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를 위한 데이터 상황 기반의 위험도 측정에 관한 새로운 방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54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최근 개정된 데이터 3법에 맞추어 조직 내 실무자들이 개인정보를 활용함에 있어 비식별 조치 수행 시 위험도에 따른 처리 수준 산정을 위한 새로운 측정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우리가 제안한 방법은 위험도 측정 시 데이터만이 아닌 데이터를 둘러싼 주위 상황을 고려하였고,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범용 환경에서 데이터 상황을 크게 데이터 활용방법, 데이터 이용환경, 그리고 데이터(자체) 3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보다 체계적으로 분류하였으며, 제시된 분류에 따라 각 상황별 위험도에 기반하여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새로운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비식별 정보의 위험도 산정을 전문가들의 정성적 판단에만 맡기는 것이 아니라 일반 조직 내 개인정보처리자가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량적인 방법으로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최근 개정된 데이터 3법에 맞추어 조직 내 실무자들이 개인정보를 활용함에 있어 비식별 조치 수행 시 위험도에 따른 처리 수준 산정을 위한 새로운 측정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우...

      본 논문은 최근 개정된 데이터 3법에 맞추어 조직 내 실무자들이 개인정보를 활용함에 있어 비식별 조치 수행 시 위험도에 따른 처리 수준 산정을 위한 새로운 측정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우리가 제안한 방법은 위험도 측정 시 데이터만이 아닌 데이터를 둘러싼 주위 상황을 고려하였고,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범용 환경에서 데이터 상황을 크게 데이터 활용방법, 데이터 이용환경, 그리고 데이터(자체) 3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보다 체계적으로 분류하였으며, 제시된 분류에 따라 각 상황별 위험도에 기반하여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새로운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비식별 정보의 위험도 산정을 전문가들의 정성적 판단에만 맡기는 것이 아니라 일반 조직 내 개인정보처리자가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량적인 방법으로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new measurement scheme for estimating the processing level according to risk when performing de-identification i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by practitioners in the organization in line with the recently revised Data 3 Act. Our proposed methods considered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data, not just the data, for risk measurement, and divided the data situation into three categories more systematically so that it can be applied in all areas in a general-purpose environment, the data utilization environment, and the data (self) so that it can be calculated quantitatively based on each context risk according to the presented classification. The proposed method is designed to calculate the risk of existing de-identifiable information in a quantitative manner so that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in general organizations can use it in practice, not just in the qualitative judgment of experts.
      번역하기

      This paper proposes a new measurement scheme for estimating the processing level according to risk when performing de-identification i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by practitioners in the organization in line with the recently revised Data 3 Act. ...

      This paper proposes a new measurement scheme for estimating the processing level according to risk when performing de-identification i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by practitioners in the organization in line with the recently revised Data 3 Act. Our proposed methods considered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data, not just the data, for risk measurement, and divided the data situation into three categories more systematically so that it can be applied in all areas in a general-purpose environment, the data utilization environment, and the data (self) so that it can be calculated quantitatively based on each context risk according to the presented classification. The proposed method is designed to calculate the risk of existing de-identifiable information in a quantitative manner so that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in general organizations can use it in practice, not just in the qualitative judgment of expe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관련연구
      • III. 제안하는 데이터 상황기반 위험도 측정방법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관련연구
      • III. 제안하는 데이터 상황기반 위험도 측정방법
      • IV.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weeney L, "k-anonymity: A model for protecting privacy" 10 (10): 2002

      2 Mackey, E, "Understanding the Data Environment" 20 (20): 37-39, 2016

      3 UKAN, "The anonymisation decision making framework" 2016

      4 Duncan, G. T, "Statistical Confidentiality" Springer 2011

      5 Khaled El Emam, "Risk-based de-identification of health data" 8 (8): 64-67, 2010

      6 Mulligan DK, "Privacy is an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 a multi-dimensional analytic for mapping privacy" 374 (374): 1-17, 2016

      7 Nissenbaum HF, "Privacy in Context:technology, policy, and the integrity of social life,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Law Books 2010

      8 "NIST 800-188(2nd Draft)De-Identifying Government Datasets"

      9 Fabian Prasser, "Methods of Information in Medicine" Schattauer 2016

      10 Oleksandr Tomashchu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ust and Privacy in Digital Business, TrustBus 2019" 63-77, 2019

      1 Sweeney L, "k-anonymity: A model for protecting privacy" 10 (10): 2002

      2 Mackey, E, "Understanding the Data Environment" 20 (20): 37-39, 2016

      3 UKAN, "The anonymisation decision making framework" 2016

      4 Duncan, G. T, "Statistical Confidentiality" Springer 2011

      5 Khaled El Emam, "Risk-based de-identification of health data" 8 (8): 64-67, 2010

      6 Mulligan DK, "Privacy is an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 a multi-dimensional analytic for mapping privacy" 374 (374): 1-17, 2016

      7 Nissenbaum HF, "Privacy in Context:technology, policy, and the integrity of social life,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Law Books 2010

      8 "NIST 800-188(2nd Draft)De-Identifying Government Datasets"

      9 Fabian Prasser, "Methods of Information in Medicine" Schattauer 2016

      10 Oleksandr Tomashchu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ust and Privacy in Digital Business, TrustBus 2019" 63-77, 2019

      11 "HITRUST and Privacy Analytics, HITRUST Data De-identification Methodology, Training course material"

      12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Privacy Rule"

      13 Joint government departments in Korea, "Guidelines for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14 Khaled El Eman, "Guide to the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CRC Press 203-221, 2013

      15 Elliot, M. J., "Functional Anonymisation: The crucial role of the data environment in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of data as (non-)personal" CMIST 2015

      16 Khaled El Emam, "Anonymizing health data" O’Reilly book 29-33, 2013

      17 Solove DJ, "A taxonomy of privacy" 154 (154): 477-564, 2006

      18 Bieker F, "A process for data protection impact assessment under the european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21-3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 0.50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