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전문간호사와 간호사의 태도

        김지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se attitudes, in addition to various characteristics, on passive euthanasia between the nurses and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This research is the result of across-sectional and descriptive study, which was conducted by obtaining information through a standard questionnaire. The data on 216 nurses inquired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 2007 to December 15,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1.0, while the technical statistics were gathered by t-test, ANOVA, Turkey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s of the nurses and the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were 26 and 38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ward of employment, more nurses (41.5%) were working in the surgical department at present more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are working at the medical one. Regarding religious affiliation, many nurses (41.5%) were Christians while (36.6%) had Atheist leanings of the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In regards to the education experience of nursing on dying patients and euthanasia, the nurses showed more zeal for it than the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This was indicated from a value of lower educational experience for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71.5%) than regular nurses (66.7%). Most of family and relative members in both groups were not aware of their own opinions about euthanasia. (2) The nurses (98.4%) along with the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97.9%) mostly agreed with passive euthanasia by expressing their idea that it is merciful to help patients die in a comfortable situation. Regarding legislation for legalizing euthanasia, most of them gave the opinion that time should be taken to reach a decision to legalize euthanasia. (3) Even thoug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statistically in the attitudes to passive euthanasia between the regular nurses (2.86±.36) and the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2.885±.4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ipient's right among the subsidiary fields of the questionnaire(t=2.50, p=0.01). (4) Among the regular nurses, the attitude toward passive euthanasia in accordance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meaningful discrep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position (F= 3.226, P=.025), their religion (F=3.155, P=.027) and their desire to receive education of euthanasia (t=2.572, P=.012), whereas in the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the difference was found in their desire for the education of euthanasia (t=2.075, P=.046). (5) Regarding the attitude toward passive euthanasia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recognized according to agreement (F=14.216, P=.000), patient's request (F=16.728, P=.000), family's request (F=13.237, P=.000),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s decision (F=14.683, P=.000), and legislation (F=18.709, P=.000) for euthanasia. On the part of the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the discrepancy was meaningfully found in feelings of anxiety toward legal legislation (F=5.442, P=.002) in addition to the items mentioned abov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lthough the nurses have never received education pertaining to euthanasia, they are willing to have the opportunity to receive additional education. Therefore, it seems that the most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euthanasia is essential to the nurses. In the aspect of attitudes toward passive euthanasia, as the recipient's right revealed the key t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urther evaluation for more advanced practitioner nurses is required for validation. Furthermore, now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s represented in case of patient's request, family's request and legalizing legislation for passive euthanasia, a considerate discussion is thought to be a prerequisite for a decision that legal limitations on passive euthanasia can be administered. 본 연구는 일반간호사와 전문간호사의 소극적 안락사의 관련 특성과 태도를 비교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216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1.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 Turkey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간호사의 평균 연령은 26세, 전문간호사의 평균 연령은 38세이었고, 현 근무 병동은 일반간호사는 외과계(41.5%)가 많았고, 전문간호사는 내과계(36.6%)가 많았다. 종교는 일반간호사는 기독교(41.5%), 전문간호사는 무교(36.6%)가 가장 많았다. 임종환자를 간호한 경험과 안락사 교육을 받기 원하는 것은 전문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더 많았다. 전문간호사(71.5%)가 일반간호사(66.7%)보다 안락사 교육을 받은 적이 더 없었으며, 일반간호사(87.0%)와 전문간호사(88.2%) 모두 본인의 안락사에 대한 의견에 대해서 가족이나 친지들이 모르고 있었다. (2) 소극적 안락사의 관련 특성에서 소극적 안락사에 대해 대다수의 일반간호사(98.4%)와 전문간호사(97.9%)가 찬성하였고, 찬성하는 주 이유는 편안히 죽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자비로운 일이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안락사의 ‘합법화에 대한 법률제정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는 대상자 대부분이 필요하지만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충분히 논의된 후 법률이 제정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3)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일반간호사(2.86±.36)와 전문간호사(2.885± .41)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49, p=.63)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하부 영역 중 대상자의 권리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2.50, p=0.01)를 보였다. (4) 일반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서는 현 직책(F= 3.226, P=.025), 종교(F=3.155, P=.027), 안락사 교육 받기 원함(t=2.572, P=.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서는 안락사 교육을 받기 원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가 차이가 있었다(t=2.075, P=.046). (5) 일반간호사의 소극적 안락사 관련 특성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서는 소극적 안락사 찬성(F=14.216, P=.000), 본인의 소극적 안락사 요청 여부(F=16.728, P=.000), 가족이 소극적 안락사를 요청할 경우(F=13.237, P=.000),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협 결정(F=14.683, P=.000), 법률 제정(F=18.709, P=.000)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문간호사의 소극적 안락사 관련 특성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서는 소극적 안락사 찬성(F=10.607, P=.000), 본인의 소극적 안락사 요청 여부(F=15.971, P=.000), 가족이 소극적 안락사를 요청할 경우(F=13.200, P=.000),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협 결정(F=12.259, P=.000), 법률 제정(F=4.757, P=.004), 합법시 염려 부분(F=5.442, P=.002)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사들이 안락사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지만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으므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안락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서 보면 일반간호사와 전문간호사가 대상자의 권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전문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대상자의 권리 점수가 더 높으므로 더 많은 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확장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본인의 소극적 안락사 요청 및 가족이 소극적 안락사를 요청할 경우와 법률 제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여기에서 보면 법적 허용의 범위에 대한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안락사 시행의 남용을 막으면서 안락사에 대한 감독과 견제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안락사에 대한 태도 분석 : 전공의와 사법연수생의 비교

