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선형 해석을 통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유진호 대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대구경 현장타설 말뚝의 시공을 위해 굴착을 진행해야 하며 이러한 굴착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지지력은 일반 말뚝보다 크기 때문에 시공시 소요개수가 적으며, 큰 수평하중이나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및 진동, 지반융기나 인접말뚝의 변형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성이 좋은 장점이 있으나, 시공 후의 품질검사가 어려우며, 시공을 위한 깊은 굴착이 지반 침하 및 인접구조물의 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공벽유지로만 여겨진 케이싱은 대부분 희생강관으로만 활용된다. 그러나 이 희생강관은 깊은 심도까지 근입되어야 하므로 소정의 두께가 확보되어야 하고, 강관의 두께를 고려하면 구조체로서 하중을 부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강성을 증가시켜줄 수 있어 말뚝의 수평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강방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변단면 및 철근비를 조절하는 등의 추가 과정이 설계단계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시공시 사용된 케이싱의 보강효과만 검토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해석을 통해 케이싱 보강길이에 따른 말뚝의 수평 거동특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 보강길이에 따른 말뚝의 보강효과를 평가 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진행한 유한요소해석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지반조건별로 비선형해석의 결과에 대한 보정 값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연구와 마찬가지로 말뚝의 지지력은 수평지반반력계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케이싱 보강효과는 느슨한 지반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강길이는 1/β이상인 경우 보강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한요소해석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반조건이 보통밀도에서는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느슨한 지반에서는 비선형해석이 과대평가 되었으며 조밀한 지반에서는 과소평가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船舶安全法상 船舶檢査의 委託制度에 관한 立法論的 硏究

        유진호 한국해양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39

        현행 선박안전법상의 ‘대행’제도와 정부조직법상의 ‘민간위탁’제도의 공통점은 모두 국가사무 이행주체로서 아직도 민간에 대한 충분한 신뢰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민간의 전문성을 신뢰하더라도 그 신뢰를 담을 수 있는 법제도적 장치로서 입법기술의 창의력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사인을 활용한 국가행정사무의 처리에 있어서 권한과 책임의 이전여부라는 개념론적 도그마에 사로잡혀 실용적인 접근을 하지 못하고 위탁과 대행의 양 극단 사이에서 혼돈을 거듭했던 것이다. 이 논문은 최소한 선박안전법상 선박검사의 영역에서는 국제협약과 외국(EU, 미국)에서 취하고 있는 delegation (국민의 권리의무 관련사무에 관한 대리효과를 수반하는 특수한 민간위탁)이 위탁과 대행의 양 극단의 한계를 벗어나 간결 명료한 법률관계의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그 실용적 대안은 선박안전법 뿐만 아니라 사실상 광의의 선박검사에 해당하는 각종 해사법규상 민간의 전문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중대한 국가사무의 사인에 대한 위탁에서 선택 가능한 법형식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조직법상 민간위탁의 기준을 엄격히 따를 때 선박검사는 국민의 권리의무와 관련되기 때문에 사인에게 위탁할 수 없고 정부가 직접 수행해야 한다. 선박안전법상 업무의 대행의 기준을 엄격히 따를 때 대행기관은 사실행위(단순 행정사무)만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선박의 감항성과 안전에 관한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인 확인행위(선박안전법 등 기술규칙 적합성 평가행위)로서의 선박검사를 수행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현실에서 선급법인 등 공인선박검사기관이 국민의 권리의무와 관련된 국가사무를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확인행위) 또는 권력적 사실행위로서 위탁이 아닌 대행의 방식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것일까? 이 논문은 해상의 영역에서 선박검사는 한국법상의 위탁이나 대행과 다른 국제사회의 오랜 관행과 규범에 의해 형성된 고유한 delegation의 법형식을 취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을 통한 치유의 가능성 모색

