텐트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이 지속가능성 실천의 성공적인 방법으로 진입하길 바라며, 본 연구가 지속가능한 패션의 의의를 알리고 실천하는 역할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한지사 원단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마크라메(Macrame) 기법을 중심으로

        조희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7772927

        In today's fashion world, many technical attempts are being made to create a different way of expressing clothing materials. However, despite advances in advanced technology,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three-dimensional, complex material representation of the fabric that machines can express, limiting the developm ent of more creative designs. Therefore, various handicrafts are being attempted as a means of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This is part of efforts to develop a new style by properly combining tradition and modernity. As a result, structural and complex materials that are difficult for machines to express in the modern fashion sector are being implemented through analog methods. It is also focusing on developing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that is constantly being talked about in the fashion industry. Thus, this study aims to apply various macrame techniques to present them as an axis of decorative fabric techniques for visual effects, an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area of expression in fashion design. We also want to remind you of our potential as a fashion material by utilizing hanji, an eco-friendly material, as a material for macram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 analyze the concept, transition process, characteristics, and manufa cturing process of Hanji yarn and analyze modern fashion design cases that apply it.It will also identify and clas sify the concept, background of form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crame, and examine examples of m odern fashion designs that utilize them.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alyzed earlier, the design will be developed and five real works will be produced using the Macrame technique.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nji yarn is a dak fabric yarn that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s of hanji,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weaving,knitting and other textile combinations, so it was possible to expect its value as an eco-friendly new material and expandability in the market. Second, it was easy to make a Macrame costume because there was no run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fabric of Hanji back into the form of a tape company, and the unevenness of the fabric surface caused gave a rough surface effect visually and tactically. so, the use of the hanji yarn fabric has the embossing effect of Macrame, creating a unique beauty of sculpture. Third, compared to the general macrame yarn, the hanji yarn fabric was lightweight and easy to produce costumes, and the visual weight was also light due to its low actual weight. Fourth, the macrame basic technique, the flat knot, was suitable for filling the face of the costume, while the clove hitch knot, it was suitable for filling the line, served as a wick for areas requiring force. In addition, the number, size, and density of knots can be set in the early stages, enabling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with the same kind of yarn. Three-dimensional patterns and objects could be produc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flat knots and clove hitch knots, inversion of direction, etc., and the development of arm-hole designs. The visual effects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garment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margin and spacing of the knots were also visible. Fifth, according to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Macram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it was meaningful in that the clothing or fabric that would be discarded could also be cut and used as a macrame material. This study was a macrame fashion design study using hanji yarn fabric. it showed the advantages and expandability of hanji yarn and showed that various Macrame techniques realized decorative and three-dimensional fabric expressions.