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품을 활용한 공포영화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 〈곤지암〉 소품의 공포감 창출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44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화 소품과 공포감 형성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개봉 당시 비인기 공포 장르임에도 흥행수익 1위를 차지한 〈곤지암〉의 소품이 창출하는 공포감 형성 분석을 통...

      본 연구는 영화 소품과 공포감 형성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개봉 당시 비인기 공포 장르임에도 흥행수익 1위를 차지한 〈곤지암〉의 소품이 창출하는 공포감 형성 분석을 통해 이를 활용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고어 영화에서 발견되는 피, 고름, 등의 소품들에 비해 〈곤지암〉은 탁구공, 인형, 실험도구, 가발, 손전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발견되는 친숙한 사물을 활용해 낯선 두려움, 아쿠스마틱 음향, ‘비체화’, Z축 형성에 이바지하며 공포감을 창출한다. 소품의 특성상 미술을 구성하는 가구, 벽, 과는 다르게 특정 대상의 소유물인 경우가 많은데 사람의 소유물인 경우 캐릭터의 본질과 공간의 의미를 설명하는 도구로 적극 활용되며 스토리텔링에 기여하고 있지만 공포영화 소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더불어 소품인 인형을 스토리텔링 한 〈애나벨: 인형의 주인〉은 전편과 속편으로 지평을 확산하며 3억 달러 이상의 수입을 거두고 있지만 이에 비해 인형을 스토리텔링에 활용한 국내 영상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는 요원하다. 소품의 활용을 통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분석하는 본 논문이 공포영화 스토리텔링 기법과 다양한 공포 장르 콘텐츠 양산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lm props and fear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various storytelling techniques and that utilize this analysis through the formation of fear using the props. Horror...

      This study began with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lm props and fear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various storytelling techniques and that utilize this analysis through the formation of fear using the props. Horror film 〈Gonjiam〉 was occupied the first place at the time of opening. even though it was unpopular genre in the box office. Compared to the blood, pus, and other items found in Gore Film, 〈Gonjiam〉 uses familiar objects found in everyday life such as table tennis balls, dolls, experimental tools, wigs, and lanterns. Futhermore these props creat fear through the formation of Acousmatic, Abjection, Unheimlich, Z-axis. Unlike furniture, wall, that make up art, props are possession of certain objects. In the case of possession of a person, props actively utilize it as a tool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character and the meaning of space. Despite this importance, research on horror movie props is not active yet. 〈Annabel: Creation〉, spreading its horizons with sequel and prequel, has been earning more than $ 300 million in worldwide. Despite the importance of storytelling using props, the production of domestic contents using dolls is not active. I hope that this study that analyse storytelling techniques using props will contribute to horror movie storytelling techniques and produce various horror genre cont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I. 서론
      • Ⅱ. 관문통과 서사 공간으로서 미술과 소품의 Unheimlich(낯선 두려움)가 창출하는 공포
      • Ⅲ. 소품의 아쿠스마틱(Acousmatic) 음향이 창출하는 공포
      • Abstract
      • 국문초록
      • I. 서론
      • Ⅱ. 관문통과 서사 공간으로서 미술과 소품의 Unheimlich(낯선 두려움)가 창출하는 공포
      • Ⅲ. 소품의 아쿠스마틱(Acousmatic) 음향이 창출하는 공포
      • IV. 비체화된 소품이 창출하는 공포.
      • V. Z축 형성에 기여하는 소품이 창출하는 공포.
      • Ⅵ. 결론 및 제언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락용, "한국 전통 인형극에 등장하는 이물(異物) 연구: 영물(靈物)과 괴물(怪物)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50) : 125-198, 2015

      2 윤봉식, "인간의 감성기호 체계화를 위한 감정영역범주화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5 (5): 137-145, 2005

      3 박건용, "영화 스토리텔링의 공포감 창출에 관한 복합연구 - <컨저링> Z축과 조명의 기여를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0 : 93-106, 2017

      4 최정운, "실내 소품의 분류와 주거공간에서의 적용 경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05-113, 2004

      5 안의진, "관객은 허구에 불과한 공포영화의 괴물을 왜 무서워하는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6) : 41-70, 2013

      6 Bazin, A, "What is Cine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

      7 Balazs, B, "Theory of the Film" Dennis Dobson LTD 1952

      8 Chion, M., "The voice of the movie" BF Agency 1993

      9 Lefebvre, H., "The Production of Space" Blackwell 1991

      10 Creed, B, "The Monstrous Feminine" yui-yeon Culture Publishing Co 2017

      1 최락용, "한국 전통 인형극에 등장하는 이물(異物) 연구: 영물(靈物)과 괴물(怪物)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50) : 125-198, 2015

      2 윤봉식, "인간의 감성기호 체계화를 위한 감정영역범주화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5 (5): 137-145, 2005

      3 박건용, "영화 스토리텔링의 공포감 창출에 관한 복합연구 - <컨저링> Z축과 조명의 기여를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0 : 93-106, 2017

      4 최정운, "실내 소품의 분류와 주거공간에서의 적용 경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05-113, 2004

      5 안의진, "관객은 허구에 불과한 공포영화의 괴물을 왜 무서워하는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6) : 41-70, 2013

      6 Bazin, A, "What is Cine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

      7 Balazs, B, "Theory of the Film" Dennis Dobson LTD 1952

      8 Chion, M., "The voice of the movie" BF Agency 1993

      9 Lefebvre, H., "The Production of Space" Blackwell 1991

      10 Creed, B, "The Monstrous Feminine" yui-yeon Culture Publishing Co 2017

      11 Tuan, Yi-F, "Space and Place" Dae-youn Publishing Co 2007

      12 Affron, C, "Sets in Motion" Rutgers University Press 1995

      13 Ellis, S., "Scenario Writing:Concept, Character, Dialogue, Action" Darun Publishing Co 2016

      14 Tashiro, C.S., "Pretty Pictur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8

      15 Stam, R., "New Vocabularies of Film Semiotics" Vision and language Publishing Co 2003

      16 Millerson, G, "Lighting for Television & Film" Focal Press 1991

      17 Gu, Yoen-Sang, "Horror, Fear and Anxiety" Cheonggye Publishing Co 2002

      18 Barlow, J.D., "German Expressionist Film" Twayne Publishers 1982

      19 Chaudhuri, S., "Feminist film theory" Taylor &Francis Group 2006

      20 Barsaq ,L., "Caligari’s Cabinet and Other Grand Illusions, A History of Film Design" 1976

      21 Park, Sun-ah, "A Study on korea horror film after 2000s shown from the viewpoint of ‘abjection’ theory : focusing on women representation"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