        유진호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을 통한 치유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현 시대에서 시의적절한 치유의 방법을 찾기 위해 ‘영성 생활’의 활용을 논의하자는 것이 본고의 문제제기이다.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 안에서 이루어지는 치유는 기존의 심리치료에서 드러나는 한계점을 극복한다. 영성 생활은 치유의 핵심원리로써 인간의 내면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된다. 문제의 해결은 물론 다양한 영적 경험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또 본고는 영성 생활을 통한 치유의 실제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복잡다단해져가는 내면의 어려움에 적용되어야 할 치유의 방향과 교회의 역할도 제언한다. 이러한 주장을 통해, 다음의 세 가지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첫 번째로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은 ‘치료 중심’의 접근이 아닌 ‘치유 중심’의 접근이라는 점이다. 그것은 ‘단순한 문제 해결’이 아니라, 하느님과의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근본적인 치유이며 삶의 변화이다. 두 번째로 현대인들의 심리적․영적 어려움에 대해 영성 생활을 통한 치유는 객관적이고 전인적인 회복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치유는 인간 내면의 영성을 촉발하여, 하느님을 만나고 치유를 경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처로 인해 문을 두드리는 신자들에게 이러한 가능성을 교회가 적절한 방향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성 생활은 자신의 문제를 진솔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주제어 : 심리 치료,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 내면, 치유.

