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융자지원을 통해 공급된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의 공급대수는 각각 9,811대, 3,482대, 2,074대로 5년 전보다 1.7~22.7% 감소하였다(농업기계연감, 2019). 이러한 추세는 운전자 고령화나 대형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39939
2020
-
500
학술저널
123-12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융자지원을 통해 공급된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의 공급대수는 각각 9,811대, 3,482대, 2,074대로 5년 전보다 1.7~22.7% 감소하였다(농업기계연감, 2019). 이러한 추세는 운전자 고령화나 대형 ...
2018년 융자지원을 통해 공급된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의 공급대수는 각각 9,811대, 3,482대, 2,074대로 5년 전보다 1.7~22.7% 감소하였다(농업기계연감, 2019). 이러한 추세는 운전자 고령화나 대형 농업기계 공급 등과 맞물려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농촌진흥청, 2013). 반면 외국산 농업기계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국내 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농가 설문조사를 통해 농업기계를 보유하고 있는 농가의 교체구입 성향과 사용 만족도를 조사·분석하여 국내 농업기계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면접조사 형태로 2020년 5월에서 9월까지 전국 9개도 150개 읍·면 300개 마을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트랙터 616농가, 승용이앙기 261농가, 콤바인 187농가가 조사되었다. 주요 내용은 품질, 고장, 사후관리 등의 농업기계 이용 관련 만족도와 기종별 교체구입 계획 등이었다.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농가의 교체구입 계획을 제조국과 기종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국산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농가 가운데 다시 국산으로 교체구입 하겠다는 농가는 트랙터 76.8%, 승용이앙기 71.4%, 콤바인 60.6%였으며, 외국산 농업기계를 사용하고 있는 농가 가운데 다시 외국산으로 교체구입 하겠다는 농가의 경우 트랙터 86.2%, 승용이앙기 85.7%, 콤바인 60.0%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산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농업인이 국산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농업인에 비해 구매 충성도가 트랙터는 12.4%p, 이앙기는 14.3%p 정도 높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국산 농업기계를 사용하고 있는 농가 가운데 “교체구입 의향이 있다”라고 응답한 농가를 대상으로 품질, 고장, 사후관리 등에 대해서 5점 리커트 척도로 만족도를 설문한 결과 전체적으로 외국산 농업기계로 교체구입을 희망하는 농가의 만족도가 국산보다 0.1∼0.8점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과거에 사용했던 농업기계에 대한 만족도가 농업기계 교체구입 시 제조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수행한 판별분석을 결과를 보면 트랙터의 경우 교체구입 희망 제조국을 선택하는데 품질과 고장과 관련한 만족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승용이앙기와 콤바인은 품질, 고장, 사후관리 만족도 모두 제조국을 선택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과적으로 농가의 농업기계 교체구입 계획을 고려했을 때 향후 농업기계 교체구입 수요 가운데 외국산의 점유율은 증가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국산 농업기계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품질 개선을 위한 관련 기술개발, 사후관리 지원 등의 소비자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CT 기술을 적용한 다목적 정밀농업용 자율비행 드론 플랫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