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효능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만족도,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및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 The influence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self efficacy on learning 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metacogni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0678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경영학과 ,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5 판사항(6)

      • DDC

        65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149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종인
        권말부록: 이러닝(MOOC포함) 학습자 특성 조사 ; 이러닝(MOOC포함) 학습전이 조사
        참고문헌: p. 116-140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민국은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강력한 인터넷 네트워크 인프라를 바탕으로 이러닝을 빠르게 발전시켜 왔다. 기업은 비용 절감과 시공간 제약 극복을 위해 전통적인 집합교육에서 벗어나 이러닝 기반 교육훈련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닝 교육훈련의 효과성에는 여전히 의문이 존재하며,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전이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폭넓게 시도되지 못한 실정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새로운 인적자원개발 체제를 갖추려는 시도와 함께 새로운 사회 변화의 요구에 따라 학습목표 지향성, 메타인지와 같은 역량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효능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만족도,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 이러닝 기반 교육훈련에서 학습전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 이러닝 교육훈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효능감, 만족도, 메타인지 수준을 측정하였다. 교육훈련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학습전이를 학습자와 학습자가 소속된 기업의 CEO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변화에 부응하여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범위를 확대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 학습전이 측정 시기와 측정 주체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는 점, 일반적인 전체 구성원들에 대한 교육훈련에서 핵심역량이 높은 그룹에 대한 선별적인 교육훈련으로의 전환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실무적인 시사점과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들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대한민국은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강력한 인터넷 네트워크 인프라를 바탕으로 이러닝을 빠르게 발전시켜 왔다. 기업은 비용 절감과 시공간 제약 극복을 위해 전통적인 집합교육에...

      대한민국은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강력한 인터넷 네트워크 인프라를 바탕으로 이러닝을 빠르게 발전시켜 왔다. 기업은 비용 절감과 시공간 제약 극복을 위해 전통적인 집합교육에서 벗어나 이러닝 기반 교육훈련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닝 교육훈련의 효과성에는 여전히 의문이 존재하며,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전이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폭넓게 시도되지 못한 실정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새로운 인적자원개발 체제를 갖추려는 시도와 함께 새로운 사회 변화의 요구에 따라 학습목표 지향성, 메타인지와 같은 역량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효능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만족도,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 이러닝 기반 교육훈련에서 학습전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 이러닝 교육훈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효능감, 만족도, 메타인지 수준을 측정하였다. 교육훈련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학습전이를 학습자와 학습자가 소속된 기업의 CEO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변화에 부응하여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범위를 확대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 학습전이 측정 시기와 측정 주체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는 점, 일반적인 전체 구성원들에 대한 교육훈련에서 핵심역량이 높은 그룹에 대한 선별적인 교육훈련으로의 전환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실무적인 시사점과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public of Korea has been rapidly developing e-Learning with its world-class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nternet infrastructure. Companies are expanding their e-Learning based training beyond traditional collective education to reduce costs and overcome time and space constraints. However, there is still a ques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e-Learning training, and we need more extensive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learning 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In addition to establishing a new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ompetences such as learning goal orientation(LGO) and metacognition are drawing attention as demands for new social change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metacogni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self efficacy on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maximizing the learning transfer in the corporate e-Learning. For demonstrating the influence, this study measured learning goal orientation, self-efficiency, satisfaction, and metacognition levels of corporate e-Learning training participants at the beginning of the training program. The learning transfer survey was conducted among training participants and the CEO of the corporate they belong to four weeks later, after the training program was finished.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learning transfer in response to changes that would com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ttempted to overcome limitation of the precedent measurement on learning transfer with time interval and new survey subjects. This study also suggested shifting from general training to selective training for the group with the highest core competence.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번역하기

      Republic of Korea has been rapidly developing e-Learning with its world-class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nternet infrastructure. Companies are expanding their e-Learning based training beyond traditional collective education to reduce costs and ov...

