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UN의 한국문제 기여와 북한 위기상황 시 UN의 참여 = UN`s Contribution to the Korean Question and Its Participation in Crisis Situations of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416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its beginning as a country with sovereignty since the independence from Japan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UN, South Korea has been involved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UN.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discuss UN`s con-tribution to the Korean Question in the past and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uni-fication during the course of its preparation. This is because UN`s role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Korean Question are still valid and necessary to promote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imed at‘One Korea’. In general, efforts to prepare for ‘contingency’in North Korea and lead such changes to unification are es-pecially important but it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the current Armistice Agreement`s effect during the crisis situations of North Korea and the replacement by a new peace agreement. Since the Korean Question is not only domestic but also in-ternational matters, it should be noted that we need to expect UN`s participation in the crisis situations of North Korea while preparing for fully secured territorial su-premacy and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ours.
      번역하기

      From its beginning as a country with sovereignty since the independence from Japan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UN, South Korea has been involved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UN.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discuss UN`s con-tribution to ...

      From its beginning as a country with sovereignty since the independence from Japan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UN, South Korea has been involved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UN.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discuss UN`s con-tribution to the Korean Question in the past and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uni-fication during the course of its preparation. This is because UN`s role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Korean Question are still valid and necessary to promote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imed at‘One Korea’. In general, efforts to prepare for ‘contingency’in North Korea and lead such changes to unification are es-pecially important but it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the current Armistice Agreement`s effect during the crisis situations of North Korea and the replacement by a new peace agreement. Since the Korean Question is not only domestic but also in-ternational matters, it should be noted that we need to expect UN`s participation in the crisis situations of North Korea while preparing for fully secured territorial su-premacy and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ou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성호, "헌법상 통일관련 조항의 주요 쟁점과 개정문제―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원 11 (11): 175-210, 2004

      2 최철영, "한반도 프로세서를 통한 한국정전협정의 평화기본협정 전환" 대한국제법학회・한국국제정치학회 2013

      3 정대진, "한반도 유사시 북한 지역 개입문제 - 판단기준과 국제법적 쟁점 -" 대한국제법학회 59 (59): 195-216, 2014

      4 제성호, "한반도 안보와 국제법" 한국국방연구원 2010

      5 김명기, "한반도 급변사태와 국제법" 민족통일연구원 1997

      6 이한기, "한국통일문제와 UN의 권능" 박영사 1976

      7 김학준, "한국정전협정의 성립과정" 국토통일원 6 (6): 1986

      8 유하영, "한국정전협정과 남북합의서상 남북한의 법적 지위" 대한국제법학회・한국국제정치학회 2013

      9 임덕규, "한국전쟁의 법적 성격-새로운 전쟁개념에 입각하여-" 33 (33): 1988

      10 이상면, "한국전쟁과 휴전의 당사자 문제" 대한국제법학회 52 (52): 233-257, 2007

      1 제성호, "헌법상 통일관련 조항의 주요 쟁점과 개정문제―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원 11 (11): 175-210, 2004

      2 최철영, "한반도 프로세서를 통한 한국정전협정의 평화기본협정 전환" 대한국제법학회・한국국제정치학회 2013

      3 정대진, "한반도 유사시 북한 지역 개입문제 - 판단기준과 국제법적 쟁점 -" 대한국제법학회 59 (59): 195-216, 2014

      4 제성호, "한반도 안보와 국제법" 한국국방연구원 2010

      5 김명기, "한반도 급변사태와 국제법" 민족통일연구원 1997

      6 이한기, "한국통일문제와 UN의 권능" 박영사 1976

      7 김학준, "한국정전협정의 성립과정" 국토통일원 6 (6): 1986

      8 유하영, "한국정전협정과 남북합의서상 남북한의 법적 지위" 대한국제법학회・한국국제정치학회 2013

      9 임덕규, "한국전쟁의 법적 성격-새로운 전쟁개념에 입각하여-" 33 (33): 1988

      10 이상면, "한국전쟁과 휴전의 당사자 문제" 대한국제법학회 52 (52): 233-257, 2007

      11 정인섭, "한국문제를 통한 UN법의 발전" 서울국제법연구원 22 (22): 81-113, 2015

      12 김명섭, "한국군은 6.25전쟁 정전협정의 당사자인가?"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6 (56): 105-128, 2013

