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홍기, "한국 가족 및 친족제도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6
2 이승환, "한국 ‘家族主義’의 의미와 기원, 그리고 변화가능성" 유교사상문화연구 20 (20) : 45 ~ 66 , 2004
3 김상봉, "학벌 사회" 한길사 , 2004
4 양백준, "춘추좌전주" 중화서국 , 2000
5 "주자어류(朱子語類)" 중화서국 , 1986
6 조지 레이코프, "정치를 말하다" 김영사 , 2010
7 이성규, "전국시대 통일론의 형성과 그 배경" 일조각 , 1984
8 박대재, "의식과 전쟁 - 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책세상 책세상 , 2003
9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상서정의(尙書正義)" 북경대출판사 , 1999
10 이척생, "순자집석" 학생서국 , 1979
1 최홍기, "한국 가족 및 친족제도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6
2 이승환, "한국 ‘家族主義’의 의미와 기원, 그리고 변화가능성" 유교사상문화연구 20 (20) : 45 ~ 66 , 2004
3 김상봉, "학벌 사회" 한길사 , 2004
4 양백준, "춘추좌전주" 중화서국 , 2000
5 "주자어류(朱子語類)" 중화서국 , 1986
6 조지 레이코프, "정치를 말하다" 김영사 , 2010
7 이성규, "전국시대 통일론의 형성과 그 배경" 일조각 , 1984
8 박대재, "의식과 전쟁 - 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책세상 책세상 , 2003
9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상서정의(尙書正義)" 북경대출판사 , 1999
10 이척생, "순자집석" 학생서국 , 1979
11 김도일, "순자(荀子)에서의 의(義), 리(理), 그리고 존(尊)" 동양철학 (35) : 203 ~ 231 , 2011
12 김정렬, "서주 지배체제의 성립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 2001
13 양백준, "맹자역주" 중화서국 , 2000
14 "대학"
15 손애리,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한국학연구 32 : 258 ~ 285 , 2010
16 김도일, "권세(權勢)로 누른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에서 부도덕한가? - 순자(荀子)의 관점에서" 철학논집 32 : 123 ~ 147 , 2013
17 박대재, "국가형성기의 복합사회와 초기국가" 선사와 고대 (38) : 227 ~ 282 , 2013
18 로타 본 팔켄하우젠,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세창출판사 , 2011
19 프리드리히 엥겔스,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아침 , 2012
20 오가타 이사무, "中國古代の「家」と國家-皇帝支配下の秩序構造" 岩波書店 , 1979
21 오가타 이사무, "中国古代的"家"与国家" 길림문사출판사 , 1992
22 손애리, "17세기 조선 관료지식층의 '국' 관념 연구 : '국 계열체'를 중심으로 한 역사사회학적 접근"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