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두만강유역 고대문화와 정치집단의 성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56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두만강 지역은 가장 먼저 古朝鮮, 그리고 中國 郡縣과 高句麗 등 강대한 외부세력의 계속적인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통합 세력의 대두가 저지되고 상대적으로 각 읍락의 독자성이 다른 지...

      두만강 지역은 가장 먼저 古朝鮮, 그리고 中國 郡縣과 高句麗 등 강대한 외부세력의 계속적인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통합 세력의 대두가 저지되고 상대적으로 각 읍락의 독자성이 다른 지역에 비해 강하게 유지되고 있어 당시의 社會構成 單位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두만강유역의 고대 문화와 정치체에 대한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두만강 유역에서 활동한 종족 집단의 영역 문제가 밝혀져야 사회상이나 사회 성격 문제 등이 명확하게 정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당시 유적과 유물에 대한 분석을 통한 고고학 자료의 지역적 특성을 구분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나아가 각 유적 사이에 編年과 상호 선후 관계를 명확히 설정하여 그들 유적과 지역 집단 간의 관계를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고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두만강유역의 고대문화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바탕으로, 각 지역의 지역별 문화 특성에 대한 면밀한 고찰과 비교를 통해 두만강유역 고대문화의 특성과 주민집단 및 정치집단 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할 것이다.
      만주, 즉 중국 동북지방 고대 문화 및 역사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각 지역에 분포하는 고고학 자료의 지역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일차적으로 요구된다. 그 동안 요령성 및 길림성, 흑룡강성 일대에 분포하는 고대 한국사 관련 고고학 자료에 대한 조사와 문헌과의 결합을 시도해왔던 본 연구자는 한국 고대사회 이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지역이면서도 그 동안 여러 이유로 관심을 받지 못한 두만강 유역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고대 읍락사회의 구체적인 모습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문헌 사료의 부족함을 극복하고 일차적으로 중국 연변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두만강유역 현장답사가 필요하며, 유적과 유물에 대한 직접 견문은 물론 현지 연구자들과 자료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 역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그 동안 연변대박물관 등 연변지구 고대 유적에 대한 발굴과 연구를 수행했던 중국 내 조선족 학자들과 함께 지속적인 현장답사와 논의를 통해 과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관련 유적은 대개 농촌 지역에 고립적이고 개별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도로 교통이 불편한 중국에서는 구체적인 답사 시에는 관련 연구자 두세 명이 소형차로 움직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두만강유역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최근 많은 고고학 조사가 이루어져 관련 자료에 대한 보고서 등 많은 연구 성과가 나오고 있다. 이들 관련 유적에 대한 조사보고서 등을 최대한 입수하여 『삼국지』위서 동이전 등 문헌 자료와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생각한다.

      원고는 아래와 같이 크게 3장으로 구성될 것이다.

      Ⅰ장. 두만강유역 지역집단의 존재 양태
      1. 두만강 이남-함경남도 지역의 고대문화
      2. 송화강 중상류 지역의 고대문화
      3. 목단강 중류 유역의 고대문화
      Ⅱ장. 두만강유역 고대문화의 특성
      1. 읍락 집단의 분포와 성장
      2. 두만강 유역 고대문화의 특성
      Ⅲ장. 정치집단의 성장과 사회 성격
      1. 두만강유역 고대문화의 담당자
      2. 두만강유역 고대사회의 특성

      오늘날 중국 고고학계는 중국 연변지구에서 철기시대로 들어간 이후 특징적인 문화인 단결-끄로우노프까 문화를 담당한 주민 집단에 대해 이를 옥저족으로 파악하고 역사상 정치체로는 北沃沮의 문화로 설명한다.
      연구에서는 먼저 청동기문화 단계 이래 형성되어 온 大小의 세력집단들이 옥저의 국가를 구성하는 각각의 읍락집단으로 성장·발전하였음을 정리할 것이다. 대개 청동기 및 철기시대 전기의 유적과 유물 상태를 통해 읍락집단의 분포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두만강 유역의 고대문화는 크게 延吉의 小營子文化를 중심으로 발달되었고, 이것이 나중에 團結文化로 발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는 가야하와 부르하통하, 그리고 두만강본류 및 압록강 상류, 목단강 및 수분하 지역 등의 고대 문화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중국 고고학계는 연길 및 길림성 왕청현 百草溝 유적으로 대표되는 ‘소영자문화’가 길림지방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부여 선주민 문화인 ‘서단산문화’와 공통성이 많다는 점에서 이 문화의 담당 주민을 沃沮族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서단산문화와의 비교 연구도 소영자-단결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현재까지 조사된 두만강유역 고대문화를 담당한 옥저 사회는 문헌과 문화유적 및 유물을 종합해 볼 때 여러 邑落 공동체로 나뉘어 있었고, 각 읍락에는 우두머리(渠帥)들이 있어 스스로 三老라 일컫고 일반 백성인 下戶를 거느렸다.
      옥저 사회에는 아직 강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