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황산과 암모니아를 이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전처리 공정에 따른 당화 및 발효공정 전략 = Bioconversion Strategy in Convers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upon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using Sulfuric Acid and Aqueous Ammon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0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업 부산물인 옥수수대(corn stover)를 이용하여 묽은 황산법(DSA; dilute sulfuric acid)과 암모니아 침지 법(SAA; soaking in aqueous ammonia) 그리고 암모니아 재순환 침출법(ARP; ammonia recycle percola...

      본 연구는 농업 부산물인 옥수수대(corn stover)를 이용하여 묽은 황산법(DSA; dilute sulfuric acid)과 암모니아 침지 법(SAA; soaking in aqueous ammonia) 그리고 암모니아 재순환 침출법(ARP; ammonia recycle percolation)을 비교하여 각 전처리법의 특징과 장단점을 분석하였고, 동시당화공동발효를 통한 에탄올 생산을 비교하였다. ARP, DSA, SAA를 이용하여 전처리된 고형물(3% 글루칸 투입)을 15 FPU/g-glucan, 30 CBU/g-glucan의 상업용 효소(Spezyme CP와 Novozyme 188;)와 E. coli KO11 균주(ATCC® 55124)를 이용하여 동시당화공동발효를 수행하였다. 전처리 후에 남은 고형물에 있는 당의 최대이론적 에탄올 수율은 각각 87, 90 그리고 78%였다. 이것은 전처리되지 않은 원래 옥수수대의 총 당량(글루칸 +자일란) 대비 각각 69, 58, 및 74%에 해당하는 것으로 SAA의 수율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전처리 당화액을 이용한 동시당화공동발효 실험결과는 DSA의 당화액이 발효균주에 대하여 가장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고 ARP 전처리 당화액이 그 다음으로 저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SAA를 이용하여 전처리한후 리그닌 이 풍부한 당화액은 이용하지 않고 전처리된 고형물과 동시당화공동발효 공정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이 가장 간단하면 서 경제적인 공정으로 제안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o study the effects of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of agricultural residue, corn stover, and to compare the feature and pros and cons of each method including dilute sulfuric acid (DSA), soaking in aqueous ammonia (SAA), and ammonia recycle ...

      This is to study the effects of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of agricultural residue, corn stover, and to compare the feature and pros and cons of each method including dilute sulfuric acid (DSA), soaking in aqueous ammonia (SAA), and ammonia recycle percolation (ARP). In order to convert corn stover to ethanol, various pretreatments followed b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co-fermentation (SSCF) were tested and evaluated in terms of ethanol yield. With 3%, w/w of glucan loading using ARP-, DSA-, and SAA-treated solids, SSCFs using recombinant E. coli strain (ATCC® 55124) with commercial enzymes (15 FPU of Spezyme CP/g-glucan and 30 CBU/g-glucan enzyme loading) were tested. In the SSCF tests, 87, 90, and 78% of theoretical maximum ethanol yield were observed using ARP-, DSA-, and SAA-treated solids, respectively, which were 69, 58, and 74% on the basis of total carbohydrates (glucan + xylan) in the untreated corn stover. Ethanol yield of SAA-treated solid was higher than those of ARP- and DSA-treated solids. In addition, SSCF test using treated solids plus pretreated hydrolysate indicated that the DSA-treated hydrolysate showed the strongest inhibition effect on the KO11 strain, whereas the ARP-treated hydrolysate was found to have the second strongest inhibition effect. Bioconversion scheme using SAA pretreatment and SSCF can make the downstream process simple, which is suggested to produce ethanol economically because utilization of hemicellulose in the hydrolysate is not necessa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