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사가(私家) 정원에서의 양학(養鶴) 사례 = A Cases of Crane Breeding(養鶴) at Private Homes(私家)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0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사가 정원에서 학을 기른 실제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여기에 반영된 보편적 의미와 특징을 규명하는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실체에 보...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사가 정원에서 학을 기른 실제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여기에 반영된 보편적 의미와 특징을 규명하는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실체에 보다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조선 시대이며 내용적 범위는 사가(私家)에서의 사례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 자료는 한국고전종합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되어 있는 고전번역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관련 연구자의 번역 자료도 추가로 활용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친, 사대부, 향촌 사족, 평민 등 다양한 신분의 인물이 학을 기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을 기른 인물 중에는 조선시대정치와 학문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도 있으며 일부 경우에서는 평생에 걸쳐 처사의 삶으로 일관하며 학을 기른 인물도 있었다.
      둘째, 전국 경향각지에 학을 기른 사람들이 있었다. 특히 한양 도성 내를 비롯해 인근에서도 여러 사례가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셋째, 학을 기르는 행위는 혈연과 교우관계, 사승 등 학맥과 관련성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학 기르기는 단순한취향이나 풍류이기 보다 한 인물의 삶의 태도와 지향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임포의 고사를 토대로 하는 성리학적 출처의식이 학을 기르는 행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일부의 경우에서는도가적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사례도 있었다.
      다섯째, 학을 길들이는 것을 생업으로 삼은 사람도 있었다. 이러한 점은 학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존재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번역 자료에 의존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추후 자료의 발굴과 번역 성과가 더욱 축적된다면 보다 풍부한사례를 확인할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ases of crane breeding at private home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reby identifying the univers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is act reflected in these cases. This study is likely to help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ases of crane breeding at private home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reby identifying the univers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is act reflected in these cases. This study is likely to help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garden culture during the period.
      The study’ temporal and spatial scope was limited to the Joseon Dynasty and private homes. As references for the study, translated versions of classical literature were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Korean Classics(http://db.itkc.or.kr). To complement for the data, related researchers’ translated materials were also used in part. The study’s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from various social classes including royal families, noblemen, noble families in countryside, and commoners kept cranes at their homes. These crane breeders included those who left a significant mark in the Joseon Dynasty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as well as ‘cheosa(處士)’ that refers to scholars living in seclusion without entering the government throughout their lifetime.
      Second, Crane breeders were spread all over the country. Notably, various cases of crane breeding were found within the Hanyang Wall and its vicinity.
      Third, The act of crane breeding was highly associated with blood ties and academic lineages such as friendship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 In this regard, crane breeding was not just a simple taste or appreciation for the arts, but rather reflective of a person’s life attitude and orientation.
      Forth, The consciousness of Confucian origins based on an ancient story of Limpo (林逋) appears to have a large impact on the act of crane breeding. In addition, some cases exhibited the reflection of Taoistic tastes.
      Fifth, Some individuals tamed cranes for a living. This proves the presence of steady demand for cranes in this period.
      The present study’s limitation is its reliance on translated materials, which hindered research into various cases. Therefore, the future discovery of additional data and the accumulation of their translations will enable the investigation of a wealth of ca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해출, "龍洲 趙絅의 詩世界"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7 (37): 159-192, 2012

      2 황정연, "朗善君 李俁(1637-1693)의 『百年錄』 硏究" 한국서지학회 (52) : 295-321, 2012

      3 홍형순, "표암(豹菴)의「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에 나타난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 32 (32): 1-11, 2014

      4 김해경, "전통조경요소로써 도입된 학(鶴)과 원림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57-67, 2012

      5 안휘준,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의 인물됨과 문화적 기여" 한국미술사학회 300 (300): 5-43, 2018

      6 홍형순, "상수(象數) 원리를 정원구성에 적용한 용도서(龍圖墅)와 귀문원(龜文園)"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119-129, 2012

      7 양훈식, "기재 신광한의 문학정신과 시대적 의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30) : 133-165, 2019

      8 김경호, "고봉 기대승의 낙향과 삶으로서의 철학 -비애의 정조를 넘어서-"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7) : 155-185, 2012

      9 柳好宣, "ꡔ荷齋日記ꡕ를 통해 본 貢人 池圭植의 삶과 문학"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9) : 1-26, 2013

      10 김학수, "朴世堂의 「西溪遺墨」- 사제간의 대화와 진솔한 삶의 기록 -" 한국학중앙연구원 (29) : 128-170, 2013

      1 정해출, "龍洲 趙絅의 詩世界"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7 (37): 159-192, 2012

      2 황정연, "朗善君 李俁(1637-1693)의 『百年錄』 硏究" 한국서지학회 (52) : 295-321, 2012

      3 홍형순, "표암(豹菴)의「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에 나타난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 32 (32): 1-11, 2014

      4 김해경, "전통조경요소로써 도입된 학(鶴)과 원림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57-67, 2012

      5 안휘준,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의 인물됨과 문화적 기여" 한국미술사학회 300 (300): 5-43, 2018

      6 홍형순, "상수(象數) 원리를 정원구성에 적용한 용도서(龍圖墅)와 귀문원(龜文園)"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119-129, 2012

      7 양훈식, "기재 신광한의 문학정신과 시대적 의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30) : 133-165, 2019

      8 김경호, "고봉 기대승의 낙향과 삶으로서의 철학 -비애의 정조를 넘어서-"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7) : 155-185, 2012