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macrame combined with other materials and techniques in the fashion sector to be used to create new images. 오늘날의 패션 분야에 있어서 패션 소재의 색다른 표현 방식을 위해 많은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첨단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계가 표현해낼 수 있는 소재의 입체적이고, 디테일한 예술적 표현에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창의적인 예술 표현의 한 수단으로 다양한 수공예적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는 전통과 현대가 적절하게 접목되어 새로운 스타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에 따라 현대 패션 분야에서는 기계가 표현하기 어려운 구조적이고, 복잡한 패브릭을 아날로그적 방식을 통해 구현해내고 있다. 또한 패션업계에서는 지속적으로 회자되고 있는 환경친화적인 소재의 사용과 확대방안을 모색하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마크라메 기법을 응용하여 소재 표면의 시각적 효과를 위한 장식적인 소재 기법의 한 축으로 제시하고, 패션디자인의 표현 영역의 확대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마크라메의 재료로 한지사 원단을 활용하여 패션소재로서의 잠재성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배경을 통해 한지사의 개념과 변천 과정, 특성, 제조과정 등을 분석하고 이를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다. 또 마크라메의 개념과 형성 배경, 기법의 종류와 특징을 파악하고 분류한 뒤 이를 활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사례를 살펴본다. 앞서 분석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전개하고, 마크라메 기법을 응용한 실물 작품 5벌을 제작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지사는 한지의 특성을 그대로 살린 닥 섬유 원단사로, 원단으로 제직과 편직, 다른 섬유와의 복합사로 인한 원단 제작이 가능해져 친환경 신소재로서의 가치와 시장에서의 확대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었다. 둘째, 한지사 원단을 다시 테이프사의 형태로 잘라 의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올풀림현상이 없어 마크라메 의상제작에 용이했으며, 한지로 인한 원단 표면의 요철감으로 인해 시각적, 촉각적으로 러프한 표면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한지사 원단의 사용은 마크라메의 부조적 재질감이 더욱 강조되는 효과가 있어 독특한 조형미를 창출한다. 셋째, 일반적인 마크라메용 져지원단과 비교해 한지사 원단은 중량감이 가벼워 의상 제작에 용이했으며, 시각적 중량감 또한 가벼웠다. 넷째, 마크라메 기본 기법인 평 매듭은 의상의 면을 채우기에 적합했으며, 클로브 히치 매듭은 선을 채우는데 적합함과 동시에 힘이 필요한 부분에 심지의 역할을 했다. 또한 매듭의 수와 크기, 밀도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어 같은 원사로 다양한 조형적 표현이 가능했다. 평 매듭과 클로브 히치 매듭의 응용 매듭과 방향의 전환, 반전 등을 통해 입체적인 형태의 패턴과 오브제를 제작할 수 있어 즉흥적 표현이 가능했으며, 발전된 형태의 암홀 디자인을 전개할 수 있었다. 매듭의 여백과 간격의 조절을 통해 다트없이 신체의 굴곡을 살릴 수 있었으며, 인체와 의상 사이의 투시적 효과를 의도할 수 있었다. 다섯째, 다양한 재료의 적용이 가능한 마크라메 소재의 실용적 측면에 따라, 폐기될 의류나 원단 또한 커팅해 마크라메 재료로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자원의 순환이라는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지사 원단을 활용한 마크라메 패션디자인 연구로, 한지사 원단이 가지는 장점과 확대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마크라메 기법이 장식적, 입체적인 패브릭 표현을 실현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패션 분야에서 마크라메가 다른 소재, 기법과 결합되어 새로운 이미지 창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아방가르드 정신과 현대패션 : 뎀나 바잘리아의 패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고예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7772927

        The avant-garde movement, which was prominent in the 20th century, is still being actively discussed today. Fashion inherited its term from avant-garde art but showed an opposing approach of material and concept when utilizing the term. Fashion overlooks the importance of the essential concept that distinguishes avant-garde art and artists from other art forms.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avant-garde fashion and avant-garde art has led to conducting this study. This study endeavor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avant-garde spirit by observing the values shared by this art form displayed in its history and related theories. By paying careful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thoughts of avant-garde artists are inherited through the fashion designer Demna Gvasalia, who is a leading figure of the 21st-century fashion, and ultimately, by examining the traces of his enterprising mindset, this study aim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Gvasalia’s fashion, which is deeply rooted in the spirit of the avant-garde. Accordingly, with regard to the collection of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gathered photo and video materials from fashion collections of Vetements and Balenciaga, where Gvasalia serves as creative director, as well as press releases including interviews to track Gvasalia's ideas. In discussing these research subjects, in particular, two theorists who established avant-garde theory in the modern era, Peter Bürger and Renato Poggioli, provided the main cognitive framework. In addition, by