      Republic of Korea has been rapidly developing e-Learning with its world-class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nternet infrastructure. Companies are expanding their e-Learning based training beyond traditional collective education to reduce costs and overcome time and space constraints. However, there is still a ques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e-Learning training, and we need more extensive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learning 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In addition to establishing a new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ompetences such as learning goal orientation(LGO) and metacognition are drawing attention as demands for new social change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metacogni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self efficacy on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maximizing the learning transfer in the corporate e-Learning. For demonstrating the influence, this study measured learning goal orientation, self-efficiency, satisfaction, and metacognition levels of corporate e-Learning training participants at the beginning of the training program. The learning transfer survey was conducted among training participants and the CEO of the corporate they belong to four weeks later, after the training program was finished.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learning transfer in response to changes that would com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ttempted to overcome limitation of the precedent measurement on learning transfer with time interval and new survey subjects. This study also suggested shifting from general training to selective training for the group with the highest core competence.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6
      • C. 용어의 정의 7
      • 1. 이러닝 7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6
      • C. 용어의 정의 7
      • 1. 이러닝 7
      • 2. 학습전이 7
      • 3.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 Ⅱ. 이론적 배경 10
      • A. 이러닝 10
      • 1. 이러닝의 개념 10
      • 2. 기업 이러닝의 현황과 과제 12
      • B. 학습전이 14
      • 1. 학습전이의 개념 14
      • 2. 학습전이의 모형 16
      • 3. 기업 교육훈련과 학습전이 22
      • 4. 학습전이의 측정 23
      • C.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7
      • 1. 학습자 특성 요인 :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효능감 27
      • 2. 학습성과 요인 : 만족도, 메타인지 36
      • 3.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요인 41
      • D. 선행 연구 및 연구가설 44
      • 1.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효능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44
      • 2. 만족도,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47
      • 3.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55
      • E. 연구모형 60
      • Ⅲ. 연구방법 61
      • A. 자료수집 대상 61
      • B. 자료수집 절차 64
      • C. 조사 도구 66
      • 1. 학습목표 지향성 66
      • 2. 자기효능감 67
      • 3.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68
      • 4. 만족도 68
      • 5. 메타인지 69
      • 6. 학습전이 70
      • D. 자료분석 방법 73
      • Ⅳ. 연구결과 75
      • A. 확인적 요인분석 75
      • B.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 78
      • C. 가설 검증 79
      • 1.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효능감의 주효과 및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79
      • 2.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효능감의 주효과 및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검증 83
      • 3.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86
      • D. 연구대상 기업 이러닝 교육훈련프로그램 평균 차이 분석 93
      • E. CEO가 응답한 학습전이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 96
      • 1.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96
      • 2.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검증 97
      • Ⅴ. 결론 99
      • A. 결과 및 논의 99
      • B.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109
      • C.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13
      • 참고문헌 116
      • 부 록 141
      • ABSTRACT 14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6

      2 조일현, "「기업 e-러닝 Trends」", 『임금연구』. 12(2): 4-19, 2004

      3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학현사, 제2판. 서울: 학현사, 1992

      4 김아영 ( Ah Young Kim ),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16(1): 1-38, 2004

      5 박승호, 서은희,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135-152, 2008

      6 나일주, "「기업교육 10년, 회고와 전망」",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연구』. 9(11). 5-26, 2007

      7 이선영 ( Lee Sun-young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50, 2017

      8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09

      9 李島炯,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5

      10 권대봉, 현영섭, "판매교육 학습전이와 전이풍토간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연구』. 41(1): 299-32, 2003

      1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6

      2 조일현, "「기업 e-러닝 Trends」", 『임금연구』. 12(2): 4-19, 2004

      3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학현사, 제2판. 서울: 학현사, 1992

      4 김아영 ( Ah Young Kim ),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16(1): 1-38, 2004

      5 박승호, 서은희,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135-152, 2008

      6 나일주, "「기업교육 10년, 회고와 전망」",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연구』. 9(11). 5-26, 2007

      7 이선영 ( Lee Sun-young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50, 2017

      8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09

      9 李島炯,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5

      10 권대봉, 현영섭, "판매교육 학습전이와 전이풍토간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연구』. 41(1): 299-32, 2003

      11 우경애, "『SNS를 활용한 PBL 수업의 학습효과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12 이인숙, "『e러닝-사이버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문음사, 2002

      13 김진모, "「직무교육훈련의 유효성과 그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

      14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39(1): 95-123, 2001

      15 강현철, 김기영, "LISREL(SIMPLIS)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의 분석", 서울: 자유아카데미, 2001

      16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자아효능감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연구』. 40(6): 152-178, 2002

