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션이미지에 따른 의류소재의 분석 및 직물감성의 인지

        김인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7

        Classifying clothing fabrics into fashion images is a lack of research in the short cycle of fashion and rapidly changing modern trends as consumers seek to satisfy various needs due to the increase of online purchases, and there is also a lack of research on fashion trend book which attached real fabric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the matter planning fiel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lothing fabrics related ashion image shown on the fabrics attached to the fashion information magazine to systemize the fabric characteristics and fashion image, and provide data of this season with basic industrial knowledge by learning about the fashion image, fabric image and visual tactility that consumers perceive. The research metho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mages and clothing fabrics related to the season, and the visual touch related to the fabric image was examined by the consumers as well as the visual tactility. The data analysis results fro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using SPSS 24.0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lothing fabrics related to the season and fashion image shown in the fashion trend book, the classic image was mainly shown in fabrics of wool, simple yarn, twill and double weaves, napping and black color, the sporty image was expressed by mixed fiber, polyurethane, ply yarn, crepe weave, and functional fabric, and the romantic image was mainly shown in single fiber, cotton, patterned fabric, waterdrop pattern, embossing finish and other fabric that have see-through. The Elegance image was shown in single yarn, luster effect, see-through fabric, and mostly in orange color, and avant-garde images were mainly shown in geometric patterns. Modern images were mainly shown in filament yarn, while mannish images were shown in striped fabrics. Second, after examining the fashion image and the fabric image that consumers perceive, the fashion image showed similar recognition between the two groups of clothing major and people who are not, and when compared with the fashion image, the fabric image was recognized by the major as same as the fashion image, but the other group showed the different result between the fashion image. Third, the results of recognizing the perceived visual tactility by the difference between majors and those who are not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W themes than in S/S themes, and the visual tactility of F/W themes by major was perceived as coarse, thick, non-flexible, and stiff fabrics, and in S/S themes, while major perceived it as relatively thick, smooth, flexible, stiff, while non major perceived it as light, flexible and elastic. Differences in the visual tactility evaluation related to consumer recognized fabric image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W themes than in S/S, the Elegance image was shown as relatively thick and dry fabric, the avant-garde image was shown as relatively heavy, thick fabric, and the femine image was shown as relatively thin and smooth fabric. Sporty images were shown to be moist, flexible and elastic, and manish images were relatively rough. Romantic images were shown as relatively thin fabrics, while classical images were relatively inflexible. The conclusions inferred from these results show that clothing fabrics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fashion image of each season, and that they tend to recognize the sam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visual data in the fashion image that consumers perceive. The visual tactile evaluation related to the fabric image recognized by the consumer varies by major, and it also differs at the fabric imag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ure, so prior information on clothing fabrics and trends can affect the selection of im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produce clothes suitable for fashion product planning by learning about the fashion image, fabric image, and visual tactility that consumers recognize about the fabrics component data displayed in fashion trend book from 2016 to 2018 are needed, so the clothing planner can receive help to select clothing fabrics suitable for each trend and season in the fabric planning process if one learns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lothing fabrics. 의류소재를 패션이미지로 구분하는 방법은 온라인 구매의 증가로 소비자들이 다양한 욕구충족을 추구하면서 짧은 유행주기와 급변하는 현대 트렌드에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실물소재가 부착된 패션정보지에 관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 정보지에 부착된 소재에 나타난 패션이미지에 따른 의류소재의 특성을 분석하여 소재특성과 패션이미지를 체계화하고,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패션이미지, 소재이미지, 시각적 촉감을 알아봄으로써 해당 시즌의 자료를 산업적인 기초지식으로 제공하여 소재기획 분야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여성복 패션정보지에 부착된 실물소재를 대상으로 패션이미지와 시즌에 따른 의류소재의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소비자가 인지하는 패션이미지와 소재이미지를 알아보고, 시각적 촉감을 알아보면서 소재이미지에 따른 시각적 촉감을 살펴보았다.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를 시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정보지에 나타난 시즌과 패션이미지에 따른 의류소재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클래식이미지는 양모, 일반사, 능직과 이중직, 기모가공, 검정색상의 소재에서 주로 나타났고, 스포티이미지는 혼방섬유, 폴리우레탄, 합연사, 크레이프직, 기능성 소재로 표현되었으며, 로맨틱이미지는 단독섬유, 면, 무늬가 있는 소재, 물방울무늬, 엠보싱가공, 비침이 있는 소재에서 많이 나타났다. 엘레강스이미지는 단사, 광택효과, 비침이 있고 주황색상에서 주로 많이 나타났으며, 아방가르드이미지는 기하학무늬에서 많이 나타났다. 모던이미지는 필라멘트사 직물에 주로 나타났고, 매니시이미지는 줄무늬 소재에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가 인지하는 패션이미지와 소재이미지를 알아본 결과, 패션이미지에서 대체적으로 의류 전공자와 비전공자 두 집단 간에 비슷한 인지가 나타났으며, 소재이미지는 패션이미지와 비교하였을 때 전공자는 패션이미지와 동일하게 인지하였으나 비전공자는 패션이미지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시각적 촉감을 전공별 차이로 알아본 결과는 S/S테마보다 F/W테마에서 유의한 차이가 많이 나타났으며, F/W테마의 시각적 촉감은 전공자가 거친, 두꺼운, 신축성이 없는 재질감으로 인지하였으며 S/S테마에서는 전공자가 비교적 두껍고, 매끄러운, 유연한, 뻣뻣한 재질감으로 인지하며 비전공자는 가벼운, 유연한 신축성이 있다고 인지하였다. 소비자가 인지하는 소재이미지에 따른 시각적 촉감 평가의 차이는 S/S테마보다 F/W테마에서 유의한 차이가 많이 나타났으며, 엘레강스이미지는 비교적 두껍고 건조한 재질감으로 나타났고, 아방가르드이미지는 비교적 무거운, 두꺼운 재질감으로 나타났으며, 페미닌이미지는 비교적 얇고 매끄러운 재질감으로 나타났다. 스포티이미지는 촉촉한,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재질감이며 매니시이미지는 비교적 거친 재질감으로 나타났다. 로맨틱이미지는 비교적 얇은 재질감으로, 에스닉이미지는 비교적 거친, 딱딱한, 뻣뻣한 재질감으로 나타났으며, 클래식이미지는 비교적 신축성이 없는 재질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추론한 결론은 정보지에서 나타난 의류소재는 시즌별 패션이미지에 따라 의류소재의 특성이 현저히 다르게 표현되며, 소비자가 인지하는 패션이미지에서 시각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두 집단 간 동일하게 인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소비자가 인지하는 소재이미지에 따른 시각적 촉감 평가는 전공별 차이가 있으며 소재이미지에 따른 재질감의 특성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의류 소재, 트렌드에 대한 사전정보가 이미지를 선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통하여 2016~2018년까지 정보지에 나타난 소재별 구성요소 자료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패션이미지, 소재이미지, 시각적 촉감을 알아봄으로써 패션상품기획에 맞는 의복을 생산하려면 적합한 소재선정이 필요하므로 패션이미지별 의류소재의 특성을 익히면 의류 기획자는 소재기획 시에 각 트렌드와 시즌에 맞는 의류소재 선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스팀펑크와 여성복패션디자인에서 나타난 미적특성연구

