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학술지의 논문 검색
총설 : 진핵 미생물에서의 COP9 signalosome의 역할
천영미 ( Yeong Mi Cheon ) , 이수진 ( Soo Jin Lee ) 한국균학회 2013 p.1-8
닭의난초(Epipactis thunbergii)에 공생하는 난 균근균의 분리 및 동정
한한결 ( Han Kyeol Han ) , 정재민 ( Jae Min Chung ),조용찬 ( Yong Chan Cho ),김대신 ( Dae Shin Kim ),엄안흠 ( Ahn Heum Eom ) 한국균학회 2013 p.9-13
AFLP 분석 및 체세포 불화합성에 의한 느타리 유사품종의 확인
서경인 ( Kyoung In Seo ) , 유영복 ( Young Bok Yoo ),장갑열 ( Kab Yeul Jang ),신평균 ( Pyung Gyun Shin ),오연이 ( Youn Lee Oh ),김광호 ( Kwang Ho Kim ),공원식 ( Won Sik Kong ) 한국균학회 2013 p.14-20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톱밥의 첨가량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재배적 특성
이찬중 ( Chan Jung Lee ) , 전창성 ( Chang Sung Jhune ),정종천 ( Jong Chun Cheong ),문지원 ( Ji Won Moon ),공원식 ( Won Sik Kong ),서장선 ( Jang Sun Suh ),박기춘 ( Gi Chun Park ),신유수 ( Yu Su Shin ) 한국균학회 2013 p.21-27
박원철 ( Won Chull Bak ) , 박영애 ( Young Ae Park ),이봉훈 ( Bong Hun Lee ),가강현 ( Kang Hyeon Ka ),박지헌 ( Ji Heon Park ) 한국균학회 2013 p.28-32
장인택 ( In Taek Jang ) , 김영헌 ( Young Hun Kim ),나광출 ( Kwang Chul Na ),이종수 ( Jong Soo Lee ) 한국균학회 2013 p.33-37
Botrytis cinerea에 의한 무화과 잿빛곰팡이병
정성수 ( Seong Soo Cheong ) , 최인영 ( In Young Choi ),이왕휴 ( Wang Hyu Lee ) 한국균학회 2013 p.38-41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방제 길항세균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의 대량배양 조건
이동국 ( Dong Guk Lee ) , 이은숙 ( Eun Sook Lee ),김정석 ( Jeong Seok Kim ),백철기 ( Cheol Ki Baek ),박매솔 ( Mae Sol Park ),박은희 ( Eun Hee Park ),이석희 ( Suk Hee Lee ),정창국 ( Chang Kook Chung ) 한국균학회 2013 p.42-46
단보 : 대전 계족산과 충남 오서산 및 전북 백암산 주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동정
민진홍 ( Jin Hong Min ) , 유진주 ( Jin Ju Ryu ),김하근 ( Ha Kun Kim ),이종수 ( Jong Soo Lee ) 한국균학회 2013 p.47-51
단보 : PCR 기법을 이용한 Phoma glomerate 의 특이검출
윤여홍 ( Yeo Hong Yun ) , 서동연 ( Dong Yeon Suh ),김현주 ( Hyun Ju Kim ),김성환 ( Seong Hwan Kim ) 한국균학회 2013 p.52-55
SJR(SCImago Journal Rank)는 스페인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ntificas의 Felix de Moya 교수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모든 인용은 동등하지 않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둔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입니다.
구글의 Page Rank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아 전체 인용 네트워크에서 노드에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명성이 높은 저널에서의 인용은 고득점으로 평가되어 같은 인용이라도 보다 높게 평가 됩니다. 또한 저널의 주제분야, 질과 명성이 모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평가 지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Scopus 데이터의 인용정보를 활용하여 산출되며, Scopus에 등재되지 않은 OA 저널평가에도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