observ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art movement such as Futurism and Dadaism, which are considered avant-garde art, it was possible to reveal what the avant-garde spirit requir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avant-garde has been an important idea and a topic for discussion ever since the 20th century, and it is a clear indicator that distinguishes contemporary art from those of the past. Through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avant-garde art and spirit,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at to be qualified as a form of avant-garde art, many artists are required to go beyond aesthetic as well as technical exploration, pursue an artistic practice that connotes the spirit of the times, reject art that is isolated from life, use languages that contain social and political opinions, and actively express political tendencies through art. Second, avant-garde fashion received its term from the avant-garde movement that led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 of the 20th century, but when it comes to analytical or symbolic aspect, this particular fashion style focuses more on materials other than fabric, experimental silhouette technique that involves deconstruction and recombination, and maximalist fashion trend. As a result of observing modern fashion design based on the thorough examination of the avant-garde movement that represented the culture and art of the 20th century, the possibility of suggesting a direction of change in the avant-garde spirit and perception has been found. Therefore, it appears that an integrated discussion on modern avant-garde fashion and its spirit is necessary. Third, for Demna Gvasalia, who continues to succeed the spirit of avant-garde art of the modern fashion world, understanding his unique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s, including his life spent in Georgia in the former Soviet Union, his birthplace, play an important part in interpreting his avant-garde spirit, and such influence has been expressed in his own fashion language. Fourth, interpreting Gvasalia's fashion based on the avant-garde perspective makes it clear that he has been using his fashion as a social medium, as a tool of resistance, politics, humanism, and a medium to practice social values. He has also been expressing his social and political opinions before practicing them. Fifth, the spirit of the 21st century, which is based on the avant-garde spirit of Demna Gvasalia, reflects various ideas such as racial and cultural diversity, the balance of the mainstream and the fringe, a criticism of Western-centrism, the diversity of beliefs, and the freedom to express such beliefs. Instead of focusing merely on the aesthetic and technological growth of art, Avant-garde artists hav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rough their artistic practices and creations and have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elevating the social status of art. The avant-garde movement goes hand in hand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socio-historical background. The cultural and art community is looking for a successor to the modern avant-garde who displays such spirit of the times. Although art has been embraced by popular culture and capitalism, triggering people to raise voices about the end of the avant-garde, the modern avant-garde art form is emerging in different ways through artists such as Banksy, a guerrilla artist, or Chinese dissident artist Ai Weiwei. In addition, as the fashion industry also faces global issues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o which the creators belong, the people in the relevant field are proactively examining such issues and seeking ways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society. As a representative designer, Demna Gvasalia is expressing his opinion to the public as a practical performer of social values through his interview. As he has been aggressively as well as publicly stating his outlook and ideology, it seems safe to conclude that he has been displaying similar patterns that are evident from active avant-gardists. Fashion has limitations that are closely linked to commercial consumerism. However, within this mechanism, Gvasalia has been performing social actions based on his level of competence through the fashion trend of this era. This study, accordingly, does not merely aim to conduct an analysis that highlights Gvsalia’s visual products but will focus on the theoretical study that is rooted in the historical avant-garde concept, so as to analyze the designer and his overall works.