        주가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7

        본 연구의 목적은 스팀펑크 패션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를 연구함으로써 창의적 패션 디자인 발상과 상품 제작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인터넷 자료와 문헌을 분석한 이론 중심의 내용연구이고. 정량적 분석은 패션컬렉션에 스팀펑크를 주제로 발표한 디자이너의 작품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었다. 정석적 연구인 이론 연구에서는 스팀펑크의 복고, 반역, 기계적 미학과 패치워크 미학의 핵심정신을 도출하였다. 정량적 연구에서 돌체 & 가바나, 알렉산더 맥퀸, 비비안 웨스트우의 3명의 패션디자이너의 여성복 프레타포르테 패션쇼에 나오는 총 173장의 작품을 대상으로, 형태, 아이템, 색채, 소재의 패션디자인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형태는 실루엣과 장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스팀펑크를 주제로 한 패션 스타일중 실루엣은 아우어글라스가 가장 많았다. 장식은 벨트, 코르셋, 모자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장식들이 스팀펑크 패션의 기계적 미학의 특징을 표현하고 있다. 아이템은 원피스 드레스, 셔츠, 재킷 순 이었다. 색채는 무채색이 유채색에 비해 훨씬 더 많았으며. 소재는 면과 레이스가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스팀펑크 패션의 미적 특성을 복고성, 반항성, 기괴성, 다원성으로 나타났다. 복고성은 18세기 낭만주의 시대의 신복고주의의 복식 형식으로 나타냄을 의미한다. 저항성은 이상주의와 착취에 반항하는 태도를 나타낸다. 기괴성은 스팀펑크 스타일의 암울하고 그로테스크한 표현 형식을 말한다. 다원성은 서로 다른 이질적인 요소들이 다양하게 섞여 부조화인 듯 조화를 이루는 복합성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한 시대를 유행했던 스팀펑크가 예술사조로서 갖는 특징을 이해하였고 여성복 패션디자인에 적용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의 영감의 원천을 풍부하게 자료화 할 수 있었다.

      • 소비자전망지수와 패션소비지출의 관계

        김서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7772926

        우리나라는 지난 20년간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뤄냈지만, 극심한 경기 부진과 향후 경기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로 소비자들은 의류 구입을 가장 먼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나 패션 산업에 상당한 악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리지표를 대표하는 소비자전망지수를 사용하여 최근 급격하게 감소된 패션 소비지출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비자의 인구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소비자전망지수와 패션 소비지출의 관계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은행에서 발간하는 소비자전망지수와 통계청에서 발간하는 의류 소비지출을 2003년~2016년 분기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경기 변동에 따라 소비자의 심리가 위축되고 회복되는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패션 소비지출은 늘어난 소득에 비해 약 15년간 비슷한 소비 비중을 나타냈다. 둘째, 주요 CSI에서는 소비지출전망지수와 현재경기판단지수 순으로, 항목 중에서는 의료·보건비와 여행비 지출전망지수 순으로 패션소비 지출전망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생활형편지수와 여행비, 의료·보건비 지출전망지수는 패션 소비지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경기전망지수와 교양·오락·문화생활비 지출전망지수는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령의 조절효과에선 고연령층이 가계수입전망지수와 패션소비 및 교육비 지출전망지수가 패션 소비지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의료·보건비 지출전망지수와는 부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냈으며 저연령에서 교육비 지출전망지수가 패션 소비지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서는 고소득층의 현재생활형편지수와 가계수입전망지수, 소비지출전망지수, 그리고 패션소비와 여행비, 교육비 지출전망지수가 패션 소비지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소득의 가산다중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가계수입전망지수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인구적 변인을 개별적으로 분석했을 때와 동시에 교차로 투입하여 분석했을 때의 결과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 알렉산더 맥퀸 패션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특성

