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가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 놀이로의 전이 행동과 또래 놀이에 미치는 영향

        심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video social story with peer play transition behaviors and peer play between thre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clusive kindergart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five-year kindergart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classmates.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 to determine if a video social story in which all students were trained to play would increase peer play transition behaviors and peer play.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During baseline,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occurrence of social play behaviors in the free play time. Following baseline,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video social story in free play. Maintenance data were collected 4, 12 and 11 weeks later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the rate of peer play transition behaviors and peer play increased in all thre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rough the visual intervention including video social story Second, the rate of peer play transition behaviors and peer play was maintained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video social story are effective in enhancing peer play transition behavior and peer play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in inclusive setting. This study provides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for applying and extending video social story intervention in inclusive kindergarten class. 어린 아이들은 놀이를 하면서 자란다. 그러나 사회성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는 사회적이고 가장적인 속성을 지닌 놀이에서도 어려움을 겪는다.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않아 왔음에도 불구하고, 놀이에서 보이는 다양한 결함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도 유치원에 들어가고 또래와의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또래 놀이에서의 어려움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중요한 교수 목표가 될 수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 놀이는 독특한 양상을 보이며 또래와 함께 놀이를 하기 전에 또래를 관찰하기, 또래와 근접성을 유지하기 등 또래 놀이 이전에 나타날 수 있는 놀이 행동에서부터 일반 유아의 또래 놀이 발달의 양상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자발적 참여를 높여 또래 놀이의 증진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는데 활용되어 온 비디오 상황이야기를 통합 유치원의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적합한 형태의 중재방안을 개발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 놀이로의 전이 행동과 또래 놀이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통합 유치원에 재학 중인 3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예비관찰 및 비디오 상황이야기 개발,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예비 관찰 기간 동안에 또래 놀이로의 전이 행동과 또래 놀이의 자연스러운 상황을 동영상 및 사진으로 찍었고 이후에 Gray의 작성 지침에 따라 개별적인 목표 상황에 맞는 상황이야기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언어영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자/또래와 함께 비디오 상황이야기를 함께 본 이후에 이해 점검 질문을 한 이후에 연구자/또래와 역할 놀이하고, 이야기 관리표를 작성하였다. 비디오 상황이야기는 참여 유아나 또래가 접근이 쉽도록 교실 컴퓨터에 비치해 두었으며, 비디오 상황이야기를 상기시키기 위해 연구자/또래가 만든 포스터를 교실 벽면에 게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모두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에 참여한 이후 통합학급의 자유선택활동에서 또래 놀이로의 전이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해 증가된 또래 놀이로의 전이 행동은 참여 유아 1에게 중재 후반부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참여 유아 2, 3에게는 중재 후반부 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모두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에 참여한 이후 통합학급의 자유선택활동에서 또래 놀이가 증가하였다. 넷째,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해 증가된 또래 놀이는 또래 놀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모두 중재 후반부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 놀이로의 전이 행동과 또래 놀이를 증가시키고, 그 효과를 유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 유치원 상황에서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를 개발 및 적용하였으며 자폐 범주성 장애의 또래 놀이로의 전이 행동과 또래 놀이의 증가를 이끌어 낸 점에서 의의가 있다.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해 아동의 선호도 및 흥미를 고려한 중재를 제공하는 등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놀이 연구의 타당도를 높였으며, 교육 현장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 놀이 중재를 실시하고자 할 때 개별 유아의 또래 놀이 수준의 발달 정도와 변화를 교사가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심세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Hospice Social Worker Shim, Sehw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Hospice Social Worker is a special social worker in the Korean Social Welfare Service, who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sinc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July 2015. They are largel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new and healthy death culture while preventing the depletion of Korean health insurance finances and helping small, hospice patients finish their life with dignity while being right beside them. Although there is no accurate statistical data, the turnover rate of hospice social workers is very concerning. Hospice social worker’s frequent turnover can cause many difficulties and losses in many aspects. First, it can hinder the establishment of ambitious Korean hospice programs as a national macro policy goal. Second, it does not provide any help in achieving the 'gracious finishing' of hospice patients' wishes and the desire of their families, 'regretless farewell'. Finally, I can mention the loss of career of an individual hospice social worker and administrative waste of an instit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ause of the frequent turnover of hospice social workers who act as field practitioners for the success of hospice care programme in Korea and to find out what measures are needed to prevent this situation. More specifically, th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ce social worker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vocational consciousness), organizational factors (supervision), and job factors (job stress) I am trying to see if it i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ce workers in the field. To perform questionnaires (mail surveys, e-mail surveys, visiting surveys, etc.), we conducted surveys on current hospice social workers across the country. We also interviewed with current hospice social workers and tried to find out the real and deeper reasons for the subsequent turnov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spice social workers' vocational consciousness has a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s. (β=-.334, p<.001) In other words, both the survey and the interviews showed that people with higher vocational consciousness had little or no turnover intention and those with lower vocational consciousness had higher turnover intentions. Therefore, hospice is a special field dealing with 'death', so it is necessary to select people who have a vocational consciousness at the time of hospice social worker recruitment. Second, the sense of calling of hospice social workers indirectly affects their turnover intention by mediating burnout. (β=-.279, p<.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high-conscious hospice social worker from the beginning, but in order to prevent accumulation of their exhaus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vide both prevention programme from exhaustion and elimina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exhaustion. Third, the supervision of hospice social worker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tress and exhaustion. (β=-.378, p<.01) In other words, good supervision relieves hospice social workers from job stress and reduces their exhaustion, consequently lowering their turnover intention, while the opposite is tru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vide 'positive effective supervision' to hospice social workers and raise awareness of the roles and tasks of hospice social workers to their colleagues in the multidisciplinary team. Fourth, job stress of hospice social worker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rough exhaustion. (β=.607, p<.001) In other words, reducing job stress should be a continuous effort from the start before exhaution reaches the extreme and burnout happens due to stress. Currently, the ratio of hospice social workers to the number of patients is unbalanced. There are more patients than the hospice social worker can handle. In addition, many hospice social worker can't have a legal vacation because of the system of a single person in each institution and the posting status of a hospice. Besides,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Completion of computer registration of counseling and counseling logbooks of all 3 doctors, nurses, and social workers within 3 days after patient’s admission to the hospital," they feel tired due to frequent night shifts and weekend work. Besides, frequent confusion and a surge of paperwork, job stress is accumulating over and over. In order to prevent the frequent turnover of hospice social workers, the improvement in these areas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Fifth, hospice social workers set a top priority on 'devoted service to clients', but they should not be overlooked. They should be payed at least the level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and be provided proper allowances for night shifts and weekend work. In addition, I believe that effective exhaustion prevention and relief treatment programs, and careful study of the number system, and stabilization of systems through a reasonable numbers, will contribute to prevent the hospice social worker from leaving their job.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and interviews conducted by the current hospice social workers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an find it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the cause of frequent turnover of hospice social worker, which is a prerequisite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Korean hospice, is clarified more clearly. The hospice social worker is working in a quite different environment from other social workers in terms of dealing with “death”, and they found that a special calling(vocational consciousness), effective supervision, and exhaustion prevention and resolution programs are essential.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urgency of the hospice number system to stabilize and reduce heavy paperwork is important because it led to excessive job stress and severe exhaustion. Next, we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hospice social workers currently working in various types of hospice institution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so that we could grasp the various aspects of our hospice scene more vividly. In addition, the quantitative approach, the structural equation and the qualitative approach and the narrative inquiry, can be used to broaden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of hospice social worker and to form a more effective consensus. Next, the hospice has been relatively recent and has not yet become widely known to the general public, and this study has contributed in part to publicize hospice diffusion in the hospice program. Finally, this study can be viewed a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ce social work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is study is a trans-versal study of hospice social worker 's turnover at present, so we can not grasp the trends of change over time. Also, it is somewhat unfortunate that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out a clear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calling consciousness' of the hospice social worker. I hope that subsequent studies suggest that a longitudinal study of hospice social worker turnover should be conducted and that a clear pre-conceptual definition of "hospice social worker's consciousness of calling" - whether it is “a consciousness of hospice” dealing with death, or “a consciousness of social worker” as an advocate of patients’ rights. I would like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analysis after similar research is done. * Key word : Hospice social worker,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Burnout, Sense of calling (Vocational Consciousness), Supervision [국문 초록]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는 2015년도 7월 국민건강보험의 제도화 실시를 기점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한국 사회복지계의 전문사회복지사이다. 