      • 광양만 주변해역 퇴적물 중 유기주석화합물 오염의 최근 동향에 관한 연구

        유진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Organotin compounds ar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ntifouling agent to prevent adherence of sedentary to ship hull and other structural surfaces immersed in seawater. Major source of organotin compounds released to marine environment is via uses as antifouling paints for ships and cultivating nets. Organotins, in particular tributyltin(TBT) and tripenyltin(TPT) are considered to be dangerous chemicals because of their deleterious effects on non-target marine organisms. Since their adverse effects on oyster farmings near marina were revealed(Alzieu, 1986), a series of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organotin compounds are highly toxic towards marine organisms. Recentl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proposed to extend the ban to all ocean going vessels beginning from 2003. Also a prohibition by IMO against the use of organotin compounds as active ingredients in antifouling systems on ships will be effective from 2008.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ix organotin compounds, sush as TBT, TPT and their metabolites, in marine surface sediments around Gwangyang Bay was studied from November 2008 to August 2009. The butyltin compounds were mainly detected in marine sediment analyzed. The concentrations of MBT, DBT and TBT in marine surface sediments around Gwangyang Bay were in the range of ND~6.58 ng/g wet-wt. as Cl, ND~18.19 ng/g wet-wt. as Cl, ND~34.03 ng/g wet-wt. as Cl, respectively. The phenlytin compounds were not detected at all stations surveyed. Rather the inside and the entrance of New Yeosu Harbor than Gwangyang Bay had higher concentration. The source of organotin compounds was distributed the most highly within New Yeosu Harbor where ships were often anchored and went in and out. Considering that there are no correlations between grain size distribution of sediment and organotin compounds, it is judged that grain size distribution of sediment doesn’t have a large effect on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organotin compounds. BDI values were widely appeared as 0.16~6.39. Estimating recently the inflow of TBT with the above value, BDI value was less than 1 in the five stations of New Yeosu Harbor. Therefore, it could be estimated that TBT was recently flown in this site and decomposed and accumulated. BDI value was more than 1 in the stations of Gwangyang bay. Therefore, it could be estimated that TBT was decomposed and accumulated by being flown in before. Organotin compounds in marine sediment of the study area were being reduced continuously. Because of such a reason, after January 1, 2003,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prohibited to use paint for ships with TBT as its major component and made large scale shipyard, a major pollutant source of organotin compounds, not located. It is judged that the concentration of organotin compounds is continuously reduced since activities of small-scale ships are more limited than other sites and because of an effect of reclamation and dredge for making industrial complex and sailing lane in the Gwangyang Bay and circulation of seawater through Yeosu Hae man. 유기주석화합물은 1850년대 처음 발견된 이후 1960년대부터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어왔다. 부틸계 화합물 중 MBT와 DBT의 용도는 비교적 제한되어 PVC 안정제, 플라스틱 첨가제, 산업용 촉매제로 이용되어 왔고, TBT는 살충제, 살균제, 목재보존제, 선박의 방오도료 첨가제 등으로 이용되어 왔다. 유기주석 화합물의 생물에 대한 영향으로는 프랑스 아카숑만 참굴(Crassostrea gigas)의 패각 기형 현상(Alzieu, 1986), 대수리와 같은 권패류의 Imposex 라는 생식기 기형현상을 유발시켜 개체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Horiguchi et al., 1994), 아주 적은 농도에서도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을 저해하여 산소 생성을 현저히 변화시키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Lindblad et al., 1989). 이러한 해양생물체에 대한 독성 때문에 프랑스, 영국,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싱가포르, 대만, 일본, 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세계 각국에서 유기주석화합물을 각국의 사정에 따라 사용에 대한 규제를 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03년부터 TBT를 주성분으로 하는 선박용 페인트 등의 새로운 도포를 금지하였으며, 2008년부터는 기 도포되어 있는 TBT를 함유한 선박 방오도료가 해수로 용출되지 않도록 규제하였다. 본 연구는 광범위한 산업 활동과 그에 따른 선박의 출입이 빈번한 광양만 주변해역과, 여수신항 퇴적물 중 유기주석화합물의 분포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2000년이후부터 현재사용이 금지된 TBT의 잔류농도와 기존자료와 비교하여 광양만 주변해역의 퇴적물 중 유기주석화합물의 최근 동향에 관해 연구하였고, 실질적인 유기주석화합물의 규제 동향과 오염정도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시료 채취는 해양 퇴적물에 대해 2008년 11월 1일, 2009년1월 29일, 5월 2일과 8월 5일 걸쳐 20개 정점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09년 8월에 광양만 4개 지점에 대해 주상 퇴적물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양 퇴적물 중의 유기주석화합물은 부틸계 화합물의 경우 전 조사 기간에 모든 지점에서 검출 되었으며, 부틸계 화합물의 분포 범위는 MBT의 경우 ND~6.58 ng/g wet-wt., DBT의 경우 ND~18.19 ng/g wet-wt., TBT의 경우 ND~34.03 ng/g wet-wt.로 나타났다. 페닐계 화합물은 대부분의 조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그 중 광양만 보다 여수신항내와 신항 입구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고, 본 연구지역에서는 선박의 정박 및 출입이 빈번한 여수신항 내에서 유기주석화합물의 오염원이 가장 크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퇴적물의 입도분포와 유기주석화합물간의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지역에서는 퇴적물의 입도분포가 유기주석화합물의 농도 분포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BDI 값이 0.16~6.39로 폭 넓게 나타났으며, 이들 값으로 최근 TBT의 유입여부를 추정해 보면, 여수신항 5개 지점에서는 BDI 값이 1 미만으로 나타나 TBT가 최근에 유입되어 분해 축적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으며, 여수 신항을 제외한 정점에서는 1 이상의 값을 보여 TBT가 이전에 유입되어 분해 축적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지역의 해양 퇴적물 내 유기주석화합물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는 국제해사기구(IMO)에 의한 2003년1월 1일 이후, TBT를 주성분으로 하는 선박용 페인트 등의 사용금지와, 유기주석화합물의 주오염원으로 작용하는 대규모 조선소가 위치하고 있지 않으며, 다른 해역에 비해 소형어선의 활동이 제한적이고, 광양만권의 산업단지 조성으로 인한 매립과 준설 등의 영향과 여수해만을 통한 원활한 해수 순환으로 유기주석화합물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주조용 Al-12Wt%Si 합금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TiB, Sr