      17 유평준, "e러닝 평가의 구성요소 및 평가준거에 관한 소고", 한국산업교육학회, 『산업 교육연구』. 9: 73-94, 2003

      18 김종인, 박성준, "「업무환경이 교육훈련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9(1): 23-41, 2002

      19 권성연, "대학생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7(2): 49-71, 2007

      20 이창수, "“학습전이가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21 장우석, 전해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가혁신전략 수립 방향」", 현대경제연구원, 『VIP Report』. 서울: 현대경제연구원, 2017

      22 안병규, "『초,중등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평가 준거 개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23 박일수, "「교육과정 재구성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 연구』. 31(4): 141- 164, 2013

      24 주영주, 봉미미, 박성희,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과 인식 만족도 연구」", 『교육공학연구』. 23(3): 59-87, 2007

      25 김민희, "「원격학원 진학 교원들의 학습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교원 교육연구』. 24(3): 297-318, 2007

      26 강일국, 임선일, 이승준, 이수광, 이병곤, 이근영, 유성상, 오재길, 백병부, "『4.16 교육체제 비전과 전략연구. 연구보고 2015-05』", 경기: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27 정종진, "성취목표지향성에 관한 연구결과와 그 교육적 시사",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 교육연구논총』. 19(2): 281-299, 2003

      28 류지헌, "기업 이러닝의 학습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연구』. 9(1): 121-142, 2007

      29 김기용, 나승일, "서울대학교 직업교육 CEO과정 참여자의 학습 전이 수준", 한국농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 111-141, 2007

      30 김지연, 정선아, 유혜숙, 왕희정, 배연희, 박효은, "「간호대학생의 메타 인지,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협력학회지』. 17(9): 619-627, 2016

      31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분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000

      32 김한국, 하임숙, 정철호, "“이러닝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5(1): 65-72, 2011

      33 박영용, 김진모, "기업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 215-239, 2006

      34 임정훈, "상호작용 관점에서 조망해 본 웹 기반 교육의 이론적 기저",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15(3): 29-54, 1999

      35 강명희, 송윤희, 박성희,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결과를 예측하는 요인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2(2): 293-315, 2008

      36 김재훈, "우리나라 기업교육에 있어 교육훈련 전이모형 타당화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37 박연실, "초인지,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38 주영주, 조현국, 조일현, "기업 이러닝 강좌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및 양호도 검증",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연구』. 10(2): 1-20, 2008

      39 현영섭, "『콜브의 경험학습 모형을 적용한 기업교육 학습전이 모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40 김소나,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전이 관련변수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41 정재삼, 한영진, "「고객만족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전이 영향에 대한 요인 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 교육연구』. 6(2): 127-148, 2004

      42 정경수, 김경준, "기업의 e-Learning에 대한 학습효과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시스템연구』. 15(2): 1-29, 2006

      43 김민정, 류지현, 고기정,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지각한 만족감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4): 191-220, 2005

      44 김효근, 곽소아, 서현주, "기업의 e-Learning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4(1): 36-44, 2004

      45 김종숙(Kim Jong-suk), "이러닝 학습성과의 영향변인 탐색과 인과분석의 교육정책적 함의",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5(3): 101-125, 2007

      46 김성완, 김재훈, "기업 교육훈련에서의 학습 및 전이 모형 개발을 위 한 탐색적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5(1): 83-105, 2003

      47 한안나, "기업교육에서 학습의 직무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48 김성국, 손기영, "「기업 내 웹기반 교육에서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대한 연구」", 『경상논총』. 35: 61-87, 2006

      49 손영우, 최송아, 손현국, "「성실성, 인지 능력, 메타인지 능력이 학습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1): 221-238, 2012

      50 강민석,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교수 상호작용감 모형 및 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51 김경수, "「기업의 관점에서 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향」",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인적자원정책 설계 및 추진체계를 위한 전문가 포럼 자료집』. 고려대 HRD정책연구소, 2017

      52 정제영, "「대학의 관점에서 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향」",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인적자원정책 설계 및 추진체계를 위한 전문가 포럼 자료집』. 고려대 HRD정책연구소, 2017

      53 박성익, 김연경,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2006

      54 정병삼, "육군병사들의 복무 수행 수준에 대한 자기평가와 간부평가의 차이분석",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국방연구』. 60(1): 157-183, 2017

      55 김용, 채보영, 송재신, 서정희, 김정원, 김자미,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증진 을 위한 학습자 만족도 평가 준거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6): 61-68, 2007

