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애순, "한국적 탐정소설로서 <염마>의 가능성과 의의" 한국현대소설학회 (37) : 199-228, 2008
2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53, 1998
3 "학생"
4 김창식, "추리소설 형성기의 실상과 김내성의 <마인>, in: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61-200, 1997
5 "중외일보"
6 "조선일보"
7 "조광"
8 최원식, "이해조 문학 연구, in: 한국 근대대중소설사론" 창작사 9-182, 1986
9 최애순, "이론과 창작의 조응, 탐정소설가 김내성의 갈등 -본격 장편 탐정소설 『마인』이 형성되기까지-" 대중서사학회 (21) : 51-86, 2009
10 김교제, "신소설전집 7권" 을유문화사 1-515, 1968
1 최애순, "한국적 탐정소설로서 <염마>의 가능성과 의의" 한국현대소설학회 (37) : 199-228, 2008
2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53, 1998
3 "학생"
4 김창식, "추리소설 형성기의 실상과 김내성의 <마인>, in: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61-200, 1997
5 "중외일보"
6 "조선일보"
7 "조광"
8 최원식, "이해조 문학 연구, in: 한국 근대대중소설사론" 창작사 9-182, 1986
9 최애순, "이론과 창작의 조응, 탐정소설가 김내성의 갈등 -본격 장편 탐정소설 『마인』이 형성되기까지-" 대중서사학회 (21) : 51-86, 2009
10 김교제, "신소설전집 7권" 을유문화사 1-515, 1968
11 "신민"
12 "신동아"
13 최애순, "식민지조선의 여성범죄와 한국 팜므파탈의 탄생 - 방인근의 『마도의 향불』을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65-191, 2009
14 정혜영, "식민지 조선과 탐정문학"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1 (11): 375-396, 2007
15 이든 필포츠, "빨강머리 레드메인즈" 동서문화사 1-410, 2003
16 "별건곤"
17 "매일신보"
18 "동아일보"
19 조성면, "대중문학과 정전에 대한 반역" 소명출판 1-290, 2002
20 "농업조선"
21 정지영, "근대 일부일처제의 법제화와 ‘첩’의 문제 - 1920-1930년대 『동아일보』 사건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9) : 79-119, 2008
22 이정옥, "1930년대 대중소설의 서사구조」(추리소설 부분), 1930년대 한국 대중소설의 이해" 국학자료원 105-145, 2000
23 최애순, "1930년대 探偵의 의미 규명과 探偵小說의 특성 연구" 동양학연구소 (42) : 23-42, 2007
24 박진영, "1910년대 번안소설과 ‘정탐소설’의 매혹 ― 하몽 이상협의 '貞婦怨'" 대동문화연구원 (52) : 291-315,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