        유종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014

        Background: With the recent status of serious legal arguments on the doctors'' medical acts, Korea is facing with the controversies over the legal and ethical issues relative to euthanasia such as the right of the patient at a terminal stage who does not have any possibility of recovery but wishes to die gracefully, the agreement of the patient''s family, the doctor''s act to help the death, and so on.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the attitudes on euthanasia between a legal group to participate in the legislation and to execute the laws and a medical group to directly treat the patient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with judicial apprentices and medical residents playing the leading parts on the legal and medical circles in the 21st century.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35th-group of the judicial apprentices on March 24, 2004, and on the residents of 6 university hospitals and 2 general hospitals from April 2 to May 22, 2004. Total 636 respondents consisting of 460 judicial apprentices and 176 residents were compared in their attitudes on euthanasia, and the correlations of each factor were analyzed by using Chi-square test.Results: Of total 636 subjects, the ethical justness of the passive euthanasia was recognized by 373 (81.1%) of the judicial apprentices and 149 (84.7%) of the residents,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tatistics (p>0.05). On the other hand, the ethical justness of the active euthanasia was more significantly agreed with 59 residents (33.5%) than 112 judicial apprentices (24.4%) (p<0.05). 397 (86.3%) of the judicial apprentices and 160 (91.4%) of the residents answered that the law to allow euthanasia is necessary, without showing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05). However, of these supporters, the respondents who even considered the allowance of the active euthanasia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judicial apprentices (23.4%) and residents (33.8%) (p<0.05). In addition, the features of the suppor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be higher in men (28.8%) than women (17.9%), and in non-religious respondents (31.8%) than religious respondents (Christians 24.0%; Catholics 20.0%; Buddhists 22.0%) (p<0.05). Conclusion: This study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necessity of the law to allow euthanasia, but had the significantly higher respondents to answer that the active euthanasia should be also admitted. Therefore, the legal agreement and guidelines on euthanasia between the legal and the medical circles are necessary for preventing the legal disputes caused by the differences of the views between two groups. 연구배경: 최근 의사의 의료 행위에 대한 법적 논란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회복 가능성이 없는 말기 환자의 품위 있게 죽을 권리와 환자 가족의 죽음에 대한 동의 및 의사의 죽음을 도와주는 행위 등 안락사와 관련된 법적, 윤리적 문제가 국내에서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법제정에 관여하고 법을 집행하는 법조계와 말기 환자를 직접 치료하는 의료계간에 안락사에 대해 어떤 가치관과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두 집단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1세기 법조계와 의료계의 주역이 될 사법연수생들과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법: 2004년 3월 24일 사법연수원 35기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4월 2일부터 5월 22일 사이에 6개 대학병원과 2개 종합병원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응답이 완료된 사법연수생 460명과 전공의 176명 등총 636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간에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와 각 인자들 간의 관련성을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결과: 총 636명 가운데 소극적 안락사가 윤리적으로 정당하다는 사람이 사법연수생 373명(81.1%), 전공의 149명(84.7%)으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적극적 안락사가 윤리적으로 정당하다는 사람은 사법연수생 112명(24.4%), 전공의 59명(33.5%)으로 전공의들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5). 또한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는 사람이 사법연수생 397명(86.3%), 전공의 160명(91.4%)으로 양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 중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해야 한다는 사람은 사법연수생 93명(23.4%), 전공의 54명(33.8%)으로 양자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 중 남자(28.8%)가 여자(17.9%)보다, 종교가 없는 사람(31.8%)이 종교가 있는 사람(기독교:24.0%, 천주교:20.0%, 불교:22.0%)보다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해야 한다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해야 한다고 답한 사람이 전공의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안락사에 대한 두 그룹간의 가치관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논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조계와 의료계간에 안락사에 대한 법적인 합의와 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