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언약의 점진적 발전과정에서 본 신명기 17:40~20안에서 사울 그리고 다윗 왕국의 평가 = (The) evaluation of Saul's and David's kingdom in Deut. 17:40~20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the coven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97181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233.215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iii, 108p.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05-108

      • 소장기관
        • 대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칼빈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current study looks at the Israel dynasty of the early days and the two kings Saul and David, this especially shows David as the idealized king and the historical Davi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eology of sin, and points out David as the arche...

      This current study looks at the Israel dynasty of the early days and the two kings Saul and David, this especially shows David as the idealized king and the historical Davi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eology of sin, and points out David as the archetype of the ideal king Jesus Christ.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make Jesus Christ known as the ideal king who is righteousness and loving-kindness, who is central to redemptive history and the fulfillment of the covenant and is Messiah in the New Testament. Accordingly we stress that the dual concepts of the blessings, God's righteousness and loving-kindness, have to be blended with and proclaimed by the church, that God hated and raged at David for his sin but mercifully forgave and redeemed him from his sin.
      On perspectives in canonical context, redemptive history and progressive development of the covenant, Israelite kingship rose up and prospered through God's divine loyalty despite of the covenanted kings', Saul and David, transgressions against the law, and especially on the preparation of kingship and the rise of the kingdom in accordance with Deut. 17:14∼20. Therein we can see God's sovereign grace of righteousness and loving-kindness beyond Israel's sins of disobedience.
      From above, Israelite prophets concentrated their attention on the ideal king(Isa. 9:1∼7; 11:1∼9) and the shepherd of Israel(Eze. 34:1∼31) who will resolve the problem of sin as Sovereign, as the ideal king David. He came into the world not on his own, but he was sent from God(Jn. 8:42) in accordance with Deut. 17:15. He and Only He, who came from the Father for the salvation of sinners, is the unique leader and king whom God was well pleased with.
      P. House warns us not to overestimate the idealized David by quoting David's defects from R. A. Carlson and David's fall from W. Brueggmann(2 Sam. 21∼24). Bon Hoeffer says that forgiveness without confession of sins and resurrection without death is 'cheap grace'. Accordingly we cannot understand God's grace and love without pointing out total depravity and without serious consciousness of sins and without repentance of sins. Because God favors us a new ministry, His Goodness, based on our repentance after failure.
      The New Testament convinces us that Jesus Christ in the genealogy of David fulfilled all the requirements(Matt. 1:1∼17). In addition, Jesus is confessed as God's Son by quoting from Ps. 2:7(Ac. 13:33; Heb. 1:5; 5:5) and also is declared as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Rev. 19:16). In conclusion, the writers in the New Testament believed that Jesus Christ as Messiah satisfies all the requirements in the Old Testament, roots out all sins and fulfills any conditions of the covenant for mankind.
      Therefore, not the historical David to take the blame for one's sins, but Jesus Christ only as our ideal king, and his righteousness and loving-kindness has to be proclaimed by churc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스라엘 초기 왕조와 두 왕 사울과 다윗에 대해서 살피고, 특히 이상화된 왕으로서의 다윗과 죄의 영향의 신학 아래서의 다윗의 모습을 통해서, 역사적 다윗과 이상적 왕인 예수 ...