        유진호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주조용 Al-12wt%Si 합금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TiB, Sr 동시 첨가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개량화제인 Sr을 첨가한 경우 공정 Si상이 조대한 판상에서 미세한 섬유상으로의 미세조직의 개량화가 관찰되며, 0.02%Sr 첨가 시 Si의 크기는 약 20.3μm에서 1.60μm로 감소하였고 또한 미세한 섬유상으로 전자 흐름의 증가로 전기전도도는 0.02%Sr일 때 22.2에서 29.5(%IACA)로 증가하였으며, 미세화제인 0.4%TiB를 첨가한 경우 수지상의 크기는 약 68.3μm에서 24.3μm로 감소하였다. 또한 개량화제 및 미세화제 최적 조건으로 0.02%Sr+0.4%TiB 동시 첨가 시 공정 Si의 크기는 20.254μm에서 1.258μm로 감소하였으며, 전기전도도는 약 22.2에서 약 28.7(%IACA)값을 나타내었다. 또 DAS 크기는 약 13.0μm였으며 이는 동시 미세화제 첨가로 공정 Si상과 초정 Al상의 동시 미세화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미세조직 결과를 바탕으로 기계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인장강도는 0.02%Sr 일 때 약 183MPa에서 약 222MPa으로 약 38.6MPa로 증가 하였고 연신율은 약 4.1%에서 약 5.7%로 증가하였다. 0.4%TiB 일 때 219.8MPa으로 약 36.7MPa증가 하였고 연실율은 5.1%로 증가하였고, 동시 첨가 시 248.7MPa으로 약 65.6MPa증가 하였고 연신율은 6.8%로 증가함을 알수가 있었다.

      • 플라즈마 처리수의 어류 병원체 소독 및 수질 개선 효과

        유진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양식장에서 사육수를 소독하는 일은 어류 질병의 예방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특히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며 고밀도로 사육하는 순환여과시스템(RAS)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병원체로 인한 질병 발생을 예방하고 수질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다양한 소독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플라즈마 처리수(plasma water)를 이용한 사육수 소독도 제안되고 있다. 수중 플라즈마 생성 공정은 저온 플라즈마(non-thermal plasma)에 속하는 코로나방전이나 유전체장벽방전 등의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오존(O3), OH 라디칼, 과산화수소(H2O2) 등 각종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포함된 플라즈마 처리수를 생산한다. 이러한 ROS들은 강력한 산화력으로 수중의 세균 및 바이러스의 외막과 DNA를 파괴하기 때문에 병원체 제거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어류 병원성 세균 Aeromonas salmonicida, Streptococcus iniae 및 바이러스 VHSV에 대한 플라즈마 처리수의 소독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설치한 순환여과시스템(PW)과 설치하지 않은 순환여과시스템(No PW)으로 구분하여 40일 동안의 수질 및 틸라피아의 생물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질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0일 마다 물을 채수하여 UV투과율과 일반 세균 수 변화를 측정하였고 틸라피아의 성장지표, 생존율 및 조직학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수는 A. salmonicida, S. iniae에 대해 각각 99.21%, 99.64%의 살균율을 보였다. VHSV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102.65 TCID50/ml의 역가차이를 나타내어 플라즈마 처리수의 어류 병원체에 대한 소독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플라즈마 발생장치 적용 실험 결과 뚜렷한 UVT%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반 세균 수는 40일에 이르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틸라피아는 총 증중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다른 성장지표는 실험군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유의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험군은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조직학적으로 대조군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ROS의 독성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플라즈마 처리수를 사용한다면 어류의 성장과 건강에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플라즈마 처리수는 어류 병원체의 소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사육수의 수질 개선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균형훈련이 보행시간과 균형지수에 미치는 영향

