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저항으로서의 유희: 1930년대 한․중 도시소설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00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제기하려는 문제점과 견지하고자 하는 시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30년대 모더니즘 계열의 도시 소설 연구에서 식민지 근대 경험이 어떻게 ...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제기하려는 문제점과 견지하고자 하는 시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30년대 모더니즘 계열의 도시 소설 연구에서 식민지 근대 경험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식민지 근대 경험은 단순히 부정적 양상으로만 다가온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양가적이고 혼종적이며 이중적 측면을 지닌 경험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양가성은 식민지 극복을 위한 저항적 태도로 재해석될 수 있다. 둘째, 개별 연구뿐만 아니라 비교 연구에서도 탈식민주의적 관점이 적용되어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경우 (반)식민지적 근대 경험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문학적 반응 양상에 공통점이 존재한다면, 이는 서구(및 일본) 모더니티의 ‘전유’이자 동시에 ‘혼종적 저항’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대안적 기대를 전제한다. 즉 제국주의적 시각이 담지한 이분법적인 문화틀을 부정함으로써 주체/타자의 억업 구도를 해체하려는 것이다. 새로운 세계 질서의 모색과 다주체의 공존을 위해서 여러 문화들의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 위에서 융합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길이 되어야 할 것이다. 탈식민주의는 궁극적으로 타문화 혹은 서양 문화와의 조화로운 공존을 추구하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유효한 접근 방법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 의한다면 문화 전반을 읽어내는 연구자의 시각이 확장될 수 있으며, 또 역사적 경험(식민지 근대 경험)의 재평가를 통해서 근대의 인식론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1930년대, 40년대 초반에 발표된 것으로, 일상의 이중성과 혼종성을 감각적으로 드러낸 모더니즘 소설 중 특히 도시성을 함축한 작품들이다. 한국문학의 경우, 박태원․이상의 작품이 주로 다루어질 것이고 필요에 따라 최명익과 이효석, 이태준의 주요 작품도 언급할 것이다. 중국문학의 경우, 리우나어우(劉吶鷗), 무스잉(穆時英), 스즈춘(施蟄存), 쉬쉬(徐訏), 장아이링(張愛玲)의 주요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을 것이다.
      탈식민주의 비평론과 모더니즘의 방법론을 토대로 연구 대상의 분석을 위해 새로운 도출한 기본 틀은 공간과 주체이다. 이를 좀데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1. 공간-도시의 양가성: 이 특성을 밝히기 위해 세 가지의 측면에서 접근한다. 첫째, 일상의 공간-일상적 현실은 모더니즘 소설 주인공의 주관적 경험이 펼쳐지는 시공간이지만, 그 주관성으로 인해 일상성이 변형, 전도된 방식으로 경험된다. 특히 모더니즘 계열의 도시소설 주인공들에게 일상은 자신의 존재 기반이므로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동시에 교환가치와 실제적 합목적성이 지배하므로 혐오와 기피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박태원이나 이상, 장아이링이나 쑤칭(蘇靑)의 작품에서 한편에서는 일상성을 부정하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그것을 긍정하는 양상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바로 동아시아 탈식민 담론의 양가성을 드러내는 문화적 유희이자, 저항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유혹의 공간-도시소설에는 다양한 소비 공간이 등장한다.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고 소비만이 존재하는 그리하여 그곳은 배설의 공간이자 퇴폐의 공간이 된다. 이 소비 공간의 대표가 ‘카페’와 ‘나이트클럽’이다. 이 유혹의 공간은 새로운 도시 풍물에의 경도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 안에 부유하는 인간군상을 통해 비정상적 인간관계와 상처의 흔적을 보여준다. 이상의 「날개」나 「지주회시」, 박태원의 「비량」이나 「성탄제」, 무스잉의 「나이트 클럽의 다섯 사람」, 「상하이의 폭스 트롯트」 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역사의 공간-과거로 상징되는 봉건과 농촌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살핀다. 전통, 구질서, 봉건, 농촌 등은 모더니스트들의 눈에 부정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실제 그들의 작품 속에는 과거를 비판하면서도 그에 대한 향수를 배면에 깔고 있다. 특히 농촌 출신으로 과도기 도시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 인물들은 대개 근대의 삶을 인정하면서도 봉건과 농촌과 과거에 대해 향수어린 눈길을 보낸다. 이런 인물들에서는 혼돈과 소외가 나타나게 된다. 이효석과 박태원, 그리고 이태준의 소설이나, 스즈춘의 「봄햇살」, 「안개」, 「갈매기」 등이 대표적이다. 2. 주체-근대적 주체의 분열: 이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세 가지 측면에서 그 특징을 살필 것이다. 첫째, 소외와 탈출-자본주의의 발달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물질의 관계를 사물화시킨다. 모더니즘 계열의 소설에서는 소외를 부정적으로만 평가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소외 자체에 대한 유희적 태도가 나타난다. 이는 주로 가족의 해체를 보여주거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