        김다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5

        Nature has been an influence on human beings to an limitless extent, and the organic design based on nature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fields by different forms from the past art movement to the times. Nature is the source of everything and it can be seen as an infinite form of everything. In the environment created from nature, it appears that humans have created constantly to satisfy their needs in accordance with their lives, and it was expressed as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nature on the basis of their cre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organic forms, expression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through Alexander McQueen's fashion works, and present various materials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organic design forms. As the research method, the criteria of organic design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cedent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bout architecture and product design, and based on this, the organic design characteristics of Alexander McQueen's fashion collection were analyzed. The organic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lexander McQueen fashion, which were based on the criteria for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 could be classified a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natural forms and structures, abstractness through application of organic forms, continuity through formation process of organisms, structural characteristics using natural materials and regional, cultural properties, and symbolism through subjective thinking.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cQueen's fashi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sing nature's forms and structures are used as objet to represent organic characteristics. Also, it turns out that humans also one of those motifs and seek direct and realistic depictions. Its characteristics can be explained as expressing the structure or shape of an object as the basis or appearance of clothes. Second, abstra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organic forms means an abstract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being represented. It is explained by partially modifying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human body to show characteristics, or visualizing it with the surface of the natural object. McQueen was able to use abstract silhouettes in his designs by either analogiz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object as creature or using patterns of animals and plants. Third, continu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organisms is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the gradual growth of organisms, which took reinterpretation based on the concept that the internal elements of natural objects affect the external form. It refers to the formation of geometric patterns or forms of elements such as cell division. Just as growth of object differs according to its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ts order have been developed into organic fashion. Fourth, the structure using natural materials and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by design us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materials using natural elements as design elements. It is an expression of nature through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as the design is subordinated to nature. McQueen’s fashion design is characterized by the application of local and cultural properties along with the use of natural elements, and the expression of the design considering the traditional elements as a new motif material. Fifth, the symbolism through subjective thinking is the element of nature that the object to be expressed is the element that appears in nature, and it also includes creative organism along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best demonstrated in fashion designs that express themselves based on creativity. The use of natural elements is the largest part of McQueen’s fashion, and it has been shown as it seeks creative designs such as creating new forms or creating new organisms with partial combinations of animals and plants. As such, Alexander McQueen's fashion clearly shows organic design elements, such as symbolic design expression, through the use of the human body, material utilization of natural elements, and pursuit of creative form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organic design that can be used in fashion in the future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various directions and area. 무한한 창작의 근원지로 볼 수 있는 자연을 통해 인간은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과거에서부터 발생해온 여러 예술행위 및 운동은 자연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흐름으로 이어져 왔으며, 이는 시대에 따라 인간의 욕구 및 의도를 통해 지금껏 전해지는 새로운 감성의 디자인 해석으로 이끌어 왔다. 자연에서 이어진 해석으로 조화로움을 강조하는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접목되어 현대 디자인에서 창의적인 결과물로써 존재한다. 유기체에 대한 표현은 자연스럽게 인간을 통하여 보여져왔다. 이와 더불어 현대 산업 발전으로 인한 환경과의 문제 및 비인간화적인 사회의 전개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하는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에 바탕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 작품을 통하여 현대 패션에서 나타난 유기적 표현특성 및 방법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유기적 디자인 형태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건축과 제품 디자인의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 분석을 통하여 유기적 디자인 표현 방법 및 특성의 기준을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서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전문 패션 정보 사이트인 ‘보그 코리아’와 US ‘Vogue.com'의 자료, 인터넷 사진자료 및 서적을 활용하였다.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이 실제적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던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의 31개 시즌 컬렉션을 범위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시각적으로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의 사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나타난 알렉산더 맥퀸 패션의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 특성은 자연의 형태와 구조를 활용한 형태적 특성, 유기체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성, 유기체의 형성과정 표현을 통한 연속성, 자연소재와 지역·문화적 특성을 활용한 구조적 특성, 주관적 사고를 통한 상징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맥퀸의 패션에서 나타난 특성 중 자연의 형태와 구조를 활용한 형태적 특성은 동·식물 및 무형체를 오브제로써 사용하여 유기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속에는 인간 또한 모티브의 대상으로 속하며 직접적이고 사실적인 묘사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체의 구조 혹은 모양새를 의복의 바탕 혹은 외형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유기체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성은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을 추상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체의 구조적인 모습을 부분적으로 변형하여 특징을 나타내거나, 자연물의 표면을 특징으로 삼아 시각화하여 설명한다. 맥퀸은 자연물이 가지는 생물의 특성을 유추하여 표현하거나 동·식물의 패턴을 이용해 추상적인 실루엣을 디자인에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기체의 형성과정 표현을 통한 연속성은 유기체의 점진적 성장에 따른 표현특성으로 자연물의 내부적인 요소가 외부적인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을 바탕으로 디자인이 재해석된 것이다. 세포 분열과 같은 요소들로 기하학적인 무늬 혹은 형태 등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물체가 가지는 성질과 특성에 따라 자라나는 모양새가 다른 것처럼 그 질서 속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유기적 패션으로 전개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연소재와 지역·문화적 특성을 활용한 구조성이 표현 특성은 자연 요소를 활용한 표현 및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소재의 활용 측면을 통해 디자인이 자연에 예속되는 것으로 자연성을 표현한 것이다. 맥퀸의 패션디자인에는 자연 요소 활용과 더불어 지역 및 문화적 특성을 적용하여 전통적인 요소를 고려한 디자인으로 새로운 모티브의 소재로 삼아 표현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주관적 사고를 통한 상징성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이 자연에서 나타나는 요소인 것으로 환경적 요소와 더불어 창조적 생명체도 속한다. 창의성을 바탕으로 표현하는 패션 디자인에서 이러한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났다. 자연적 요소의 활용은 맥퀸의 패션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동·식물의 부분 조합으로 새로운 형태를 창조해내거나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등 창의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서는 인체의 활용과 자연 요소의 소재적 활용 및 창조적인 형태 추구를 통하여 상징적인 디자인 표현 등 유기적 디자인 요소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패션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기적 디자인이 다양한 방향과 영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이세이 미야케 패션의 콜라보레이션과 예술화 특성

