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7000년 역사의 20대의 젊은 나라, 이집트 - 이집트는 놓칠 수 없는 대마(大馬) - = Egypt: Too Big to Mi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13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헨리키신저는 “이집트 없이 전쟁없고 시리아 없이 평화없다”라는 말을 남긴 적이 있는데 그만큼 이집트의 지정학적, 군사안보적 중요성은 크다. ‘7000년 역사의 20대 젊은 나라’ 이집트...

      헨리키신저는 “이집트 없이 전쟁없고 시리아 없이 평화없다”라는 말을 남긴 적이 있는데 그만큼 이집트의 지정학적, 군사안보적 중요성은 크다.
      ‘7000년 역사의 20대 젊은 나라’ 이집트는 ▲1억2천만 명의 아랍 최대의 인구대국, ▲중동·아프리카 평화와 안정의 린치핀, ▲세계 핵심 물류 조임목(choke-point)인 수에즈 운하 보유국, ▲아랍문화·정신세계의 허브로서 아랍연맹(22개국)의 좌장국인 바, 우리 정부의 경제안보, 글로벌중추국가 외교 실현 측면에서도 반드시 함께 해야 할 소중한 우방국이다.
      아랍사람들은 싸움이 났을 때 ‘와스타(아랍어: 중재자)’를 먼저 찾는데 그 와스타 역할을 하는 사람을 헤게모니 보유자로 생각하는 문화가 있다. 현재 이집트는 한동안 사우디, UAE, 카타르 등 걸프산유국에게 주도권을 빼앗겼던 ‘와스타’ 역할을 되찾아 오고자 이·팔분쟁, 리비아내전, 시리아의 아랍연맹 복귀 및 최근의 수단 내 군부충돌 등 주변국 분쟁에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자임해 오고 있다.
      중동정세 및 질서 재편에 관한 충격파는 지중해에서 형성되고, 홍해(이집트, 수단, 밥엘 만데브 해협 등)를 거쳐 걸프로 파급된다는 말이 있는데, 홍해 일대는 신중동질서 재편 움직임과 맞물려 르네상스댐 분쟁, 수단내전, 아덴만,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의 각축전 등 4개의 발화점(flash-points)을 가진 곳이므로 향후 이곳에 우리의 관심 및 외교자원을 보다 전략적으로 투여할 필요가 있다.
      금년은 카이로선언(1943) 80주년, 한국기업의 중동진출 50주년(1973∼2023)이 되는 해로 걸프를 넘는 ‘신중동정책’을 윤석렬 정부의 외교브랜드로 채택, 발전시켜 나가는 것도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본다.
      대중동외교는 ‘체스보다는 바둑’이다. 1개의 왕만 잡으면 이기는 체스보다는 중동국가들을 구석구석 찾아 다니며 ‘집’을 하나라도 더 만들어야 이기는 바둑 정신이 더 유용하다. 홍해 건너 이집트는 놓쳐서는 안 될 대마(大馬)임이 분명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nry Kissinger once said, “You cannot make war in the Middle East without Egypt and you cannot make peace without Syria”. This statement reflects the geopolitical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Egypt in the Middle East and beyond. Egypt, dubbed as...

      Henry Kissinger once said, “You cannot make war in the Middle East without Egypt and you cannot make peace without Syria”. This statement reflects the geopolitical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Egypt in the Middle East and beyond.
      Egypt, dubbed as “A young nation in her 20s with a history of 7,000 years”, is the largest Arab country with a population of 120 million. It serves as a linchpin for peace and stability in the Middle East and Africa as well as owning the Suez Canal which could be regarded as the strategic choke-point of world economy and logistics. In addition, Egypt is the cultural hub of the Arab world, hosting the Secretariat office of the Arab League (comprising 22 countries) in Cairo. Considering all this makes Egypt a valuable partner of Korea in its pursuit for the diplomatic strategy of the Global Pivotal State(GPS).
      Arab people have a tendency to seek a Wasta (Arabic: mediator) when conflicts arise. Their culture considers the person playing the role of a mediator as a holder of hegemony. Currently, Egypt is actively assuming the role of a mediator in the regional conflicts, aiming to regain the Wasta position that was taken away by oil-producing Gulf countries such as Saudi Arabia, UAE, and Qatar for some time. Egypt has been also actively engaging in mediating roles in various conflicts such as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the Libyan Civil War, the return of Syria to the Arab League, and recent military clashes in Sudan.
      There is a saying that shock waves regarding the Middle East situation and the reshuffle of its order are formed in the Mediterranean and ripple through the Red Sea (including Egypt, Sudan, Bab el-Mandeb Strait) towards the Gulf. There could be four flashpoints which may trigger a broader conflicts among the nations, especially in the Red Sea region. The four flashpoints are: ▲the Renaissance Dam(GERD) dispute, ▲the Armed collision in Sudan, ▲the Strait of Bab El-Mandeb ▲the Horn of Africa.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for us to pay closer attention and allocate our diplomatic resources to this region from now on.
      This year marks the 80th anniversary of the Cairo Declaration (1943) and the 50th anniversary of Korean companies’ starting business in the Middle East (1973-2023). It is very right time to consider and adopt a sort of “New Middle East Policy” that extends beyond the Gulf as a diplomatic brand of the new Administration of Korea.
      Diplomacy in the Middle East fits a game of GO (“Baduk”) than CHESS. It is more insightful to apply the concept of Go-game to create houses as many as possible in every corner of the Middle Eastern region, while the winner of CHESS is decided by capturing only one king. All in all, Egypt is a crucial player, so-called “too-big-to-fail” that cannot be overlooked by the Korean diplomacy, especially in the Middle East reg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