        유진호 남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was aimed the influences of pain, range of motion, gait time and balance of balance training applied to 20 patients over 60 years old of total knee replacement using KAT2000 programs and divides them into training group of 10 patients (2 men and 8 women) performing static balance training for five minutes and dynamic balance training for five minutes twice a week for total 8 weeks and control group of 10 patients (3 men and 7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1 Visual analogue scale of pain on knee joint was greatly decreased according to period in training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interaction between measuring periods (p<0.01), groups (p<0.001) and group and time (p<0.01) in repeated measuring variance analys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1.2 Visual analogue scale in gait was also greatly decreased in training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by measuring periods.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ing variance analysis, interaction between measuring periods (p<0.01), groups (p<0.01) and group and time (p<0.05)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2. Range of motion was increased in both left and right in training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ing varianc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ight (p<0.01) and left (p<0.001) according to measuring periods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interaction between each group and period (p<0.05). 3. Gait time was greatly reduced in training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ing variance analysi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interaction between measuring periods (p<0.01), groups (p<0.001) and group and periods (p<0.01). 4.1. As a result of measuring time in open state in changes of static balance, control group was increased, but training group was decreased according to training period.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ing variance analysis of changes according to measuring period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easuring periods (p<0.01), groups (p<0.001) and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periods (p<0.001). 4.2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anges of balance index by visual close in control group, but it was greatly decreased according to training periods in training group.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ing variance analysis, interaction between measuring periods and groups and measuring perio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nteraction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5. Changes of dynamic balance was greatly decreased according to periods in training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ing variance analysis, interaction between measuring periods (p<0.001), groups (p<0.001) and groups and measuring periods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otal knee replacement could acquire decrease of pain and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isability and improve gait speed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through proper balance training.

      • 토지이용분포에 따른 공동주택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일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유진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There are the lands which have specific features of urban space caused by plan of land use for giving ordinary to the city. This features go along together with nearside land using will make ripple effects on near communities. The land use distribution causes positive and negative externalities to nearside land. So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overall understanding toward the multi-family housing price of Ilsan new town according to the land use distribution. Therefore,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toward what things have influence on forming the prices of the multi-family housing in Ilsan new town by setting apartments and row houses of highest supply of the housing as the target and attempts to find out what factors have influence on deciding the multi-family housing prices of a type of housing and 2003, 2007 according to the land use distribution. Through such research, I'd like to present a basic material for establishing future the land use plan policies by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Ilsan new town's the multi-family housing of the futur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rices of the multi-family housing by a type of the multi-family housing in Ilsan new town by setting 2003, 2007. I have performed the hedonic analysis by selecting new variable gained by factor analysis from setting average sale price per ㎡ of the multi-family housing in Ilsan new tow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rough factor analysis of 21 independent variables in law of urban then reducing them into 7 variables except dummy a variable. When the analysis of price determining factors of Ilsan new town's multi-family housings made using the hedonic price model is summarized, we can see that spatial characters has the greatest influence. First, we can see that the multi-family housing prices get higher as they get bigger. But the housing complex scales factors have a little influence on price. Second, In case of a type of the multi-family housing, the apartments have influence by the center of city and the zone of life, and the row housings have influence by park and green and welfare of facilities. And in cast of 2003, 2007, zone of life and park and green factors shows as higher than others in 2003, and center of city and welfare of facilities factors show as higher than others in 2007. As a result of chow-test, there is a difference by price formation for housing types and 2003, 2007 except 2003. So, On growing center of city, the housing in 2003 are distinguished from that in 2007.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sues have to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future policies. First, the growth of center of city differ from the growth of zone of life. So, the land use plan would have to be maintained to suppress the change of preexistence plan. And it would have to activate the connection with center of city.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multiplicity of housing for the unique characteries of the communities because the zone of life will make ripple effects on near community. Third, On increasing the influencing power of park and green and the welfare of facilitie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townhouse and the courtyard housing for regional communities. 도시 내에서 공간적 질서를 부여하기 위한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발생되는 공간적 특성들은 주변 지역의 토지이용과 상호관계를 형성하여 주변지역에 파급효과를 야기한다. 토지이용의 분포현황은 이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주변의 토지이용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발생시키는 외부효과(externality)로 인해 주변 토지이용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는 공동주택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산신도시를 사례로 하여 그동안 주택공급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공동주택 중에 아파트와 연립주택을 대상으로 주변 토지이용분포가 공동주택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시기별·주택유형별로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신도시개발 및 택지개발을 계획할 때나 도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도시계획시설 및 용도지역의 지정에 관한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서 제시해보고자 한다. 2003년과 2007년을 시점으로 하여 일산신도시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당 평균매매가를 종속변수로 하고,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에서 지정·수립되는 법적 도시계획을 기준으로 21개의 독립변수를 지정하고 더미변수를 제외한 변수를 요인분석을 통하여 7개의 변수로 통합하였다. 분석결과 네 개의 모형에서 공통적으로 평형비율이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2003년에 비해 2007년에 공동주택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했다. 반면, 단지규모는 2003년에 비해 2007년에 공동주택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주택유형별로 보면, 아파트의 경우 2007년·2003년에서 생활권중심지와 도시중심지가 미치는 영향이 공통적으로 아파트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에 비해 2007년에서 도시중심이 생활권중심보다 미치는 영향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연립주택의 경우 공원·녹지와 복지시설이 공통적으로 연립주택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지에 있어서 2007년은 도시중심, 2003년은 생활권중심이 연립주택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기별로 보면, 2003년은 생활권중심, 공원·녹지가 공동주택의 가격에 영향을 주로 미치고, 2007년은 도심중심, 복지시설이 공동주택의 가격에 영향을 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w-test를 통하여 시기별·주택유형별로 가격결정구조의 동일성 여부를 검증한 결과, 2003년 아파트와 연립주택 간에는 가격결정요인에 대한 구조식의 차이점이 없었지만, 2007년에 와서 아파트와 연립주택에서 2003년에 가격결정구조식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생활권중심보다 도시중심의 영향이 높아지는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때, 2003년에는 도시중심의 영향이 생활권중심의 영향에 비해 적었지만 2007년에는 도시중심이 성장하면서 주변 공동주택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강해졌다고 할 수 있다. 헤도닉모형을 통하여 분석한 일산신도시 공동주택 가격결정요인을 종합하여 보면 평형비율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변수들도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특성변수가 토지이용변수보다 그 영향력이 큰 것을 감안하면 토지이용변수가 일산신도시 공동주택시장에서 가격과의 관계는 큰 잠재가치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책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중심상업지역이 생활권중심보다 활성화되는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중심지의 용도변경을 자제하고 기존의 계획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중심지의 영향력이 고르게 미칠 수 있는 토지이용계획의 수립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생활권 중심지역이 시기별·주택유형별로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동주택의 주택유형에 있어서 아파트와 연립주택 등 주택특성을 고려한 경제성 있는 개발을 유도하는 동시에 다양한 개발방식의 도입을 통해 권역별로 특색 있고 장소성을 부여하기 위한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세 번째, 공동주택가격에 내재된 변수의 특성이 공원·녹지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복지시설 등을 통한 활동의 영향이 증대함에 따라 향후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할 시에는 개발방식에 있어서 기존의 개발방식을 지양하고 타운하우스, 중정형 등과 같이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개발방식을 지향해야한다.

