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정부 재정지원과 규제의 관점에서 본 미국 중등 사학 실태 분석 및 시사점 = Are Regulations a Precondition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 Analysis of Secondary Privat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17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미국 중등 사학의 제도적 변천과정 및 실태를 국가의 재정지원과 규제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중등 사학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

      이 연구는 미국 중등 사학의 제도적 변천과정 및 실태를 국가의 재정지원과 규제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중등 사학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문헌 및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미국 중등사학의 제도화 과정 및 현황, 정부의 재정지원 실태와 쟁점, 중등 사학에 대한 정부 규제의 근거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의 사학은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자신들의 교육 철학과 건학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점차 다양화되는 과정을 거쳐 미국 초·중등 학생의 11%를 교육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학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은 국가와 교회의 분리 원칙에 따라 금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립학교에 대한 직접 지원은 금기시된다. 다만, 사립학교에 다니는 학생을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학생에게 직접 혜택이 가도록 용도와 목적을 지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사학에 대한 정부의 규제는 연방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매우 제한적으로 행사된다. 그 결과 사립학교들은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고 교육내용과 방법 면에서 공학과의 차별성을 유지한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사학을 대상으로 한 재정정책 및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historical process and current conditions of secondary privat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contrasting viewpoint of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and regulations.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we reviewed ...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historical process and current conditions of secondary privat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contrasting viewpoint of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and regulations.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we reviewed documents and statistics to analyze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U.S. secondary private schools, the grounds for government regulations on private schools, and government funding realities and controversies. The analysis showed that U.S. private schools were established generally by religious bodies to realize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and ideas, and account for only 11% of entire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idea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government funding for private schools is prohibited in principle, so the direct financial support for private schools is forbidden. Instead, to protect and benefit students who attend private schools, the financial support is provided directly to the students with its purpose and objectives explicitly specified.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regulation on private schools is very limitedly exercised on the basis of the Federal Supreme Court’s precedents. As a result, private schools have enjoyed considerable freedom from government intervention and have maintain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Based on the findings, we draw some implications for the fiscal policy and improvement priorities targeting private secondary schools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윤, "초·중등 사학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0

      2 박찬주, "중등사학의 육성과제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20 : 1-227, 1999

      3 공은배, "중등사학 재정 분석 및 대책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4 공은배, "주요국의 중등사학 재정운용 실태 비교․분석 연구" 한국사립초중고등학교법인협의회 2009

      5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세계의 교육과 중등사학"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1998

      6 김병주, "사학운영 지배구조의 책무성 제고 방안" 112 : 63-80, 2005

      7 공은배, "사학기관 건전육성 대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8 Finn, C., "When private schools take public dollars: What’s the place of accountability in school voucher programs?" Thomas B. Fordham Institute 2009

      9 Muller, C.,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of increased public support for private schools" Stanford University and California Institute for Research on Educational Finance and Governance. (ED224156) 1982

      10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Non-Public Education, "State regulation of private schools"

      1 박재윤, "초·중등 사학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0

      2 박찬주, "중등사학의 육성과제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20 : 1-227, 1999

      3 공은배, "중등사학 재정 분석 및 대책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4 공은배, "주요국의 중등사학 재정운용 실태 비교․분석 연구" 한국사립초중고등학교법인협의회 2009

      5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세계의 교육과 중등사학"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1998

      6 김병주, "사학운영 지배구조의 책무성 제고 방안" 112 : 63-80, 2005

      7 공은배, "사학기관 건전육성 대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8 Finn, C., "When private schools take public dollars: What’s the place of accountability in school voucher programs?" Thomas B. Fordham Institute 2009

      9 Muller, C.,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of increased public support for private schools" Stanford University and California Institute for Research on Educational Finance and Governance. (ED224156) 1982

      10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Non-Public Education, "State regulation of private schools"

      11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Innovation and Improvement, Office of Non-Public Education, "State regulation of private school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Innovation and Improvement, Office of Non-Public Education 2009

      12 Leahy, C., "State Aid to Nonpublic Schools" 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 2012

      13 James, E., "Public policies toward private education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15 (15): 359-376, 1991

      14 Encarnation, D., "Public finance and regulation of nonpublic education:Retrospect and prospect" Stanford University and California Institute for Research on Educational Finance and Governance. (ED228700) 1982

      15 Alt, M., "Private school: A brief portrait"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2

      16 Kober, N., "Lessons from other countries about private school aid: Higher public funding for private schools usually means more government regulation" Center on Education Policy. (ED447589) 1998

      17 Johnson, J., "Introduction to the foundation of American education" Pearson 2005

      18 Baker, D., "How different, how similar?:Comparing key organizational qualities of American public and private secondary schools"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1996

      19 Spellings, M,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 Brief Overview"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5

      20 U.S. Department of Educatio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 Brief Overview"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5

      21 U. S. Department of Education, "Collection of Private School Finance Data: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1997

      22 U.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Characteristics of public, private, and bureau of Indian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2007.08 Schools and Staffing Survey"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7

      23 U. 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Characteristics of privat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2011-12 private school universe survey"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13

      24 Broughman, S., "Characteristics of privat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2007-08 private school universe survey" U.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9

      25 Stewart, D., "A comparative analysis of funding non-government schools in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13 (13): 29-41, 2001

      26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A brief profile of America's private schools" NCES 2003

      27 한국교육개발원, "2013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 유·초·중등교육 통계편" 한국교육개발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4-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2 1.3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