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극 환경변화와 한국의 북극정책 : 제약점과 전망 = Changing Environments of the Arctic Region and Korea`s Arctic Policy : Restrictions and Prosp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93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지구온난화와 북동항로의 이용 가능성 증대, 자원 개발 등으로 인해 북극은 지정학 및 지경학적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개발과 국제협력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부상했다. 아울러 북극 ...

      최근 지구온난화와 북동항로의 이용 가능성 증대, 자원 개발 등으로 인해 북극은 지정학 및 지경학적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개발과 국제협력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부상했다. 아울러 북극 연안 5개 국가들의 국제협력에 가장 큰 제약점이 되고 있는 영유권 주장은 실질적인 점유나 실효적 지배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국제법적으로 적법성 논란의 대상이 된다. 이들 국가들이 북극지역 항로와 자원 개발을 주도하고 있지만 아직 미해결 국경협약이 존재한다. 현재 북극지역은 유엔해양법(UN Conventionon the Law of the Sea)에 의해 해역에 대한 개별국가의 주권이 인정되지 않고 연안국들에게 200해리 경제수역이 적용된다. 이런 북극의 특수한 환경을 기반으로 한국은 중국 및 일본과 3국 협력 증진 및 북극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향후 중장기적차원에서 한국은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 AC)의 영구옵서버(permanent observer)국가로서 북극 개발과 제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참여와 다양한 협력을 추구 해야한다. 정부는 북동항로의 상업화와 자원개발, 기후변화 및 환경보호,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주변국 중국과 일본과 북극연안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북극이사회 활동과 다양한 북극관련 국제기구를 포함해 관계성을 잘 고려해야한다. 궁극적으로 북극의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과 국제협력증진을 위해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ctic Region is a region where important values, risks, opportuniti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coexist, so it must be approached with utmost emphasis on development and protection. The five coastal countries` claim of dominion over the Nort...

      The Arctic Region is a region where important values, risks, opportuniti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coexist, so it must be approached with utmost emphasis on development and protection. The five coastal countries` claim of dominion over the North Pole region is the subject of an international legal dispute, as there is currently no actual occupancy or practical governance over the region. These countries lead in the development of the Northern Sea Route (NSR) and resources, but a national border treaty has yet to be concluded. Currently in the Arctic Region the sovereignty of individual countries over the waters is not recognized by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nd 200 nautical miles of economic zone is applied to these coastal countries. Defrosting of the Arctic Region has been accelerating due to global warming, which has led Korea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pole and prompted it to initiate various activities. In future mid-to-long term projects, Korea will have to expand its participation and role in the strategic sense concerning the expansion of territorial space, resource development, native and environment protection, and significant financial support for the active use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NSR as a permanent observer of the Arctic Council (AC) since May 2013. A responsive plan must systematically be established to enhance international cooperation concerning the construction of global governance, and the relativity of the coastal countries of the Arctic Region must be considered, particularly with cooperation with Russia.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geopolitical and spatial properties of the Arctic region and the restrictions on developing Arctic resources, and consider the problems and means of commercializing the Arctic Ocean route and the role of Korea in the AC. Based on which, counter plan tasks required for a mid-to-long term initiation of an efficient Arctic Policy by Korea will be propos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