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nfluencing Factors on Breastfeeding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activities in breastfeeding.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2 nursing students in the nursing departments of 3 universities located in G city and J provinces. The students had successfully completed their obstetric and pediatric clinical practice cours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articipants' scores for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were 16.24±2.73, 3.74±0.43 and 3.49±0.43, respectively.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included knowledge,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grade, breastfeedi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breastfeeding intentions. These variables explained 18% of the variance in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beneficial to enhanc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by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for breastfeeding.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activities in breastfeeding. Methods: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activities in breastfeeding.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2 nursing students in the nursing departments of 3 universities located in G city and J provinces. The students had successfully completed their obstetric and pediatric clinical practice cours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articipants' scores for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were 16.24±2.73, 3.74±0.43 and 3.49±0.43, respectively.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included knowledge,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grade, breastfeedi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breastfeeding intentions. These variables explained 18% of the variance in nursing activities while breastfeed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beneficial to enhanc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by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for breastfeed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가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모유수유 지식과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학년, 모유수유 교육 경험, 모유수유 의향은 모유수유 간호활동을 18% 설명하였고,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과 학년이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의 주된 영향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간호실무 현장의 적극적인 지원과 지지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연구의 대상은 일부 지역의 간호대학생 만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연구 대상과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가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

      본 연구는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가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모유수유 지식과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학년, 모유수유 교육 경험, 모유수유 의향은 모유수유 간호활동을 18% 설명하였고,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과 학년이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의 주된 영향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간호실무 현장의 적극적인 지원과 지지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연구의 대상은 일부 지역의 간호대학생 만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연구 대상과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계하,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303-311, 2013

      2 김선희,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0 (40): 225-235, 2010

      3 라진숙,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 한국아동간호학회 19 (19): 76-84, 2013

      4 구상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완전모유수유 실천기간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672-1683, 2012

      5 임재란, "모유수유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8 (8): 223-232, 2017

      6 여정희,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산모의 사회심리적 요인"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3 (13): 149-156, 2007

      7 Mary Smale, "Turning policy into practice: more difficult than it seems. The case of breastfeeding education" Wiley 2 (2): 103-113, 2006

      8 Huggins, K, "T he nursing mother's guide to weaning" The Harvard Common Press 2007

      9 Hosea Blewett, H. J, "T he immunological components of human milk" 54 : 45-80, 2008

      10 Lee, E. J, "T he effect of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on breastfeeding practice and retension of knowledge" Keimyung University 1997

      1 김계하,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303-311, 2013

      2 김선희,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0 (40): 225-235, 2010

      3 라진숙,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 한국아동간호학회 19 (19): 76-84, 2013

      4 구상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완전모유수유 실천기간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672-1683, 2012

      5 임재란, "모유수유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8 (8): 223-232, 2017

      6 여정희,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산모의 사회심리적 요인"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3 (13): 149-156, 2007

      7 Mary Smale, "Turning policy into practice: more difficult than it seems. The case of breastfeeding education" Wiley 2 (2): 103-113, 2006

      8 Huggins, K, "T he nursing mother's guide to weaning" The Harvard Common Press 2007

      9 Hosea Blewett, H. J, "T he immunological components of human milk" 54 : 45-80, 2008

      10 Lee, E. J, "T he effect of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on breastfeeding practice and retension of knowledge" Keimyung University 1997

      11 Leff, E. W, "T he development of the maternal breastfeeding evaluation scale" 10 (10): 105-111, 1994

      12 Laura W. Bernaix, "Succes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n Maternal/Newborn Nurses' Breast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s" Elsevier BV 39 (39): 658-666, 2010

      13 Sung, M. H, "N urse's knowledge to breast-feeding and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feeding" 6 (6): 258-268, 2000

      14 Jung, M. S, "N urse's knowledge and nursing activities for breastfeeding promotion" 3 (3): 187-196, 1994

      15 Digirolamo, A, "I ntention or experience? Predictors of continued breastfeeding" 32 (32): 208-226, 2005

      16 Jeong, G. H, "E 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 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Ewha Womans University 1997

      17 Choler, B. J, "C hild care attitudes and adaptation to the maternal role among mentally ill and well mothers" 46 (46): 125-135, 1976

      18 Aurora C. Vandewark, "Breastfeeding Attitudes and Knowledge in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Candidate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3 (23): 135-141, 2014

      19 Choi, E. J, "B reastfeeding-relate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249 : 72-81, 2017

      20 Ahmed, A, "B reastfeeding knowledge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36 (36): 361-367, 2011

      21 Yang, S. F, "B reast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s of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 A systematic review" 13 (13): 1-11, 2018

      22 Ahmed, A, "B reast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s among Egyptian baccalaureate students" 58 (58): 372-378, 2011

      23 Victora, C. G, "B reastfeeding in the 21st century : Epidemiology, mechanisms, and lifelong effect" 387 (387): 475-490, 2016

      24 Spear, H. J, "B 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breastfeeding knowledge : A descriptive study" 26 (26): 332-337, 2006

      25 Kim, J. E, "A study on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of breastfeeding among primigravida" 6 (6): 331-339, 2001

      26 Pamela J. Mulder, "A Concept Analysis of Effective Breastfeeding" Elsevier BV 35 (35): 332-339,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9 2.49 2.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7 3.05 3.54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