      9 柳好宣, "ꡔ荷齋日記ꡕ를 통해 본 貢人 池圭植의 삶과 문학"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9) : 1-26, 2013

      10 김학수, "朴世堂의 「西溪遺墨」- 사제간의 대화와 진솔한 삶의 기록 -" 한국학중앙연구원 (29) : 128-170, 2013

      11 이완우, "安平大君 李瑢의 文藝活動과 書藝" 한국미술사학회 (246) : 73-115, 2005

      12 박은숙, "分院 貢人 池圭植의 공․사적 인간관계 분석"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1) : 221-259, 2009

      13 엄기영, "『기재기이(企齋記異)』의 창작과 ‘기재(企齋)’라는 공간" 우리말글학회 61 : 189-213, 2014

      14 "『Songsa(宋史)』 Vol. 457, Yeoljeon(列传) No. 216. Eonil Sang(隐逸上), Limpo Jeon(林逋傳)"

      15 안계복, "「穿池造山 種花草 養珍禽奇獸」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5 (25): 131-142, 2007

      16 "Yukseonseangyugo(六先生遺稿)"

      17 "Yongjooyugo(龍洲遺稿)"

      18 "Yeolseongeoje(列聖御製)"

      19 "Yakcheonjip(藥泉集)"

      20 "Wolsajip(月沙集)"

      21 Ho-Am Art Museum, "Traditional Garden in Korean Art"

      22 Go, Y. J., "The Thought of Keunkinamin Scholar in the Late 17th. Century" 13 : 160-182, 1994

      23 Kim, M. H., "The Theory of Poetry-Creation in Yaksan Oh Gwang-un" 23 : 155-184, 2007

      24 "Taekdangjip(澤堂集)"

      25 Kang, D. W., "Suwoodang(守愚堂)Choi Yeong-gyeong(崔永慶). Gyeongsang Nat’l Univ. Nammyeonghakgyoyangchongseo 17" Kyung-in-moon-hwa-sa 2010

      26 "Soosarok(隨槎錄)"

      27 Park, J. H., "Soon-am(順庵) An Jeong Bok(安鼎福), 『Manmulyuchui(萬物類聚)』" Sung Kyun Kwan Unvi. Press 2015

      28 "Soodangjip(修堂集)"

      29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30 "Seungjeongwonilgi(承政院日記)"

      31 "Seongsobooboogo(惺所覆瓿藁)"

      32 "Seonghojeonjip(星湖全集)"

      33 "Seokjoojip(石洲集)"

      34 "Seohajip(西河集)"

      35 "Seogyejip(西溪集)"

      36 "Seoaejip(西厓集)"

      37 "Sanlimkyoungje(山林經濟)"

      38 Lee, J. M., "Okdamsijip(玉潭詩集)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39 "Okdamsijip(玉潭詩集)"

      40 "Nongamjip(農巖集 )"

      41 "National Museum of Korea"

      42 "Myungjaeyugo(明齋遺稿)"

      43 "Moomyungjajip(無名子集)"

      44 Choi, B. G., "Monggyepildam(夢溪筆談) 1" Bumwoosa 2015

      45 "Kyegokjip(谿谷集)"

      46 "Kieon(記言)"

      47 "Kichukrok(己丑錄)"

      48 "Jookseokkwanyujip(竹石館遺集)"

      49 "Jibongjip(芝峯集)"

      50 "Hyangsanjip(響山集)"

      51 "Hajaeilki(荷齋日記)"

      52 "Gobongjeonseo(高峯全書)"

      53 "Galamjip(葛庵集)"

      54 "Dongmyeongjip(東溟集)"

      55 "Dongjoojip(東州集)"

      56 Institute of Nammyunghak, "Deokkye(德溪)O Geon(吳健)&Suwoodang(守愚堂)Choi Yeong-gyeong(崔永慶)" Ye-moonseo-won 2009

      57 "Dasansimunjip(茶山詩文集)"

      58 Lee, J. M., "Cultural Space of Choseon 1" Humanist 2006

      59 "Cheongjangkwanjeonseo(靑莊館全書)"

      60 "Cheongeumjip(淸陰集)"

      61 Yoo, B. H., "Cheokje(惕齊)Lee Seo Gu(李書九)’s Study and Political Intention" 12 : 321-344, 1991

      62 Kim, M. S.,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Yong-joo-yu-go (龍洲遺稿)』"

      63 Lee, W. S.,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Soodangjip(修堂集)』"

      64 Choi, Y. J.,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Seogyejip(西溪集)』"

      65 Kang, M. J.,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Moomyungjajip (無名子集)』"

      66 Park, E. S.,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Hajaeilki(荷齋日記)』"

      67 Baek, S. H.,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Beonamjip(樊巖集)』"

      68 Kim, S. A.,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Baekhojeonseo(白湖全書)』"

      69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Collection of Korean Work Series, 『Huyamjip(希菴集)』"

      70 "Beonamjip(樊巖集)"

      71 "Baekhojeonseo(白湖全書)"

      72 Kim, K. L., "A Study on Philosophy of Yŏn-hyu with the Point of View of Lu-Wang-hsüeh" 10 : 181-203, 1998

      73 권오영, "17세기 전반의 조선 학계와 趙絅의 학문성향" 조선시대사학회 (75) : 267-301, 2015

      74 신영주, "17세기 문예의 새로운 경향과 낭선군 이우" 한국한문교육학회 27 (27): 541-575, 2006

      75 신병주, "17세기 政局의 전개와 趙絅의 정치적 활동" 조선시대사학회 (80) : 175-204,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