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0년대 일본인의 조선사정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 Japanese's Publication of Guidebooks to Joseon circumstances and its Recognition on Joseon in the 191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0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Japan to publish guidebooks about situations in Joseon during the 1900’s is to resolve food shortag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population by encouraging Japanese’ immigration into Joseon and also justify its invasion into Joseon...

      The purpose of Japan to publish guidebooks about situations in Joseon during the 1900’s is to resolve food shortag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population by encouraging Japanese’ immigration into Joseon and also justify its invasion into Joseon. And guidebooks for a voyage to Joseon published in this period recommended Japanese to sail to Joseon, ‘a treasure house’, and included the success stories of those with only limited capital. And guidebooks about situations in Joseon were written by journalists, and they described Joseon people as barbarians with the dichotomy of ‘civilization’ and ‘savageness’. Guidebooks about the colonial management of Joseon were about intention to realize economic assimilation through trade and commerce or migrational colonization and then promote ‘Naeseondonghwa (Joseon’s assimilation into Japan)’. And geography books were written to conquer Joseon after the victory in Russo-Japanese Wars and then attempt to advance into the continent to prepare for annexation.
      The reason why Japan published guidebooks for immigration into Joseon in the 1910’s was to include the territory of Joseon into theirs and then take them as reference material for their ruling. It is noticeable that in this period, the guidebooks were published by the officials from the government general, Japanese bureaucrats, Joseon inspection teams, Japanese military authorities, or journalists residing in Joseon. They focused on how to assimilate Joseon people and what businesses they were going to be engaged in. The officials of the government general investigated Joseon using recent statistical data while they were holding the post. Bureaucrats dispatched from Japan were supposed to observe the actual situations in Joseon and figure out problems in order to reflect them to their policy-making. The inspection teams from the Niigata, Hiroshima, and Shiga prefectures di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conomic advancement. The guidebooks written by military authorities contain information needed by soldiers and their families for their work and living in Joseon. Journalists residing in Joseon introduced Joseon’s history and ethnicity, economic situations, promising businesses, or attitudes needed to Japanese immigra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는 조선을 병합시키기 전에 동화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 조선 사회에 대한 실태파악을 위해 구관제도를 조사하였다. 총독부는 병합 이후에도 계속해서 통치 자료로 ...

      일제는 조선을 병합시키기 전에 동화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 조선 사회에 대한 실태파악을 위해 구관제도를 조사하였다. 총독부는 병합 이후에도 계속해서 통치 자료로 삼기 위해 사회, 제도, 풍속, 산업, 의식주 등의 조사와 연구를 진행시켰다. 이 글에서는 이를 뒷받침한 총독부 관리와 민간단체의 조선시찰 및 안내서 간행을 살펴보았다.
      일본인들이 이러한 조선사정 안내서를 간행한 이유는 ① 식민지 조선의 실정을 파악할 자료의 부족, ② 조선통치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한 동화문제의 해결, ③ 일본의 과잉인구ㆍ부족한 식량문제의 해결과 일본인 이주대책, ④ 일본제국의 경제발전 도모, ⑤ 만주지역의 상권 확장과 대륙침략을 준비하기 위해서였다.
      이 시기의 안내서는 총독부 관리, 일본 관료, 조선시찰단, 조선주차군, 재조언론인들이 간행한 것이 중요하다. 이들이 주목한 것은 조선인을 어떻게 동화시키고 어떤 사업을 경영할 것인가에 있었다. 총독부 관리는 현직에 있는 유리한 지위를 이용하면서 최근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조선사정을 조사하였다. 일본에서 파견된 관료들은 조선의 실상을 직접 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의도였다. 니가타현, 시가현, 히로시마현의 조선시찰단은 조선에 대한 상권 확장과 경제적 진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였다. 특히 청진과 원산, 성진을 주목하였다. 조선주차군의 안내서는 군인과 군속, 가족들이 부임해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생활정보와 조선역사, 전쟁수행을 위한 防寒대책이 들어있다. 재조언론인은 이미 조선에서 활동하여 조선사정에 정통한 인물이었다. 이주해 올 일본인에게 필요한 조선의 역사와 민족성, 경제상황, 유망한 사업, 이주자의 각오 등을 소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혜주, "한말 일제하 釋尾旭邦의 내한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5 : 5-56, 2005

      2 이마무라 도모, "조선풍속집" 민속원 2011

      3 최혜주, "일제강점기 조선연구회의 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2 : 468-513, 2005

      4 최혜주,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의 지방사 편찬활동과 조선인식" 한국사학회 (103) : 161-207, 2011

      5 최혜주, "일제강점기 靑柳綱太郞의 조선사 연구와 ‘內鮮一家’論"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9) : 91-136, 2006

      6 최혜주, "일본 殖民協會의 식민 활동과 해외이주론" 숭실사학회 (30) : 173-213, 2013

      7 최혜주, "일본 東邦協會의 조선사정 조사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3) : 281-330, 2012

      8 최혜주, "일본 東洋協會의 식민 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1) : 95-138, 2007

      9 최혜주, "일본 東京地學協會의 조사활동과 조선인식" 한국사연구회 (151) : 231-269, 2010

      10 최혜주, "아오야기(靑柳綱太郞)의 내한활동과 식민통치론" 94 : 2000

      1 최혜주, "한말 일제하 釋尾旭邦의 내한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5 : 5-56, 2005

      2 이마무라 도모, "조선풍속집" 민속원 2011

      3 최혜주, "일제강점기 조선연구회의 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2 : 468-513, 2005

      4 최혜주,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의 지방사 편찬활동과 조선인식" 한국사학회 (103) : 161-207, 2011

      5 최혜주, "일제강점기 靑柳綱太郞의 조선사 연구와 ‘內鮮一家’論"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9) : 91-136, 2006

      6 최혜주, "일본 殖民協會의 식민 활동과 해외이주론" 숭실사학회 (30) : 173-213, 2013

      7 최혜주, "일본 東邦協會의 조선사정 조사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3) : 281-330, 2012

      8 최혜주, "일본 東洋協會의 식민 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1) : 95-138, 2007

      9 최혜주, "일본 東京地學協會의 조사활동과 조선인식" 한국사연구회 (151) : 231-269, 2010

      10 최혜주, "아오야기(靑柳綱太郞)의 내한활동과 식민통치론" 94 : 2000

      11 정연태, "대한제국 후기 일제의 농업식민론과 이주식민정책" 14 : 1993

      12 함동주, "근현대 일본의 한국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13 木村健二, "근대교류사와 상호인식" 아연출판부 2002

      14 최혜주, "개항 이후 일본인의 조선사정 조사와 안내서 간행"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3) : 5-50, 2012

      15 황민호, "개항 이후 근대여행의 시작과 여행자" 22 : 2009

      16 鶴園裕, "調査の時代-明治期日本人における朝鮮硏究の一點描" 7 : 1985

      17 木村健二, "在朝日本人の社會史" 未來社 1989

      18 이규수, "20세기 초 일본인 농업이민의 한국이주" 대동문화연구원 43 : 27-66, 2003

      19 김태웅, "1910년대 전반 조선총독부의 취조국ㆍ참사관실과‘舊慣制度調査事業’" 16 : 1994

      20 최혜주, "1900년대 일본인의 조선이주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5) : 43-92, 2013

      21 권숙인, "'도한(渡韓)의 권유' - 1900년대 초두 한국이민론 속의 한국과 일본" 한국사회사학회 69 (69): 183-212,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