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학 윤리 교육: 현황과 쟁점, 그리고 전략 =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ssue and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24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ir increased impacts on our society, we witness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ngine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ir professional ethics.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EC2000 and ABET into engineering educ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reinforce the systemization of ethics instruction. However, we could not attain the educational goal of integr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ethics by general declaration of its importance. We need to deal with the vital questions how to institutionalize and implement engineering ethics in engineering curriculum. This article focuses on three aspects. First, it mainly outlines the developments and the trait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American universities. Second, by classifying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nto several patterns, we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according to those patterns. Third, it is helpful to explore the way how we could apply these patterns to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It is expected to combine the stand-alone engineering ethics lectures with ethics-across-the-curriculum considering each university’s circumstances and resources. Still, many challenges remain, most notably the need for engineering faculty and non-engineering faculty to cooperate and accept for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번역하기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ir increased impacts on our society, we witness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ngine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ir professional ethics.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EC...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ir increased impacts on our society, we witness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ngine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ir professional ethics.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EC2000 and ABET into engineering educ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reinforce the systemization of ethics instruction. However, we could not attain the educational goal of integr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ethics by general declaration of its importance. We need to deal with the vital questions how to institutionalize and implement engineering ethics in engineering curriculum. This article focuses on three aspects. First, it mainly outlines the developments and the trait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American universities. Second, by classifying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nto several patterns, we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according to those patterns. Third, it is helpful to explore the way how we could apply these patterns to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It is expected to combine the stand-alone engineering ethics lectures with ethics-across-the-curriculum considering each university’s circumstances and resources. Still, many challenges remain, most notably the need for engineering faculty and non-engineering faculty to cooperate and accept for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이 커짐에 따라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향상과 전문직 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학 분야에서는 특히, EC2000의 도입과 공학교육인증기준이 체계화와 더불어 공학윤리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공학과 윤리의 결합은 단순히 원칙적 선언에 의해 확보될 수 없으며 교육 시스템 안에서 어떻게 제도화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지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공학윤리교육 제도화의 전제 조건이 되는 인식의 전환과 공학의 일상적 경험에 근거한 윤리 교육이 필수적임을 주장하고 있다. 1980년대까지 확립된 공학윤리교육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면서 최근 발전하고 있는 공학윤리교육의 특성과 지향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공학윤리교육의 유형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 쟁점과 특성을 분석한다. 이제 막 발전하기 시작한 우리나라의 공학윤리교육은 각 대학의 주어진 여건과 상황을 고려하여 독립형 혹은 전공결합형 공학윤리 교육을 적절히 조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공학과 공학 이외 분야의 해당 전문가들 사이의 협력 연구와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이 커짐에 따라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향상과 전문직 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학 분야에서는 특히, EC2000의 도입과 공...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이 커짐에 따라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향상과 전문직 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학 분야에서는 특히, EC2000의 도입과 공학교육인증기준이 체계화와 더불어 공학윤리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공학과 윤리의 결합은 단순히 원칙적 선언에 의해 확보될 수 없으며 교육 시스템 안에서 어떻게 제도화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지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공학윤리교육 제도화의 전제 조건이 되는 인식의 전환과 공학의 일상적 경험에 근거한 윤리 교육이 필수적임을 주장하고 있다. 1980년대까지 확립된 공학윤리교육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면서 최근 발전하고 있는 공학윤리교육의 특성과 지향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공학윤리교육의 유형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 쟁점과 특성을 분석한다. 이제 막 발전하기 시작한 우리나라의 공학윤리교육은 각 대학의 주어진 여건과 상황을 고려하여 독립형 혹은 전공결합형 공학윤리 교육을 적절히 조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공학과 공학 이외 분야의 해당 전문가들 사이의 협력 연구와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희,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99-131, 2008

      2 송성수, "공학윤리의 흐름과 쟁점" 173-204, 2001

      3 Soudek, I. H., "Turning Belief into Action: Aims of Teaching Engineering Ethics" 1999

      4 Layton, E. T., "The Revolt of the Engineer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

      5 Ladd, J., "The Quest for a Code of Professional Ethics: An Intellectual and Moral Confusion in AAAS Professional Ethics Project: Professional ethics activities in the scientific and engineering societies" AAAS publication 1981

      6 Florman, S., "The Civilized Engineer" Martin's Griffin 1986

      7 Passino, K. M., "Teaching Professional and Ethical Aspects of Electrical Engineering to a Large Class" 41 (41): 273-281, 1998

      8 Davis, M., "Teaching Ethics Across the Engineering Curriculum" 1999

      9 Rabins, M. J., "Teaching Engineering Ethics to Undergraduates: Why? What? How?" 4 : 291-302, 1998

      10 Martin, M. W., "Ethics in Engineering" McGraw-Hill 1989

      1 한경희,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99-131, 2008

      2 송성수, "공학윤리의 흐름과 쟁점" 173-204, 2001

      3 Soudek, I. H., "Turning Belief into Action: Aims of Teaching Engineering Ethics" 1999

      4 Layton, E. T., "The Revolt of the Engineer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

      5 Ladd, J., "The Quest for a Code of Professional Ethics: An Intellectual and Moral Confusion in AAAS Professional Ethics Project: Professional ethics activities in the scientific and engineering societies" AAAS publication 1981

      6 Florman, S., "The Civilized Engineer" Martin's Griffin 1986

      7 Passino, K. M., "Teaching Professional and Ethical Aspects of Electrical Engineering to a Large Class" 41 (41): 273-281, 1998

      8 Davis, M., "Teaching Ethics Across the Engineering Curriculum" 1999

      9 Rabins, M. J., "Teaching Engineering Ethics to Undergraduates: Why? What? How?" 4 : 291-302, 1998

      10 Martin, M. W., "Ethics in Engineering" McGraw-Hill 1989

      11 Poel, I.,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31 (31): 223-236, 2006

      12 Lincourt, J., "Ethics Training: A Genuine Dilemma for Engineering Educators" 10 : 353-358, 2004

      13 Fleischmann, S. T., "Essential Ethics-Embedding Ethics into an Engineering Curriculum" 10 (10): 369-381, 2004

      14 McCormick, K., "Engineers in Japan and Britain: Education, Training and Employment" Routledge 2000

      15 Herkert, J. R.,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n the USA: contents, pedagogy and curriculum" 25 (25): 303-313, 2000

      16 Lynch, W. T.,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25 (25): 195-225, 2000

      17 Johnson, D. G.,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2004

      18 Harris, C. E., "Engineering Ethics, Concepts and Cases, 3rd ed." Wadsworth/Thomson Learning 2005

      19 Manion, M., "Engineering Ethics at Drexel University" 2000

      20 Unger, S. H., "Controlling Technology: Ethics and the Responsible Engineer" A Weley- Interscience Publication 1986

      21 Graber, G. C., "A Team-Taught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Engineering Ethics" 12 (12): 313-32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학교육기술학회 -> 한국공학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 Technology Transfer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8 1.33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