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trace the notion of the avant-garde that sprang from the terminology of culture and art and place further significance in suggesting arguments that would contribute to the sociolog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 Above all,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ould form a basis for transforming the perception of fashion design. 20세기 예술을 주도했던 아방가르드는 오늘날도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패션은 아방가르드 미술에서 그 용어를 계승 받았으나 그 용어의 활용에 있어서는 물질적 접근과 개념적 접근이라는 대립적 사고를 보인다. 패션은 아방가르드 예술과 예술가들을 분류했던 본질적 개념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이 연구의 호기심은 아방가르드 패션과 아방가르드 예술의 차이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아방가르드 예술의 역사 그리고 관련 이론을 통해 아방가르드 예술이 공유하던 가치를 살펴, 아방가르드 정신의 전제 조건을 도출하였다.연구자는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사유가 21세기를 대표하는 패션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를 통해 계승된다는 점을 포착하고, 최종적으로 바잘리아의 진취적인 사고의 흔적을 따라 아방가르드 정신을 기반으로 한 바잘리아의 패션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대상의 수집에 있어서 바잘리아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역임한 베트멍, 발렌시아가의 패션 컬렉션의 사진 자료 및 동영상 자료 그리고 바잘리아의 사고를 추적할 수 있는 인터뷰 내용을 포함한 언론 보도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을 논의함에 있어 특히 아방가르론을 현대에 정착시킨 두 이론가, 페터 뷔르거와 레나토 포지올리로부터 주요 인식의 틀을 제공받았으며, 아방가르드 예술로 분류되는 미래주의부터 러시아 구축주의까지를 포함한 예술 사조의 공통적인 특징을 통해 아방가르드 정신의 전제 조건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방가르드에 대한 인식은 20세기에 이어 현재까지 중요한 사유이자 담론의 주제로서, 현대 예술과 이전의 것을 구분하는 명확한 지표이다. 아방가르드 예술과 정신의 근본적 고찰을 통해, 아방가르드 예술로 분류되는 전제 조건은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은 미적·기술적 탐구를 넘어 시대정신을 내포하는 예술적 실천 지향, 삶과 유리된 예술의 지양, 사회·정치적 의견을 담은 언어의 발화 그리고 예술을 통한 적극적인 정치적 성향의 표출 등의 전제를 밝힐 수 있었다. 둘째, 아방가르드 패션은 20세기 문화예술계를 이끌었던 아방가르드로부터 그 용어를 받았으나, 분석 또는 상징적 측면에서 타 분야보다 의상의 원단 이외의 소재, 해체 재조합의 실험적인 실루엣 표현법 그리고 맥시멀리즘과 같은 의상의 분석으로 해석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세기 문화 예술을 대표한 아방가르드의 근본적 고찰을 토대로 현대 패션디자인을 살펴본 결과, 아방가르드 정신과 인식의 발전적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착했다. 따라서, 오늘날 아방가르드 패션과 그 정신에 대한 통합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현대 패션계의 아방가르드 예술 정신을 이어가고 있는 뎀나 바잘리아는 출생지인 구소련의 조지아를 포함한 특수한 사회, 문화 그리고 환경적 배경의 이해가 중요한 해석의 단서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은 아방가르드 정신과 직결되어 자신의 패션 언어로 발현되고 있었다. 넷째, 아방가르드 관점을 토대로 뎀나 바잘리아의 패션을 해석한 결과, 뎀나 바잘리아는 자신의 패션을 하나의 사회적 매개체로 활용하며 저항적 도구로서 패션, 정치적 도구로서 패션, 휴머니즘 도구로 패션 그리고 사회적 가치의 실천적 도구로서 패션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의 실행의 앞서 항상 자신의 사회적 정치적 의견을 발화하는 선언의 관점 또한 취하고 있었다. 다섯째, 뎀나 바잘리아의 아방가르드 정신에 기반이 된 21세기 시대정신은 인종 및 문화적 다양성, 주루와 비주류의 전복, 서구중심주의의 비판적 소고, 신념의 다양성 및 자유로운 표출 등을 반영하고 있었다.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은 자신의 예술적 행위와 실천 그리고 작업을 통해 단순히 예술의 미적 기술적 성장을 넘어 사회의 발전을 도모하며, 예술의 사회적 지위를 격상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아방가르드 운동은 사회사적 배경의 깊은 이해와 함께한다. 문화 예술계는 이러한 시대정신을 내포한 현대의 아방가르드의 후계자를 찾고 있다. 예술이 대중문화와 자본주의에 포섭되어 아방가르드의 종말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나, 현대의 아방가르드는 뱅크시라는 게릴라 아티스트 또는 중국의 반체제 예술가 아이웨이웨이와 같은 예술가들을 통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패션에서 역시도 창작자들이 속한 세계와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글로벌 이슈를 마주하며 이를 주체적 태도로 살피며,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환기할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디자이너로 뎀나 바잘리아는 자신의 인터뷰를 통해 대중에게 사회적 가치의 실천적 수행자로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이는 자신의 세계관과 이념을 공격적이고 공공연하게 선언함으로 활동을 시작한 아방가르드주의자들과 유사한 성향을 보인 것으로 도출됐다. 패션은 상업적 소비주의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메커니즘안에서 바잘리아는 이 시대 패션을 통해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사회적 행위를 자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뎀나 바잘리아의 시각적 결과물에 의존한 외적인 분석을 넘어서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과 정신에 부합하는 개념을 근거와 학자들의 이론적 고찰에 초점을 맞추어 바잘리아와 그의 패션 전반의 분석을 시도했다. 본 연구는 문화 예술의 용어로부터 계승 받은 아방가르드의 개념과 그 정신을 되짚고 패션에 대한 접근 관점을 사회학 그리고 철학적 접근에 기여한 논제를 시사 하고자 하였다. 본연구가 패션 디자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