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세기 호적상 ‘主戶’의 존재 양태와 戶의 모습에 대한 일고찰 = 1714년 대구 조암방 호적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8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of the household heads and the actual state of household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1714 Daegu Joambang Hojeok(family register) and the 1720 Daegu Joambang Yangan(government regist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of the household heads and the actual state of household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1714 Daegu Joambang Hojeok(family register) and the 1720 Daegu Joambang Yangan(government regist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households it looked into the principles to investigate households and the principles to compose a household.
      To begin with, the comparison of household heads in the Hojeok and the family heads in the Yangan found that 102 household heads in the Hojeok (54.8%) are also registered as family heads in the Yangan while the rest 84 household heads(45.2%) are not. When examined based on family heads in the Yangan, 102 family heads in the Yangan (63.4%) are registered as household heads in the Hojeok while the rest 59 heads (36.6%) are not. Although lots of household heads in the Hojeok are also registered as family heads in the Yangan, not a few heads are not. In addition, lots of family heads in the Yangan are not registered as household heads in the Hojeok.
      Among household heads in the 1714 Hojeok, 102 heads that are also registered as family heads in the 1720 Yangan had an overall good economic ability, and probably were family heads when creating the Hojeok. This sets up the proposition, ‘Household heads in the Hojeok are also family heads in the Yangan.’ The validity of the proposition can be proved through 59 family heads in the Yangan who are not identified as household heads in the Hojeok. The 84 household heads who are not registered as family heads in the Yangan had lower levels of status and economic abilities than the 102 household heads who are identified as family heads in the Yangan. Therefore, the 84 household heads are hardly considered as family heads. Instead, they are considered as the mere owner or tenant of a house. This modifies the proposition, 'Household heads in the Hojeok are also family heads in the Yangan' into the proposition, ‘Household heads in the Hojeok are also a family head or the owner or tenant of a house in the Yangan.’
      A household registered in the Hojeok is composed of a household head, the owner or tenant of a house, and his family or those who have dominance-subordination relationships with the household head. Therefore, as the owner or tenant of a house change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the house or selling or purchasing the house, the members of a household in the Hojeok can be removed or added. Actually, those who live separately are registered to belong to the same household while those who live together are registered to belong to different households. This is because the household in the Hojeok is composed based on the ownership or tenantship of a house. In this respect, a household in the Hojeok does not correspond to a household in reality. Nevertheless, it is not appropriate to consider a household in the Hojeok as the result of a complicated formation process in order to balance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This is because the removal or addition to a household in the Hojeok, which seem appropriate at fist sight, appears to be a natural result attributed to changes in ownership or tenantship of a house. Therefore, according to the nation's principles to investigate households, the household in the Hojeok is considered as a legal procedure to grasp the owner or tenant of a house in re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주호의 존재 양태
      • Ⅲ. 호의 모습
      • Ⅳ. 맺음말
      • 【Abstract】
      • Ⅰ. 머리말
      • Ⅱ. 주호의 존재 양태
      • Ⅲ. 호의 모습
      • Ⅳ. 맺음말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건태, "호적대장에 등재된 호구의 성격"

      2 김건태, "호적대장에 등재된 호구의 성격" 한국사연구회 2006

      3 韓榮國, "호구정책의 강화" 국사편찬위원회 34 : 1985

      4 "조선후기의 挾戶-언양호적의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14 : 1987

      5 "조선후기·호적 ‘호’의 새로운 이해와 그 전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2 : 2003

      6 張慶俊, "조선후기 호적대장의 승려등재 배경과 그 양상" 성균관대학교 大東文化硏究院 54 : 2006

      7 정진영, "조선후기 호적대장 ‘호(戶)’의 편제(編制) 양상- 제주 대정현 하모슬리 호적중초 (1843~1907)의 분석-" 한국역사연구회 45 : 245-257, 2002

      8 권내현,"조선후기 호적, "조선후기 호적, 호구의 성격과 새로운 전망" 한국사연구회 135 : 2006

      9 "조선후기 호적 ‘호’의 편제와 성격"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0 : 2002

      10 김건태, "조선후기 호의 구조와 호정운영 in: 단성호적대장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1 김건태, "호적대장에 등재된 호구의 성격"

      2 김건태, "호적대장에 등재된 호구의 성격" 한국사연구회 2006

      3 韓榮國, "호구정책의 강화" 국사편찬위원회 34 : 1985

      4 "조선후기의 挾戶-언양호적의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14 : 1987

      5 "조선후기·호적 ‘호’의 새로운 이해와 그 전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2 : 2003