        오미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5

        이세이 미야케는 전통성을 강조하고 섬유의 기술 특성을 살려서 자신만의 스타일을 제시한 1세대 디자이너로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해서 사회 변화의 흐름에 적응하고 역사와 유산을 보유한 브랜드로 성장해왔다. 제작 방식도 기술의 확장을 제안하며, 주름작업을 통해 인체의 변화에 움직이는 미학으로 발전했다. 패션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패션브랜드의 여러 매체로 확장시키는 융합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럭셔리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예술적인 경험을 제안하고 브랜드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예술화(비예술을 예술로 변형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브랜드는 전통과 문화라는 상징성을 이용해 브랜드만의 가치를 만들고 예술가의 작품을 이용해 경제성과 희소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해외 학자들도 패션과 예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유럽의 력셔리 브랜드에 집중하고 있으며 아트 마케팅에 집중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이세이 미야케 패션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및 예술화 특성을 분석하고 예술화의 특성을 바탕으로 브랜드의 가치를 확고히 할 수 있는 예술화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보레이션 개념과 이세이 미야케 유형별 사례를 적용해서 기업의 전략과 흐름을 파악한다. 둘째, 이세이 미야케의 7개의 패션 브랜드를 선정 후 홈페이지, 국내외 신문기사 및 시각적 자료, 전문서적을 통해 문헌연구를 한다. 셋째, 패션과 예술의 관계 및 역사적 흐름을 되짚어보고 선행 연구를 통해 이세이 미야케가 활용한 예술화를 유형별로 정리한다. 이세이 미야케의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예술화 유형은 문화예술재단과 뮤지엄, 전시회, 패션쇼와 퍼포먼스, 아트 콜라보레이션으로 분류했다. 첫째, 재단은 미래 사회의 예술 발전과 브랜드의 아카이브 보존으로 논의하였다. 재단을 통해 예술에 대한 인식 향상과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며 문화 리더십을 발휘해 문화 정책의 싱크탱크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전 세계 박물관에 설립자의 대표작을 제공하며, 시대별 활동사항을 기록해 나간다. 뮤지엄은 미학적 재건의 공간과 안도 타다오의 건축으로 논의하였다. 관람객들에게 디자인적 사고를 제시하고, 예술경험의 기회로 디자인 문화의 회복과 예술 발전에 촉매제가 된다. 안도 타다오는 A-POC을 건축에 도입하는 상상력을 발휘해 기술과 접목시켰다. 둘째, 전시회는 4가지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브랜드 무형자산의 공간, 콜라보레이션 파트너에서 예술적 공유, CO-creation의 종합 예술, 브랜드의 미학과 전통성 제시로 나누어 논의했다. 설립자의 작품 전시회로 브랜드는 유산을 갖고 소비자에게는 역사적 브랜드로 인식된다. 콜라보레이션 파트너였던 동료를 위해 전시회를 진행하는 예술적 공유를 통해 브랜드 호감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Co-Creation을 통한 디자인 확장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강점을 살릴 수 있도록 조력하며 종합예술의 가치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회를 통해 브랜드 미학의 첨단 기술 발전 사례를 보여주고 지역산업의 생산시스템의 어려움을 알리며 전통 염색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셋째, 패션쇼와 퍼포먼스는 시기별 특성으로 구분되었다. Body Art, 창조와 기술의 융합, 종합예술 공연, 패션 공연의 유희성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바디 시리즈는 건설적인 의복의 형태를 제시하며 컬렉션에서는 의복으로 전시회에서는 오브제로 장식품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였다. A-POC, 폴딩<플리츠, 오리가미>을 통해 결합되고 분리되는 가변적인 특징을 보여주었고 역발상의 아이디어와 기술의 결합을 보여주었다. 현대 무용과 리듬체조 스포츠 팀의 무대는 선수와 의복이 하나 되고, 음악과 무용을 활용해서 동(動)적인 무대로 확장하는 유의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넷째, 아트 콜라보레이션은 의복에 적용한 사례와 사진을 적용한 사례로 나누었다. 먼저 아티스트와 브랜드는 라이브 아트의 창조 공간과 융합디자인 영역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전문매장에서 아티스트의 즉흥적 연출로 관객과 소통하는 창조의 공간을 만들었고, 패션브랜드에서 진행하는 여러 매체를 하나로 통일시키는 유기적 연결을 통해 융합 디자인의 영역 확장을 이루었다. 사진작가와 브랜드에서는 Pleats Please에 표현된 자연과 인체 및 프리즘으로 표현된 의복 이미지로 나타났다. 사진 속 인체와 자연은 감상자에게 스토리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며 의미를 내포한 예술사진으로 전달된다. 스냅 샷을 통해 의복은 다양한 각도로 표현되고 시각적 예술을 전달한다. 이세이 미야케 패션 브랜드의 예술화 분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생과 협력이다. 