      • 이상 슬러그 유동의 실험적 연구

        유진호 慶尙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원통-다관형 열교환기(shell and tube heat exchanger)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하나이다. 다상의 유체가 작동 유체로 사용되거나 동작중 상변화가 일어나는 열교환기에서는 복잡한 다상 유동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다상 유동은 관련된 유체 기계의 성능 및 안정성 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관내부에서의 기상-액상의 이상 유동은 열전달 성능 및 관 손상과 직접 관련되어 있어, 많은 선행 연구가 수행되어 왔고, 지금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관 내부에서의 기상-액상의 이상 유체 유동은 각 상의 유량에 따라 다양한 유동 형태가 나타나는 것이 알려졌다. 층상유동(Stratified flow)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우, 복잡한 계면 및 기포의 혼입 등으로 실험 및 전산 해석 연구방법 모두에서 제한적인 연구만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열교환기 내부에서 이상 유동 분배 특성 연구를 목표로 하여, 관 내부에서의 이상 유동에 대해서 정성 및 정량적 유동 가시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성적 유동 가시화 연구로부터 유량에 따른 이상 유동 형태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정량적 측정을 위한 실험 기법의 정확도 검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량적 연구를 통하여 이상 유동 각 단에서의 속도장 측정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이상 유동의 이해를 돕고, 관련 유체 기계의 개발 및 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