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지용의 일어시 창작과 조선어 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16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지용은 초기시에서 일본 시단의 유행과 조선에 유입된 새로운 풍속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국적 정조와 낭만적 정서를 보여주었다. 그는 근대적 교양과 멋을 지닌 언어를 구사할 줄 알...

      정지용은 초기시에서 일본 시단의 유행과 조선에 유입된 새로운 풍속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국적 정조와 낭만적 정서를 보여주었다. 그는 근대적 교양과 멋을 지닌 언어를 구사할 줄 알았지만 자기 절제와 반성의 형식으로서 문학을 지지하였고 후기시의 전환은 이러한 그의 성향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지용은 모어의 선택과 배치를 통해 향수라는 근원적 감정을 시화하였고 조선의 고유한 정서와 공통 언어 감각을 통해 민족어로서 조선어를 자리매김 하였으며, 후기시에서 근대적 주체로서 자연의 공간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정지용의 시세계가 특별히 의미 있는 것은, 그가 신지식과 교양을 습득한 가운데 전통을 재문맥화하고 민족어의 결과 리듬을 되살렸다는 데에 있다.
      정지용의 이러한 시세계 변화 과정은 번역 작업이나 일어시 창작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특별히 일어시를 창작하면서 시 창작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조선어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지용이 일본 문단에 공식적으로 발표한 최초의 일어시는 「かっふえやらんす」이다. 1926년 12월 근대풍경 1권 2호에 발표되었다. 「카페프란스」가 학조 1호에 발표된 것이 1926년 6월이니 여섯 달의 간극을 두고 발표된 셈이다. 일본 시단의 영향 관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인용되는 작품이다. 발표년도는 국문시가가 앞서지만 일어시가 먼저 창작되고 후에 조선어 시로 옮겨졌을 가능성을 추측해볼 수 있다. 대부분의 일어시는 조선어 시 발표 이후에 발표되었지만 「바다」 연작의 발표 연도를 참고한다면, 조선어 시로 창작되고 일어시로 번역된 것이 아니라, 일본어로 먼저 씌어지고 조선어로 번역되었을(또는 동시에 창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황마차」의 경우에도 일어시가 먼저 발표된 것으로 보아, 일어시 창작이 선행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최근 발굴된 도시샤 대학 재학생 동인지 발표 일본어 시를 살펴보면 정지용이 시작 메모나 연습을 일본어로 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다른 일본어 시편의 발표 연도에도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말」 시편의 경우 한 달 차이를 두고 발표되었으며, 「笛」, 「酒場の夕日」의 경우는 일어시가 먼저 발표되었다. 한국어 작품이 없는 일어 창작시도 다수 발견된다. 정지용의 일본어 시 중에는 「카페프란스」처럼 제목이 같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변화된 경우는 드물게 발견된다. 「金ぼたんの哀唱」은 「선취 1」가 그러하다.
      1926년에 발표된 정지용의 일본어 시 「夜半」는 어두운 방안에 우두커니 앉아 사물의 고요한 흐름을 느끼며 자신과 세계의 흐름을 인지하는 청년의 내면을 그리고 있다. 정지용 시의 출발지점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beginning his career as a poet, Jeong Ji—Yong also carried out translations and writing japanese poems. To him, it was more than merely an effort to introduce modern style to Joseon. The idiosyncratic vocabulary and the short and cheerful r...

      From the beginning his career as a poet, Jeong Ji—Yong also carried out translations and writing japanese poems. To him, it was more than merely an effort to introduce modern style to Joseon. The idiosyncratic vocabulary and the short and cheerful rhythm occurring in his early folk—style children’s poems show the influence of the translations and writing japanese poems. Jeong Ji—Yong’s poems, however, also include emotions such as weariness and anxiety, which makes the readers think about the poet’s attitude toward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Writing japanese poems appear to have influenced his discovery of poetic subjects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his own sensibility in lyric poetry. His literary effort also clearly reveal his views on the post—liberation reality of Joseon and his search for ideology. In a writing environment where he could not directly participate or speak in reality, it appears that his attitude of aesthetic self—renewal, of seeking a transcendent space within which he could express his thoughts, was the frontline of his writing. It can be seen, therefore, writing japanese poems are intimately linked to his own poetry writing, and had directly influenced his views on language and cultu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