공동 작업을 통해 다른 시각으로 보는 것을 강조한다. 최고의 아티스트들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브랜드의 이익과 차별화의 난제를 극복하고 있으며 상생과 협력을 통한 예술화로 요약된다. 둘째, 유기적 연결이다. 정보를 공유하는 유기적 연결이 협력의 단계마다 강조되고 있다. 셋째, 발상의 전환이다. 대립되는 이미지의 조화로 상업성을 인식하지만 문화예술의 교류 활동으로 예술성을 인정받기도 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실용성을 인식하면서도 표현방법은 기존 의류개념을 뒤엎는 예술적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브랜드 및 설립자의 예술화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사회, 문화의 이슈와 소통하고 발전적인 논쟁을 통해 브랜드의 정체성과 진정한 예술화가 확립될 것이다. 이세이 미야케 패션 브랜드의 예술화는 기업의 보존과 이익, 희소가치의 한계점 등 빠르게 변해가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예술적 이미지 강조를 통해 다양한 예술화 활동을 펼치고 있다. 브랜드의 영속성은 새로운 이미지를 계속 어필하는 것이 아닌 전통을 기반으로 미래사회가 원하는 디자인 시각을 제시할 수 있어야 유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한·중 패션잡지에 나타난 의복 묘사 표현의 비교 연구 : 형용사형 외래어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원금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893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현대의복을 묘사할 때 쓰는 형용사를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문장이나 발화에서 형용사를 더 능통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한·중 의복을 묘사하는 형용사형 외래어를 중심으로 그의 특징을 밝히고, 이에 대한 양국 의복을 묘사하는 형용사형 외래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색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교육의 시사점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사회가 발달하면서 의복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다른 사람의 옷차림을 칭찬하거나 글로 자기 작품 속의 인물의 의복을 묘사하고자 할 때 풍부한 묘사 표현이 필요하다. 하지만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외국인에게 이 분야의 어휘를 파악하는 것이 아직 어려운 편이라고 볼 수 있다. 만약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패션 잡지에 실리는 묘사 표현을 참조하면 의복을 묘사할 때 쓰는 어휘를 더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패션잡지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여 한·중 의복을 묘사하는 형용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복을 묘사하는 표현이 많은 패션 잡지를 선정하며 패션 기사의 비중이 높고 20대 이상 성년을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잡지 가운데 창간 직후부터 현재까지의 발행 기간이 10년 이상인 패션잡지『ELLE』의 중국판과 한국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그 중 객관성 있는 비교 분석을 위해 2019년 4월 1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12개월 동안 한국과 중국판『ELLE』잡지의 온라인 사이트 목차에서 '패션(fashion)'란으로 분류된 기사를 비교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각각 의복 묘사가 나타난 기사 한국134개, 중국176개를 범위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제 1 장에서 언어학뿐만 아니라 사회학, 인지언어학, 수사학 영역에서의 선행 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제 2 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글로 씌어진 의복, 한국과 중국의 형용사 및 외래어의 개념을 고찰하고자 한다. 뒤에 한국과 중국의 의복을 묘사하는 형용사를 대조하는 데 토대를 마련하도록 한다. 제 3 장에서는 한·중 패션잡지에 나타난 의복을 묘사하는 형용사의 전체 사용 빈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 4 장에서는 한국과 중국 형용사형 외래어의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 비교하고자 한다. 또 지금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한중 각각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그 중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해당된 원인을 분석해 내도록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과 중국 패션잡지에 나타난 의복을 묘사하는 형용사형 외래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학습자들의 모국어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의 의복과 관련된 어휘력과 표현력을 향상시킬 데에도 도움이 되도록 바란다.