      6 張慶俊, "조선후기 호적대장의 승려등재 배경과 그 양상" 성균관대학교 大東文化硏究院 54 : 2006

      7 정진영, "조선후기 호적대장 ‘호(戶)’의 편제(編制) 양상- 제주 대정현 하모슬리 호적중초 (1843~1907)의 분석-" 한국역사연구회 45 : 245-257, 2002

      8 권내현,"조선후기 호적, "조선후기 호적, 호구의 성격과 새로운 전망" 한국사연구회 135 : 2006

      9 "조선후기 호적 ‘호’의 편제와 성격"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0 : 2002

      10 김건태, "조선후기 호의 구조와 호정운영 in: 단성호적대장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11 林學成, "조선후기 한성부민의 호구문서에 보이는 ‘挾戶’의 성격" 조선사연구회 7 : 1998

      12 전형택, "조선후기 한 양반가의 호적자료를 통해 본 사노비의 존재형태-광주 전의이씨 문의공파 종가 소장 고문서의 사례 분석-" 조선시대사학회 15 : 130-137, 2000

      13 "조선후기 주호-협호관계 재론" 한국고문서학회 23 : 2003

      14 金仁杰, "조선후기 신분사 연구현황 in: 韓國中世社會 解體期의 諸問題,下" 한울아카데미 1987

      15 심재우,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호적대장 연구의 과제" 한국역사연구회 62 : 2006

      16 李榮薰, "조선후기 농민경영에서 主戶-挾戶關係"

      17 韓榮國, "조선후기 挾人?挾戶-언양현호적대장의 挾人口를 중심으로 in:천관우선생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정음사 1985

      18 장경준, "조선전기의 호구정책과 그 전개과정 n: 박물관연구논집" 부산박물관 2007

      19 임학성, "조선시대 사람들의 주거생활 in: 의식주, 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역사비평사 268-269, 2006

      20 김무진, "조선 전기 촌락사회의 구조와 농민" 한길사 8 : 97-, 1994

      21 "肅宗實錄,卷3, 1年 5月 辛未"

      22 "經國大典, 卷3 禮典 戶口式"

      23 "甲午式戶籍事目"

      24 李榮薰, "朝鮮時代의 主戶-挾戶關係 再論"

      25 李榮薰, "朝鮮後期 農民經營에서 主戶-挾戶關係 in: 朝鮮後期社會經濟史" 한길사 1988

      26 "朝鮮後期 身分構成의 變動과 農地所有-大邱府 租岩地域 量案과 戶籍의 分析-" 82 : 1993

      27 金容燮, "朝鮮後期 身分構成의 變動과 農地所有-大邱府 租岩地域 量案과 戶籍의 分析-"

      28 노영구, "朝鮮後期 戶籍大帳 硏究現況과 電算化의 一例"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9 : 2001

      29 정두희, "朝鮮後期 戶籍 硏究의 現況과 課題" 한국사연구회 101 : 1998

      30 金炫榮, "朝鮮後期 大丘月村의 鄕村社會構造 in: 朝鮮時代의 兩班과 鄕村社會" 集文堂 1999

      31 金錫禧, "朝鮮後期 地方社會史 硏究動向과 課題-戶籍大帳 연구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5 : 1990

      32 최윤오, "朝鮮後期 土地所有權의 발달과 地主制" 혜안 275-276, 2006

      33 "新補受敎輯錄, 戶典, ‘戶籍’"

      34 "戶籍謄關冊"

      35 李樹健, "慶北地方古文書集成" 영남대학교출판부 178-180, 1981

      36 "太祖實錄,卷2, 1年 9月 壬寅; 卷6, 3年 8月 己巳"

      37 "太宗實錄"

      38 "大典通編, 卷2 , 戶典, ‘戶籍’"

      39 "受敎輯錄,卷2, 戶典, ‘戶籍’"

      40 "世祖實錄"

      41 "世宗實錄"

      42 허원영, "19세기 후반 濟州 戶籍中草에 등재된 戶의 경제적 성격*- 濟州島 大靜縣 沙溪里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30 : 215-252, 2007

      43 정진영, "18세기 호적대장 ‘호(戶)’와 그 경제적 기반-1714년 대구 조암방(租岩坊) 호적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39 : 2001

      44 박용숙, "18·19세기의 雇工-경상도 언양현 호적의 분석" 부대사학회 1983

      45 정지영, "17?18세기 단성호적에 기재된 호의 성격" 경제사학회 39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