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성패귀인 유형과 비합리적 신념이 진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선미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의 목적은 성패귀인 유형과 비합리적 신념이 대학생의 진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진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대학생의 성패귀인 유형과 비합리적 신념에 따라 진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 성패귀인 유형과 비합리적 신념 및 진로 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학생 총 800명을 대상으로 성패귀인 유형, 비합리적 신념, 진로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들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인한 287부를 제외한 자료로서 유효한 513부만을 최종적인 분석 대상으로 하여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 이원변량 분산분석(Two-Way ANOVA),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진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저학년이, 진로와 취업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영향 및 장애에서는 여학생이 진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패귀인 유형과 비합리적 신념에 따른 진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학생활 스트레스를 살펴보면 성공상황에서 외적귀인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실패상황에서 내적귀인을 적게 하는 사람일수록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와 취업 스트레스에서는 성공상황에서 외적귀인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진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영향 및 장애를 살펴보면 성공상황에서 외적귀인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스트레스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장애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패상황에서 내적귀인을 적게 하는 사람과 외적귀인을 적게 하는 사람 모두 스트레스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장애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공상황에서 외적귀인을 많이 할수록 진로 스트레스를 더 받으며, 실패상황에서 내적, 외적귀인을 적게 할수록 진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합리적 신념이 높을수록 진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패귀인 유형과 비합리적 신념 및 진로 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패귀인 유형 중 성공상황에서의 외적귀인은 진로 스트레스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실패상황에서의 내적, 외적귀인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 스트레스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성패귀인 유형과 비합리적 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진로에 어려움을 겪는 인지적 원인을 파악하고 해소하는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success-failure attributional style and irrational belief on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513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were assessed using questionnair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r among grades. The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are under more stress for college life, while female students are under so much stress for career and employment that more effects and disorders of the stress occur. Secondly,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success-failure attributional style and the career stress based on the irrational belief. As the stable attributional factors and the irrational belief appear more pronounced, they are under more career stress. Secondly,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success-failure attributional style and the career stress based on the irrational belief. When we consider the stress of college life in every detail, as the external attributional factors more work in the success situation, or the internal attributional factors less work in the failure situation, the students are under more stress. In the case of stress for career and employment, as the external attributional factors more work in the success situation, the students are under more stress. In the case of effects and disorders of the stress, as the external attributional factors more work in the success situation, the students are under more stress and tend to be high in the level of disorders. In addition, as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attributional factors less work in the failure situation, the students are under more stress and tend to be high in the level of disorders. That is, as the external attributional factors more work in the success situation, the students are under more career stress, while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attributional factors less work in the failure situation, the students are under more stress. As the students have more irrational belief, the students are under more stress as well. Thirdly, among the success-failure attributional style, the irrational belief, and the career stress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 stable and unstable attributional factors of the success-failure attributional styl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not only for the career stress, but also for the irrational belief.

      •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 개발

        최예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50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의사결정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생명윤리의 영역과 내용을 범주화 하였으며, 각 내용범주에 해당하는 생명윤리 문제의 주제의 예시를 선정하였다. 또한 Harren(1984)의 의사결정 유형 검사를 바탕으로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의 응답 방식에 맞게 수정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를 적용하여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및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른 의사결정 유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직관적 유형이 6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합리적 유형은 33.3%, 의존적 유형은 0.9%로 나타났다. 또한 생명윤리의 내용범주에 따라 의사결정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63.270, p=0.000). 반면 생명윤리 문제의 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그 내용을 얼마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파악하여 그 인식 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분석한 결과,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의사결정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생명윤리 문제에 대해 의사결정을 할 때 감정이나 즉시 떠오르는 판단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생명윤리 문제의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는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을 파악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수업모형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부모의 의사소통유형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정하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5027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dolescent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communication patterns on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s regarding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parental communication patterns, suicidal ideation were administered to 550 1st grade high-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inally 36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Female students have higher irrational belief(frustration reactivity, blame proneness, demand for approval),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when compared with male students. 2) If communications of their father and mother were dysfunctional, especially if it was more placating, adolescents' irrational belief rated higher. 3) Depression, frustration reactivity, hopelessness, mothers’ communication pattern of blaming, helplessness, and gende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4) Irrational belief were found to be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fathers’ dysfunctional communications. Moreover, irrational belief were found to be partially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mothers’ dysfunctional communications. By studying effects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communication patterns on suicidal idea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will be helpful in development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consultations and psychotherapy for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사회적 특성(비합리적 신념, 우울감, 무망감)과 부모의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심리사회적 특성(비합리적 신념, 우울감, 무망감), 부모의 의사소통유형, 자살생각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부모의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비합리적 신념, 우울감, 무망감)과 부모의 의사소통유형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넷째, 부모의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1학년 550명을 대상으로 자살생각, 비합리적 신념, 우울감, 무망감, 부모 의사소통유형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들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363부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SPSS Win 12.0를 이용한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비합리적 신념(좌절반응, 비난 경향성, 인정욕구), 우울감, 무망감 그리고 자살생각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이고 특히, 회유형일수록 자녀의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변인들은 우울감, 좌절 반응, 무망감, 어머니 의사소통유형 중 비난형, 무기력,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합리적 신념은 아버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살생각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합리적 신념은 어머니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는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특성(비합리적 신념, 우울감, 무망감)과 부모의 의사소통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심리치료 장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