      • 오프라인 패션점포에서 소비자의 비대면 결제시스템 수용

        오승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830

        기술의 발달과 타인과의 접촉의 불편함과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비용을 절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대면 결제시스템을 사용하는 상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WHO에서 판데믹 선언 이후 Covid-19의 확산과 영향으로 소비시장이 축소됨에 따라 언택트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따라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비대면 결제시스템의 도입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앞으로 비대면 결제시스템의 증가는 사회적 추세에 따라 패션업계에도 의류 매장에서의 비대면 결제시스템 도입이 증가 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최근 인간관계에 지친 현대인들과 언택트 서비스의 발달로 비대면 결제시스템의 보급이 확산되어가고 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는 기성세대보다 개인주의적인 성향과 타인과의 접촉을 부담스러워하는 특성이 맞물려 언택트 시장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온라인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점포와 혼합쇼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오프라인 패션점포의 유지 또한 중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 때 소비자가 지각하는 유용함, 용이함과 즐거움은 지속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며, 소비자의 경험, 구매의도, 구전의도와 쇼핑 경험 만족에도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수용에 대해 대체적으로 거부반응이 적고 적응 또한 빠른 젊은층의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오프라인 패션점포에서의 비대면결제시스템의 연구를 위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비대면 결제시스템을 경험을 해본 20대부터 30대에게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으며, 222명을 오프라인 패션점포에서 소비자의 비대면 결제시스템 이용에 대한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오프라인 패션점포에서 비대면 결제시스템을 이용할 때 인구통계적 특성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유용성과 용이성이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서는 유희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의복지출비와 유희성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바일 구매 비율과는 유용성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소비자특성으로 의복 쇼핑성향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고관여 쇼핑성향과 유희성, 충동적 쇼핑성향과 용이성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비대면 결제시스템의 유용성과 용이성에서만 사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유용성, 유희성이 종속변수인 구매의도, 구전의도, 쇼핑 경험 만족과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서는 유용성과 유희성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쇼핑 경험 만족에서는 유용성, 유희성, 사용태도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오프라인 패션 매장에서 비대면 결제시스템이 도입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과정과 영향요인에 대하여 오프라인 의류점포에서의ㅅ 비대면 결제환경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했다는 측면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의 언택트 서비스의 선호로 인한 언택트 시장의 확대에 따라 의류업계에서도 오프라인 패션점포에 비대면 결제시스템이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새로운 점포형태에 점포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마케팅적인 의의가 있다. The number of stores using unmanned payment system is increasing as a way to address the technology development, inconvenient contact with others, and to save costs in offline stores. Interest in untact service is growing and fast as the consumer market shrinks due to the spread and influence of COVID-19 since the Pandemic Declaration by WHO.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unmanned payment system is increasing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overseas. In the future, the growth in unmanned payment systems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adoption of unmanned payment systems in clothing stores in the fashion industry as to follow social trends. With the recent rise of human relations-weary modern people and untact service, the implementation of unmanned payment system is spreading. In particular, the market for untact service is growing faster, as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more characterized with individualistic tendencies and avoid direct contact with others more than the older generation. At this point where online world is more emphasized, consumers tend to prefer offline stores and mixed shopping, which implies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ffline fashion stores. The usefulness, ease and pleasure that consumers perceive when using new technologie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their continuous use, and also affect their experience, priority intension, word of mouth, and shopping satisfied experience. In this study, young consumers who are generally less resistant to new technology acceptance and are more adaptable to it were set as the research target. In order to look into unmanned payment system in offline fashion stor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method to customers in 20’s and 30’s who experienced unmanned payment system in offline stores, and 222 people were used to analyze data on consumers' use of unmanned payment system in offline fashion stores. Empirical studies have examined the impa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use of unmanned payment system in offline fashion stores. In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usefulness and ease of use by gender, and differences in playfulness by age. It was shown that the cost of clothes and playfulness were related, a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shown in the usefulness with the mobile purchase ratio.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shopping tendency with consumer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in people with high shopping tendency, playfulness, impulsive shopping tendency, and ease of use were related. It was shown that only the usefulness of the unmanned payment system and the ease of use affect the purchase attitude. The perceived usefulness, playfuln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purchase intention, word of mouth, and shopping satisfied experience. Moreoever, in 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t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usefulness, playfulness, and purchase attitude.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focused on the process and impact factors of consumer response to the introduction of unmanned payment system at offline fashion stores, focusing on the unmanned payment environment at offline clothing stores. The expansion of untact market due to consumers' preference for untact service is expected to introduce more unmanned payment systems to offline fashion stores. Therefore, this research would provide useful marketing information to help establish store management strategies in new store types for post-COVID period.