이들은 크게는 한국 건강보험재정의 고갈을 막는 동시에 새롭고 건전한 죽음 문화 창출에 기여하며, 작게는 호스피스 환자들의 품위있는 마무리를 바로 곁에서 최선을 다해 조력하고 있다. 그러나 비록 최근래 시작된 제도라 아직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은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은 다방면으로 많은 어려움과 손실을 초래하는데 먼저, 국가의 거시정책적 목표로서 야심차게 도입된 한국 호스피스 프로그램의 제도 안착을 방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호스피스 환자들의 간절한 소원인 ‘품위있는 마무리’와 그 가족들의 바램인 ‘후회없는 이별’의 성취에 아무런 도움을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호스피스 사회복지사 개인의 경력 손실 및 기관의 행정적 낭비 등을 들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후발주자인 우리나라에서 호스피스의 성공을 위해 현장 실천가로서 활동하고 있는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잦은 이직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들의 이직을 막기 위해 필요한 대처방안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밝히고자 시작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크게 개인요인(소명의식), 조직요인(수퍼비전), 직무요인(직무스트레스)으로 나누고, 소진을 매개로 하여 위 요인들이 이들의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현직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우편설문, 전자메일설문, 방문설문 등) 이에 덧붙여서, 현직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보다 더 깊이 있게 현장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이들의 이직의도 원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은 그들의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끼친다. (β=-.334, p<.001) 즉, 소명의식이 높은 사람은 이직의도가 없거나 낮으며, 소명의식이 낮은 사람일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설문조사와 인터뷰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호스피스는 ‘죽음’을 다루는 특수 분야인 만큼,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는 채용 단계 때부터 소명의식이 있는 사람을 선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은 소진을 매개로 하여 그들의 이직의도에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β=-.279, p<.01) 따라서 애초부터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로서 소명의식이 높은 이를 선발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이들의 소진감이 누적되지 않도록 현장에서는 소진예방 및 소진 해소를 위한 재충전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거쳐 이들의 이직의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β=-.378, p<.01) 즉, 좋은 수퍼비전은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덜어주고 또 소진감을 줄여줘서 결과적으로 이들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반면에, 그 반대의 경우는 오히려 이직의도를 더 높이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 따라서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들에게 ‘효과적인 수퍼비전’을 꾸준히 제공하고 또 이들의 동료인 다학제적 팀원들에게도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업무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연수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을 매개로 그들의 이직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β=.607, p<.001) 즉,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는 직무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소진감이 극에 달할 때쯤 이직을 단행하게 되므로 사전에 이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주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려준다. 현재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는 환자수 대 사회복지사수 비율의 기준 초과와 각 기관 내 1인 단독근무체제이며 또 호스피스 겸임발령인 상태라서 과다한 업무량으로 힘들어하고 있다. 또한 ‘환자 입원 후 3일 이내 의사 · 간호사 · 사회복지사 3인 모두의 상담 및 상담일지의 전산등록 완료’ 규정에 따라 잦은 야근과 주말 근무 등으로 피로를 느끼고 있다. 덧붙여서, 건강보험 수가체계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이들은 업무상의 혼란과 서류작업의 폭증 등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쌓여만 가고 있다. 따라서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잦은 이직을 막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도 하루빨리 이뤄져야만 하겠다. 다섯째,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헌신적인 봉사’를 최우선사항으로 삼고 있지만 이들 역시 ‘생활인’이라는 점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들의 급여를 최소한 사회복지관 수준 이상으로 인상하고 또 야근과 주말근무 등에 대해서도 정당한 수당 제공이 이뤄져야 하겠다. 덧붙여서, 효과적인 소진 예방과 해소 프로그램의 제공 그리고 합리적인 수가체계의 도출과 그를 통한 수가 안정화 모두가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을 막는데 기여하리라고 본다. 전국의 현직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한국 호스피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필수선결과제인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잦은 이직의 원인을 보다 더 명확하게 규명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는 ‘죽음’을 다룬다는 점에서 여타 사회복지사들과는 확연히 다른 환경에서 근무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특별한 소명의식과 효과적인 수퍼비전의 제공 그리고 소진 예방과 소진 해소 프로그램이 꼭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호스피스 수가 체계의 불안정성이 초래하는 서류작업의 폭증이 이들에게 과도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유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하루빨리 수가 체계의 안정화와 서류 작업의 축소가 이뤄져야 함을 알게 되었다. 다음으로, 전국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유형의 호스피스 기관에서 근무 중인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병행해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호스피스 현장의 다양한 모습을 보다 더 생생하게 잘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을 그 의의로 들 수 있겠다. 덧붙여서, 양적 접근법인 구조방정식과 질적 접근법인 내러티브탐구를 병행함으로써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어려움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서도 실질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나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그 다음으로, 호스피스가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어 아직 일반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 연구를 통해서 호스피스 프로그램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호스피스의 대국민 확산 측면에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조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이 연구가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관한 현 시점의 횡단적인 연구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추이는 파악하지 못한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후속연구에서는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관한 종단연구가 실시되기를 바란다. 또한 현재 시범사업 중인 가정형 호스피스와 자문형 호스피스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나면 각 유형별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대한 비교 연구도 함께 시행되어지길 기대해본다. * 주제어 : 호스피스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 소진, 소명의식, 수퍼비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