      13 노동영, "한국 휴전협정 및 평화협정의 당사자문제" 법학연구소 26 (26): 1-26, 2015

      14 안병억, "지역 패권국가와 지역주의: ‘독일문제’ 및 ‘중국문제’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89-109, 2013

      15 신용호, "주한유엔군의 법적 성격" 24 (24): 1999

      16 박광득, "정전협정(1953)의 주요내용과 쟁점분석"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97-133, 2014

      17 백진현, "정전체제의 평화체제 전환문제" 41 (41): 2000

      18 신범철, "우리나라 주도의 개입 논리와 대량탈북사태 관련 국제법적 검토" 서울국제법연구원 18 (18): 1-30, 2011

      19 신범철, "안보적 관점에서 본 북한 급변사태의 법적 문제" 서울국제법연구원 15 (15): 73-100, 2008

      20 김명기, "분단한국의 정치문제의 법적 당사자" 33 (33): 1988

      21 이근관, "북한위기상황 시 주변국의 개입가능성과 그 국제법적 논리에 대한 검토" 서울국제법연구원 18 (18): 31-63, 2011

      22 홍성필, "북한급변시 개입의 국제법적 정당성 연구 ―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 서울국제법연구원 19 (19): 249-269, 2012

      23 김열수, "북한 급변사태시 중국의 군사개입: 목적․양상․형태를 중심으로" 신아시아연구소 19 (19): 207-231, 2012

      24 제성호, "북한 급변사태 시 한국의 국제법적 대응" 중앙법학회 15 (15): 159-202, 2013

      25 김병기, "북한 급변사태 시 대한민국의 관할권 주장을 위한 법 정책적 대응방안과 법적 근거" 중앙법학회 12 (12): 199-241, 2010

      26 박휘락, "북한 ‘급변사태’ 논의의 현실성 분석과 과제: 부작용의 인식과 최소화" 통일연구원 23 (23): 41-66, 2014

      27 김정균, "남북한 간의 협정형태에 관한 연구" 30 (30): 1985

      28 김명기, "국제법상 남북한의 법적 지위" 화학사 1980

      29 이한기, "국제법강의" 박영사 1997

      30 유병화, "국제법Ⅱ" 법문사 2000

      31 국방부, "국방백서" 2014

      32 김부찬, "‘북한문제’의 해결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역할 - 인권문제를 중심으로 -" 법과정책연구원 21 (21): 49-89, 2015

      33 "http://www.un.org/en/sections/documents/general-assembly-resolutions/index.html"

      34 "http://www.un.org/en/sc/documents/resolutions/"

      35 Harold Hongju Koh, "Why Do Nations Obey International Law?" 106 : 1997

      36 Rosalyn Higgins, "United Nations Peacekeeping: documents and commentary 1946-1967, v. 2" Oxford Univ. Press 1969

      37 James Crawford,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s Articles on State Responsi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8 Joseph S. Nye, Jr, "The Case for Deep Engagement" 74 (74): 1995

      39 Ian Brownlie, "Princip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0 Bruce W. Bennet,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Land 2013

      41 Byoung Hwa Lyou, "Peace and Unification in Korea and International law" School of Laws University of Maryland 1986

      42 Choung-Il Chee, "Legal Problems Involving the Dissolution of the U.N. Command in Korea and the Korean Amistice Agreement" 21 (21): 1976

      43 Julius Stone, "Legal Controls of International Conflict" Rinehart & Company 1959

      44 J. G. Starke,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Butterworths 1984

      45 Ian Brownlie, "International Law and the Use of Force by States" Clarendon 1963

      46 Wolff Heintschel von Heinegg, "Factors in War to Peace Transition" 27 : 2004

      47 Michael Akehurst, "A Moder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Allen and Unwin 1987

      48 Georg Schwarzenberger, "A Manual of International Law" Stevens 1967

      49 이장희, "21세기를 대비한 한국의 당면과제: 개혁, 환경 그리고 통일" 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82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