      • 몽골 전통 씨름 복식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어유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779

        몽골 전통 씨름복은 경기 시에 씨름복이 찢어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해주기 위해 3겹 홈질 기법으로 여러 줄을 손으로 바느질해 주면서 우아한 쉬레스(shirees) 이미지를 만들며 완벽한 복장을 완성한다. 본 연구는 민족문화의 상징적 수공예 봉제 기법으로 완성되는 몽골 전통 씨름 복식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전개, 제작하였으며, 강인하고 모던하며 우아한 여성복 디자인으로 전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및 웹사이트 등의 조사와 몽골 현지 직접 방문 통해 몽골 씨름복의 쉬레스의 역사, 특성, 상징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여성복 4벌을 디자인 전개하고 제작하였다. 디자인의 테마는 ‘부흐와 블록체크’로 쉬레드 기법을 블록체크와 연계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몽골 씨름복의 대표적 색상인 빨간색과 파란색, 연한 녹색 등에서 벗어나 모던하고 우아한 여성 이미지를 위하여 검정과 아이보리 컬러를 선택하고 몽골 씨름복의 쉬레스를 줄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과정적으로 복식에 도입하면서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는 수공예 기법의 바느질을 응용하였다. 여러 가지 여성복을 입체적인 평평한 패턴의 기법으로 제작하고 몽골 씨름복의 싀레스를 3개 겹으로 바느질해서 여러 번 줄로 장식하여 4벌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전개했다. 이를 통해서 몽골 씨름복에 나타난 쉬레스로 표현 가능성을 확대하여 제시하였다. 작품 제작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민족 복식 응용 방안으로, 몽골 씨름 복식의 특성 및 상징적 의미, 겹홈질의 독창적 자수 기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제작의 결과는 남성적인 이미지를 우아하고 강인한 여성복 이미지의 모던한 패션디자인 전개에 적절하였다. 둘째, 색상은 몽골 전통 씨름복 색상에서 벗어나 검정색과 아이보리 색의 고급스러운 울소재를 사용한 디자인 적용은 전통적이고 상징적인 쉬레스 3겹 겹홈질 자수 기법과 어우러져 창의적이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의 결과물로 창출되었다. 전통적 민족 문화의 3겹 홈질의 쉬레스 작업은 핸드터치의 느낌으로 부가가치를 더할 수 있었다. 셋째, 몽골 씨름복의 싀레스의 상징적 의미를 생각하며 이에 부합하는 표현을 위해 4벌의 싀레스에 3겹 홈질로 바느질하며 행복과 고생을 차례를 바꾸게 한다고 이해하면서 줄의 수를 세면서 바느질로 씨름복의 상징성을 표현하고자 했다. 가장 남성스러운 경기이며 건강한 남성들의 복식인 몽골 씨름 복식의 특성을 활용하여 현대화 방안으로, 여성스러운 우아함을 나타내기 위한 본 연구의 작품 결과는 새로운 패션디자인으로의 접근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글로벌화 시대의 이와 같은 다양한 민족 문화의 연구는 그 의의가 있을 것이며 지속적인 연구와 교류의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