      56 정인성, 임철일, 임정훈, 최성희, "「평생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16(1): 223-246, 2010

      57 최명숙, 최은진, "이러닝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32(1): 139-164, 2016

      58 송윤희, "대학 교양수학 수업에서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불안 및 학습성과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6(4): 1001-1020, 2012

      59 최예솔, "『학습양식과 성취목표 동기에 따른 자율적 협동학습 만족도 효과성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60 김인수, "『웹기반 자율학습형 수업에서 통제소재, 메타인지 및 학업 성취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61 정재삼, 임규연,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16(2): 107-135, 2000

      62 이도형, "조직 내 지난분기에 이수한 사이버과정의 학습 및 전이 효 과 모델 검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9(1): 59-88, 1996

      63 강민석, 박인우, 김진일,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0(5): 135 -143, 2009

      64 강성배, 윤종록, 김형철, "교육훈련 참가자의 정의적 특성이 교육훈련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33: 3-44, 2002

      65 유일, 황준하, "학습자의 원격교육시스템 이용 의도와 성과에 대한 원격교육 자기효능감의 역할", 한국경영정보학회, 『경영정보학연구』. 12(3). 45-70, 2002

      66 곽지훈, 김진모,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 참여자가 인식하는 교수설계 수준과 학습전이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183-211, 2008

      67 김진모, 공민영,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자기주도성,전이풍도,학습과의 관계", 한국농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40(3): 223—246, 2008

      68 이영,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 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69 강명희, 김나연, 김민정, 김지윤, 임현진, "사이버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 미디어연구』. 17(2): 153-176, 2011

      70 김태웅, "온라인 토론 환경에서 교수자의 피드백 형태가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공학교육학회, 『교육공학연구』. 13(6): 24-32, 2010

      71 김형우, 송해덕, "영업사원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한국HRD연구』. 10(2): 51-71, 2015

      72 김희수, "「성인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교 육과정 및 연령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38(2): 247-266, 2007

      73 서희전, 강명희,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의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1(2): 1-28, 2005

      74 심우진,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 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75 강명희, 박미순, 심혜진, 김미정,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성격특성(Big-Five Personality Trait)의 예측력 검증」",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20(1): 111-130, 2008

      76 금혜진, "『기업의 e-Learning 프로그램에서 학습의 근전이(near transfer) 및 원전이(far transfer)의 예측 변인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77 김효근, 서은숙, 서현주, "개인의 직무몰입과 콘텐츠의 업무연관성이 e-러닝 학습성과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지식연구』. 6(1): 27-53, 2008

      78 김나영, "사이버교육에서 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과 상호작용, 몰 입 및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09

      79 백성현, "“목표지향성 및 사회적 지원과 교육훈련 전이 간 관계 에서 교육훈련 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20(5): 85-114, 2013

      80 이은환,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 상호작용, 몰입,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3

      81 이성주, "「CMC 활용 학습에서 면대면 수업 유무, 교사관여 및 메타 인지가 학업성취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9(3): 37-64, 2003

      82 김은희, "「e-learning에서 다차원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만족,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고객센터 종사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8(2): 51-67, 2017

      83 이경헌,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주도 학습 능력과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4 김상현, "『이러닝 특성과 사용자의 전반적 만족 및 재이용 의향과의 관계: 학습자 특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85 김소나, 김수미, 주영주,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학습능력, 온라인 과제가치가 만족도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능력개발연구』. 11(3): 151-170, 2008

      86 임효창, 이인석, 박경구, "기업 내 e-Learning의 반응, 학습성과 및 전이성과 간 관계: 교육참가자의 개인특성 및 조직환경의 조절효 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28(3): 1-32, 2004

      87 주영주, 설현남, 유나연, "「사이버대학생의 직장 유무에 따른 고립감, 상호작용, 콘텐츠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525-540, 2012

      88 김민지, "“대기업 HRD 담당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개인-직무 적합성, 자 기효능감, 경력개발지원 및 직무도전성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89 정재삼, 금혜진, "“기업교육 프로그램에서 자기효능감, 초인지, 학업성취도, 전이풍토와 학습의 근전이(near transfer) 및 원전이(far transfer)간의 관계규명”",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3(3): 1-30, 2007

      90 강민석, 임걸,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 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 석",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1014-1023,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