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지시기 탐정소설(探偵小說)의 번역(飜譯)과 수용(受容) 양상 및 장편(長篇) 번역(飜譯) 탐정소설(探偵小說) 서지연구 = 아서 벤자민 리브, 에밀 가보리오, 이든 필포츠의 번역작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90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translation of the detective nove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gether with that, I tried to arrange the bibliography of the full-length translation detective novels in order. For the lack of space, I will deal with the aspect of translation and accept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centrating on the detective novels of Arthur Benjamin Reeve, Emile Gaboriau, Eden Phillpotts. To analyze the aspect of translation and acception of new and unfamiliar genre is to examine the taste of the public of the day. It results from narrow-minded research trends. The study on the detective novels of Korea has concentrated on the classic pattern of the West. Therefore, the detective novels unsuitable to the classic pattern of the West was omitted. Besides with it, the taste of the public of the day has been dele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tore the omitted detective novels and the taste of the public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번역하기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translation of the detective nove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gether with that, I tried to arrange the bibliography of the full-length translation detective novels in order. For the lack of spa...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translation of the detective nove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gether with that, I tried to arrange the bibliography of the full-length translation detective novels in order. For the lack of space, I will deal with the aspect of translation and accept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centrating on the detective novels of Arthur Benjamin Reeve, Emile Gaboriau, Eden Phillpotts. To analyze the aspect of translation and acception of new and unfamiliar genre is to examine the taste of the public of the day. It results from narrow-minded research trends. The study on the detective novels of Korea has concentrated on the classic pattern of the West. Therefore, the detective novels unsuitable to the classic pattern of the West was omitted. Besides with it, the taste of the public of the day has been dele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tore the omitted detective novels and the taste of the public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애순, "한국적 탐정소설로서 <염마>의 가능성과 의의" 한국현대소설학회 (37) : 199-228, 2008

      2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53, 1998

      3 "학생"

      4 김창식, "추리소설 형성기의 실상과 김내성의 <마인>, in: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61-200, 1997

      5 "중외일보"

      6 "조선일보"

      7 "조광"

      8 최원식, "이해조 문학 연구, in: 한국 근대대중소설사론" 창작사 9-182, 1986

      9 최애순, "이론과 창작의 조응, 탐정소설가 김내성의 갈등 -본격 장편 탐정소설 『마인』이 형성되기까지-" 대중서사학회 (21) : 51-86, 2009

      10 김교제, "신소설전집 7권" 을유문화사 1-515, 1968

      1 최애순, "한국적 탐정소설로서 <염마>의 가능성과 의의" 한국현대소설학회 (37) : 199-228, 2008

      2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53, 1998

      3 "학생"

      4 김창식, "추리소설 형성기의 실상과 김내성의 <마인>, in: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61-200, 1997

      5 "중외일보"

      6 "조선일보"

      7 "조광"

      8 최원식, "이해조 문학 연구, in: 한국 근대대중소설사론" 창작사 9-182, 1986

      9 최애순, "이론과 창작의 조응, 탐정소설가 김내성의 갈등 -본격 장편 탐정소설 『마인』이 형성되기까지-" 대중서사학회 (21) : 51-86, 2009

      10 김교제, "신소설전집 7권" 을유문화사 1-515, 1968

      11 "신민"

      12 "신동아"

      13 최애순, "식민지조선의 여성범죄와 한국 팜므파탈의 탄생 - 방인근의 『마도의 향불』을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65-191, 2009

      14 정혜영, "식민지 조선과 탐정문학"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1 (11): 375-396, 2007

      15 이든 필포츠, "빨강머리 레드메인즈" 동서문화사 1-410, 2003

      16 "별건곤"

      17 "매일신보"

      18 "동아일보"

      19 조성면, "대중문학과 정전에 대한 반역" 소명출판 1-290, 2002

      20 "농업조선"

      21 정지영, "근대 일부일처제의 법제화와 ‘첩’의 문제 - 1920-1930년대 『동아일보』 사건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9) : 79-119, 2008

      22 이정옥, "1930년대 대중소설의 서사구조」(추리소설 부분), 1930년대 한국 대중소설의 이해" 국학자료원 105-145, 2000

      23 최애순, "1930년대 探偵의 의미 규명과 探偵小說의 특성 연구" 동양학연구소 (42) : 23-42, 2007

      24 박진영, "1910년대 번안소설과 ‘정탐소설’의 매혹 ― 하몽 이상협의 '貞婦怨'" 대동문화연구원 (52) : 291-31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3 1.01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