      본 연구는 이스라엘 초기 왕조와 두 왕 사울과 다윗에 대해서 살피고, 특히 이상화된 왕으로서의 다윗과 죄의 영향의 신학 아래서의 다윗의 모습을 통해서, 역사적 다윗과 이상적 왕인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으로서 다윗을 살폈다. 나아가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를 구속사의 중심이고 언약의 성취자이며 신약에서 메시야로 오신 공의와 사랑의 이상적 왕으로 알리고, 그 축복의 양면인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 즉 하나님은 다윗의 죄를 미워하시고 진노하시며 심판하셨으나 그의 신실하심으로 다윗을 용서하시고 그를 구속하셨다는 조화된 설교가 교회에 의해 선포될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정경적, 구속사적 그리고 언약의 점진적 발전과정의 관점에 의하면, 이스라엘의 왕정제도는 언약의 왕 사울과 다윗의 범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신적인 충성을 통해서 발흥했으며, 특히 신 17:14∼20에 의거 왕정이 준비되고 왕국이 탄생했다. 그러한 가운데 우리는 이스라엘의 불순종의 죄를 넘어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주권적 공의와 사랑의 은혜를 본다.
      위의 관점에서, 이스라엘의 선지자들은 이상적인 다윗 왕과 같은 주권자(사 9:2∼7; 11:1∼9)로서 죄 문제를 해결해 줄 이스라엘의 이상적인 왕이며 목자(겔 34:1∼31)에 대하여 관심을 집중 시킨다. 그는 자의가 아니라 신 17:15에 의거하여 하나님으로부터 보내심을 받아 이 세상에 오신 분이다. 오직 그분만이 죄인들의 구원을 위하여 아버지로부터 오신 분으로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유일한 지도자요 왕이다.
      하우스(P. House)는 삼하 21∼24장을 통하여 다윗의 결점을 관찰한 칼슨(R. A. Carlson)과 다윗의 몰락을 주장한 브루그만(W. Brueggemann)의 의견을 인용하여 이상화된 다윗을 과대평가하지 않도록 경고해 준다. 본 훼퍼(Bon Hoeffer)는 죄의 고백 없는 사죄, 죽음 없는 부활을 ‘값싼 은총’(cheap grace)이라고 했다. 따라서 인간의 전적 부패와 타락에 대한 지적, 죄에 대한 심각한 인식, 그리고 죄에 대한 진정한 회개 없이는 하나님의 은총과 사랑을 이해할 수 없다. 왜냐하면 회개는 실패 후에 하나님께서 어떤 새로운 사역 즉 “선”을 베푸시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신약은 이 모든 요구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자가 바로 다윗 계보에서 나오는 예수임을 확신케 한다(마 1:1∼17). 덧붙여 시 2:7을 인용하는 본문들 속에서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로 고백되고(행 13:33; 히 1:5; 5:5), 또 “왕의 왕, 주의 주”로 선언되어진다(계 19:16). 결국 신약의 기자들은 메시야로서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이 구약의 모든 요구들을 만족시키며, 모든 죄를 뿌리 뽑고 그리고 인류를 위한 언약의 모든 조건을 성취시키는 분으로 믿었다.
      그러므로 자신의 죄로 인하여 비난을 받아야할 역사적 다윗이 아니라 이상적 왕으로써 다만 예수 그리스도와 그리고 그의 공의와 사랑이 교회에 의해 동시에 선포되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2
      • 3. ‘언약 신학’의 연구에 관한 중요 연구 동향 3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2
      • 3. ‘언약 신학’의 연구에 관한 중요 연구 동향 3
      • Ⅱ. 본론 6
      • 1. 왕정제도의 특징과 배경에 대한 평가 6
      • 1) 왕정제도의 특징과 배경 6
      • 2) 왕정제도에 대한 일반적 견해의 고찰 10
      • 3) 왕정제도에 대한 신학적 및 정경적 관점 16
      • 2. 신 17:14∼20의 문학적 구조 분석과 주경적 해석 19
      • 1) 문학적 구조 분석 19
      • (1) 신명기 교차대조구조(concentric pattern) 분석 19
      • (2) 신 12∼26장의 구조 분석 20
      • (3) 신 17:8∼19:21과 신 17:14∼20의 구조 분석 20
      • (4) 해설 22
      • 2) 주경적 해석 연구 23
      • (1) 본문해석 23
      • (2) 본문 비평 24
      • (3) 어의적(語義的) 및 주경적 해석(主經的解釋) 26
      • (4) 해설 40
      • 3. 이상적 왕국탄생준비에 대한 사사시대의 신학적 고찰 44
      • 1) 사사기의 순환고리들 45
      • 2) 왕정제도를 원했던 실례들 46
      • 3) 베들레헴 삼부작(The Bethlehem Trilogy) 47
      • 4) 메시아와 같은 지도력과 하나님의 뜻 51
      • 4. 사울 왕국: 왕정제도의 발흥 52
      • 1) 이상적 지도자로서 사울의 등극 52
      • 2) 사울의 통치 56
      • 3) 사울의 실패 58
      • 4) 사울의 비극적 종말 64
      • 5. 다윗 왕국: 왕정제도의 번영 65
      • 1) 다윗 왕국의 탄생 배경과 원인 65
      • (1) 사무엘에 의해 기름부음 받은 다윗 65
      • (2) 통일 이스라엘의 왕으로 등극하는 다윗 68
      • 2) 다윗 왕국의 성장과 발전 70
      • (1) 새로운 수도 예루살렘 70
      • (2) 언약궤의 예루살렘으로 이주 71
      • (3) 왕국의 안보와 확장 74
      • (4) 영원한 언약(삼하 7장, 대상 17장) 79
      • 3) 다윗 왕국에 내재된 갈등과 위기 87
      • (1) 밧세바 사건 88
      • (2) 압살롬의 반란 89
      • (3) 세바의 반란 90
      • (4) 솔로몬과 아도니야의 왕위 계승의 투쟁 91
      • (5) 독단적인 인구조사 91
      • (6) 죄의 영향 신학 93
      • 6. 두 왕의 평가를 통한 이상적 왕의 모형 95
      • 1) 사울 왕 96
      • 2) 다윗 왕 97
      • Ⅲ. 결론 100
      • 참고문헌 105
      • 국문초록 109
      • 영문초록 1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