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IE SCOPUS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에서 수술 전 혈청 CA-125 농도에 의한 일차 종양축소수술의 결과 예측에 관한 연구 = The Ability of Preoperative Serum CA-125 Level to Predict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of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34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상피성 난소암에서 수술 전 혈청 CA-125가 일차 종양축소수술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최적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혈청 CA-125 농도의 cutoff point를 알아보고...

      목적 : 상피성 난소암에서 수술 전 혈청 CA-125가 일차 종양축소수술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최적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혈청 CA-125 농도의 cutoff point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이대목동병원에 내원하여 상피성 난소암으로 진단받고 일차 종양축소수술을 시행받은 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에 혈청 CA-125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ROC법을 이용하여 종양축소수술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CA-125의 농도를 결정 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의 혈청 CA-125농도의 중앙값은 890.9 U/mL이었으며, 수술 전 혈청 CA-125는 조직형, 세포분화도, 병기, 복수 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또한 수술 전 혈청 CA-125농도의 중앙값은 종양축소수술이 적절하게 시행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2584.8 U/mL vs. 524.8 U/mL, p<0.05). ROC법을 이용하여 수술 전 혈청 CA-125 농도가 1050 U/mL에서 종양축소수술의 결과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cutoff point임을 알 수 있었다(민감도 66.7%, 특이도 64.0%, 양성예측도 81.6%, 음성예측도 44.4%).
      결론 : 본 연구에서 수술 전 혈청 CA-125농도는 종양축소수술의 결과 예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나, 음성예측도가 낮아 수술 전 혈청 CA-125농도만을 이용하여 난소암 환자에서 복합 선행화학요법 대상자를 선정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난소암 환자에서는 수술 전 여러 임상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합선행화학요법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o evaluate the ability of preoperative serum CA-125 level to predict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i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85 consecutive patien...

      Objective : To evaluate the ability of preoperative serum CA-125 level to predict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i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85 consecutive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All patients had preoperative serum CA-125 levels measured. We used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ROC) to determine the CA-125 level with the maximal power in predicting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Results : The median CA-125 level was 890.9 U/mL for all patients. Preoperative CA-125 level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istology, tumor grade, stage, and the presence of ascites (p<0.05). Also, preoperative CA-125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suboptimal cytoreduction and those with optimal cytoreduction (2584.9 U/mL vs. 524.8 U/mL, p<0.05). Using the ROC, we found that preoperative CA-125 level of 1050 U/mL had the most powerful ability in predicting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but a poor negative predictive value (sensitivity 66.7%, specificity 64.0%, PPV 81.6%, NPV 44.4%).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was achieved in 81.6% (40/49) among patients with CA-125 <1050 U/mL, but 55.6% (20/36) among those with CA-125=1050 U/mL (p<0.05).
      Conclusion : We think that preoperative CA-125 level may be used for selection of candidates for neoadjuvant chemotherapy before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But preoperative CA-125 level was a weak negative predictor of primary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Thus, preoperative CA-125 level could not be a primary predictor of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an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other preoperative featur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