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케이팝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 연구 : 2001-2017 년의 걸파워 표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8619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 2018. 8. 졸업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K-POP Girlgroups’ Fashion Style: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Girl Power From 2001 to 2017

      • 형태사항

        xi, 146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주보림
        참고문헌: p. 117-126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50845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굴지의 음악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케이팝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세계 반대편의 다른 문화의 많은 사람들에게까지도 그 향유 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케이팝이 표현하는 여성관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다른 대중매체와 마찬가지로 여성의 이미지가 상품화되는 상황에 대해서 심각한 문제 인식이 필요하다. 한국 사회에서의 페미니즘은 그 관념을 현대인의 삶을 뒷받침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어 사회의 성차별을 타파하고자 하며 가부장적인 역할론과 종교적인 믿음에 기초한 성 고정관념의속박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투쟁하는 여성들의 중요한 신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현시대에 들어서 대중매체를 통해 ‘걸파워’라는 새로운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와 한국의 걸파워 운동 그리고 케이팝의 기원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오늘날 케이팝 걸그룹이 채택하는 기본적인 시각적 스타일의 주제를 개별적으로 분석했으며 이들 스타일 중 어떤 것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지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케이팝이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음악산업으로 성장한 2001년부터 2017년 사이에 데뷔한 그룹에 중점을 두었으며 인지도에 관계없이 노래 및 안무에 주요 활동으로 하는 3인조 이상의 모든 아이돌 걸그룹을 포함시켰다. 이어서 걸파워의 의미를 담고 있는 케이팝 걸그룹 음악과 관련하여 세부적으로 패션스타일을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여성의 자아의식을 전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여성 가수가 표현하는 방식이 현대 여성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케이팝 걸그룹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걸파워 표현의 의의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1-2017년의 걸파워 표현을 중심으로 케이팝 걸그룹에 나타난 패션 스타일 분석을 통해 걸파워의 의미와 그 의의를 도출하고, 앞으로 케이팝의 패션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있다.
      번역하기

      21세기 굴지의 음악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케이팝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세계 반대편의 다른 문화의 많은 사람들에게까지도 그 향유 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

      21세기 굴지의 음악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케이팝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세계 반대편의 다른 문화의 많은 사람들에게까지도 그 향유 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케이팝이 표현하는 여성관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다른 대중매체와 마찬가지로 여성의 이미지가 상품화되는 상황에 대해서 심각한 문제 인식이 필요하다. 한국 사회에서의 페미니즘은 그 관념을 현대인의 삶을 뒷받침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어 사회의 성차별을 타파하고자 하며 가부장적인 역할론과 종교적인 믿음에 기초한 성 고정관념의속박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투쟁하는 여성들의 중요한 신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현시대에 들어서 대중매체를 통해 ‘걸파워’라는 새로운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와 한국의 걸파워 운동 그리고 케이팝의 기원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오늘날 케이팝 걸그룹이 채택하는 기본적인 시각적 스타일의 주제를 개별적으로 분석했으며 이들 스타일 중 어떤 것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지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케이팝이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음악산업으로 성장한 2001년부터 2017년 사이에 데뷔한 그룹에 중점을 두었으며 인지도에 관계없이 노래 및 안무에 주요 활동으로 하는 3인조 이상의 모든 아이돌 걸그룹을 포함시켰다. 이어서 걸파워의 의미를 담고 있는 케이팝 걸그룹 음악과 관련하여 세부적으로 패션스타일을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여성의 자아의식을 전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여성 가수가 표현하는 방식이 현대 여성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케이팝 걸그룹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걸파워 표현의 의의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1-2017년의 걸파워 표현을 중심으로 케이팝 걸그룹에 나타난 패션 스타일 분석을 통해 걸파워의 의미와 그 의의를 도출하고, 앞으로 케이팝의 패션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POP (K-POP) stepped forward to the west after conquering East Asia, millions of people would overcome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to listen to Korean songs and enjoy a rich and pleasant experience not only to ears, but also to the eyes, with hyper produced music videos and outfits. However, to achieve said success, the Korean industry has turned into an idol’s factory, resulting on the artists’ image being explored to an extent that damages beyond the industry’s health, spreading to social aspects and reflecting shallow principles of gender stereotypes in which entertainment was built on. Bibliographic research shows that female artists are represented in the media as a submissive character of delight to the male gaze, revealing a scenery of objectification even within an innocent concept. Yet, K-POP has become more than a musical phenomenon, along with its visual dynamism that ranges widely to innumerous fashion influences, it is also a powerful vehicle used to address positive messages, even if appealing to social causes would still work as a commercial product in the background, the effect it has on young fans would remain authentic. First, we will examine the most notable fashion style used by K-POP girlgroups from 2001 to 2017, and use it as base to discuss how does K-POP uses the fashion style to express the Girl Power on feminists’ songs.
      번역하기

      Korean POP (K-POP) stepped forward to the west after conquering East Asia, millions of people would overcome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to listen to Korean songs and enjoy a rich and pleasant experience not only to ears, but also to the eyes, with...

      Korean POP (K-POP) stepped forward to the west after conquering East Asia, millions of people would overcome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to listen to Korean songs and enjoy a rich and pleasant experience not only to ears, but also to the eyes, with hyper produced music videos and outfits. However, to achieve said success, the Korean industry has turned into an idol’s factory, resulting on the artists’ image being explored to an extent that damages beyond the industry’s health, spreading to social aspects and reflecting shallow principles of gender stereotypes in which entertainment was built on. Bibliographic research shows that female artists are represented in the media as a submissive character of delight to the male gaze, revealing a scenery of objectification even within an innocent concept. Yet, K-POP has become more than a musical phenomenon, along with its visual dynamism that ranges widely to innumerous fashion influences, it is also a powerful vehicle used to address positive messages, even if appealing to social causes would still work as a commercial product in the background, the effect it has on young fans would remain authentic. First, we will examine the most notable fashion style used by K-POP girlgroups from 2001 to 2017, and use it as base to discuss how does K-POP uses the fashion style to express the Girl Power on feminists’ so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 B. 연구의 방법과 내용 3
      • II. 이론적 배경 5
      • A. 케이팝 걸그룹 5
      • I. 서론 1
      •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 B. 연구의 방법과 내용 3
      • II. 이론적 배경 5
      • A. 케이팝 걸그룹 5
      • 1. 케이팝의 개념 5
      • 2. 케이팝의 형성 배경 8
      • 3. 1990년대 케이팝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 사례 분석 13
      • B. 걸파워 21
      • 1. 걸파워의 개념 21
      • 2. 걸파워와 페미니즘 24
      • 3. 한국 사회의 걸파워와 페미니즘 운동 31
      • III. 케이팝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 분석 36
      • A. 케이팝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 분류 및 특징 36
      • B. 케이팝 걸그룹의 걸파워 음악에 나타난 패션 스타일 사례 분석 82
      • C. 케이팝 걸그룹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걸파워 표현의 의의 102
      • IV. 결론 및 제언 114
      • 참고문헌 117
      • 부록 127
      • Abstract 1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