      • 중국 소수민족 요족과 이족 복식을 응용한 니트패션디자인

        김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7772779

        중국의 소수 민족은 각 지역에 따른 독특한 생산방식, 생활환경, 민족 성격과 미의식 때문에 아름답고 다채로운 복식을 창조했다. 특히 교통과 소식에 어두운 높은 산에 살고 있거나 특별한 지리적 환경의 영향으로 민족 복식의 기본적인 원래 면모를 보존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석기 말기부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중국 소수민족인 요족 및 이족의 문화적 배경과 복식 문화를 조사하고 각 민족 복식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요족과 이족의 다채로운 디자인 특성을 바탕으로 니트 패션디자인을 전개, 제작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고 중국 소수민족 복식의 현대화와 일상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수민족 요족의 역사, 문화, 복식의 특성, 복식의 디자인 특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다. 둘째, 중국 소수민족 이족의 역사, 문화, 복식의 특성, 복식의 디자인 특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다. 셋째, 중국 패션 컬렉션에 나타나는 소수민족 복식의 응용 디자인을 조사 분석한다. 넷째, 중국 소수민족 요족과 이족 복식의 디자인 특성 분석을 토대로 남성복과 여성복 디자인 총 10점의 니트 패션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였다. 니트 디자인 전개를 위하여 각 민족의 패턴을 수집 정리하여 CAD 작업을 통하여 니트 패턴을 제작하고 자카드 니트와 핸드니팅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 중국 신장 위구르족 복식과 아틀라스 직물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왕리봉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7772778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중 위구르족은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이다. 신장은 중국에서 이슬람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이카트(Ikat)의 한부분인 아틀라스(Atlas) 직물은 중국 신장 위구르족 복식의 중요한 부분으로 발전되었다. 아틀라스 직물은 오래된 염색방법과 직조 기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무늬와 색채가 강한 지방 민족의 특색을 지니고 있고 2008년 6월 위구르족 복식과 아틀라스 실크 염직 기술은 제2차 중국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이와 같은 소수 민족의 문화를 합리적으로 보호와 전승, 연구와 현대화, 다양한 모델의 패턴 개발과 상호 작용을 통해 신장 염직기술 등을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 지역 위구르족 복식 및 아틀라스 직물에 대한 고찰과 활용 현황 등을 조사 분석하여 최근 지속되는 전통문화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민족적 요소들과 전통 문화가 결합되어 현대적 감성으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패션디자인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신장 위구르족의 생활환경과 종교 문화 및 복식 주요 소재 아틀라스에 대하여 선행연구, 문헌 자료와 사진 자료를 기반으로 위구르족 복식의 문화 배경, 복식 특징, 직물 등을 조사 분석한다. 둘째, 위구르족 전통 직물인 이카트 기법의 아틀라스 직물 위주로 문양, 색채, 공예 등의 특징을 조사하고, 중국과 국제 컬렉션에서 이카트와 아틀라스 직물이 사용된 디자인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셋째, 이러한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위구르족 복식의 디자인 특성과 아틀라스 직물을 활용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아틀라스 직물의 활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외 웹 사이트를 통해 컬렉션으로 자료를 수집해서 직물 특징을 파악하고, 신장 지역의 현지 박물관 및 아틀라스 생산지 허톈(Hetian)과 카슈가르(Kashgar)의 현장 탐방을 통해 소수민족 문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아틀라스를 만든 과정과 적용 등에 대한 사진 촬영 및 역사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 분석된 전통복식의 특징을 바탕으로 현대적 트렌드를 적용한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신장 위구르족의 남성복식은 주로 챠판(袷袢, 두루마기), 셔츠와 바지, 그리고 허리띠, 부츠와 모자로 구성된다. 여성복은 남성복에 비해 다양하고 화려한테, 특히 지리적 환경, 인문환경과 종교 환경 요인으로 신장 동부와 남부지역의 위구르족 여성복식은 통일성과 차별성을 모두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구성은 모자나 두건을 착용하고 겉은 챠판(긴 코트), 짧은 상의, 조끼, 안에는 원피스나 셔츠를 입고 아래는 바지를 입고 있는 것으로 통일된다. 대략적인 실루엣은 넉넉하고 허리를 조임이 없고, 자수로 옷에 장식하는 것을 좋아한다. 동부와 남부의 위구르족 여성들은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거의 동일하지만 동부 색상은 더 선명하고, 남부 지역은 원색을 더 많이 선호한다. 동부지역은 중원지역과 가까워 이슬람교를 제외한 불교의 영향도 받고 한족 문화를 많이 흡수하여 옷의 문양이 풍부하며 식물 문양 이외에 용, 봉황, 선학, 나비, 박쥐 등 동물 문양도 나온다. 반면 남부 여성복식은 문양 패턴이 적은 화초 등의 식물 문양과 기하학 문양 위주로 표현되며, 이슬람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물과 동물 문양이 거의 없다. 남부지역에서는 특히 홀치기염색법이 흔히 사용된다. 위구르족 여성들이 즐겨 입는 아틀라스 실크 원피스가 대표적이다. 아틀라스 실크는 중국에서 신장 소수민족 복식의 중요한 전통 직물로, 이카트 직조 방식에 의해 중국에서 발전되었다. 이카트는 널리 사용되는 직물 염색 공예로 인도 파톨라(Patola), 인도네시아의 이카트(Ikat), 일본의 가스리(Kasuri),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의 아드라스(Adras), 및 중국 신장 지역의 아틀라스(Atlas) 직물로 세계 다양한 직물 문화에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같은 직조 공예는 서로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서로 다른 효과를 발전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도, 인도네시아, 중앙아시아, 일본 지역에서 이카트 직물은 매우 귀중한 것으로 간주되며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고 특별한 행사나 결혼식 등 선물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중국 신장 지역 이카트 직물인 아틀라스 실크는 주로 여성의 일상 의상으로 사용되었다. 아틀라스 실크의 패턴은 크게 식물 문양, 기하학적 문양, 기구 문양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아틀라스는 색상에 따라 검정, 빨강, 노란, 다색 아틀라스 크게 4 가지 종류로 나뉘고 원산지에 따라 사처 아틀라스와 허톈 아틀라스로 2 가지로 나뉜다. 국내외 웹사이트를 통해 최근 중국컬렉션과 국제컬렉션에서 수집한 컬렉션 자료에 나타난 이카트 직조 기법이나 직물 문양의 응용 디자인은 클래식한 단일 문양의 추출물을 재배열하거나 여러 문양을 추출한 후 통합해서 재구성하는 디자인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그 예로, 국제 컬렉션에서는 자수, 구슬, 디지털 프린팅, 펀칭, 퀼팅, 조합 등의 기법 및 다양한 소재를 통해 이카트 직물의 문양과 질감을 새롭게 표현한다. 이러한 자료 수집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장 위구르족 복식의 현대화를 위해 위구르족의 민족 복식 특징과 아틀라스 직물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제작된 작품은 아틀라스 직물의 고전적인 문양을 추출하여 변형하거나 국소적으로 확대하여 사용함으로써 전통 민족적 특색을 살리면서 현대적인 감각을 가미하여 전통 문양을 더욱 실용적으로 대중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틀라스 문양을 세로형으로 조각내어 자르고 가죽과 패치워크하여 현대적인 새로운 소재로 재탄생 시킬 수 있었으며, 아틀라스 문양의 확대와 축소를 활용한 핸드 니트와 자수, 디지털 프린팅 등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러한 다양한 소재와의 결합과 혼합 기법은 전통적 소재의 일상화와 다양한 패션디자인 적용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지리적 환경의 영향과 경제수준의 제약으로 인해 신장 지역에서는 수공예 산업에 의존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소수민족의 무형문화유산 전승에 대한 적극성이 높지 않게 되었고 일부 민족특색 수공예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국가 민족 문화의 보호와 계승, 그리고 더 넓은 범위에서의 적용과 디자인 개발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