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이 보는 통일과정 및 통일이후의 한미일 관계 발전방향 = Process of the Korean Unification and the Trilateral Relationship among Seoul, Tokyo, and Washington: Korean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04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federate approach aims to continue the two-nations/two-systems as a transition, thereby achieving unification ultimately. That is, this approach first intends to achieve economic integration based upon two different political systems. The North...

      The confederate approach aims to continue the two-nations/two-systems as a transition, thereby achieving unification ultimately. That is, this approach first intends to achieve economic integration based upon two different political systems. The North Korean unification formula is a federal system. According to this approach, there should be measures in political and military aspects first. According to this approach, the two Koreas should build the status of one state/two systems, which is subsequently followed by political integration. But both of them have problems in achieving political integration.
      It is not easy for South Korea to lead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situation to the Korean unification. The US and China officially support the unification, but at the same time none of them does not want the other party to have more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than itself. Under this balance of power situation,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would make these countries to choose maintaining a status quo of the Korean peninsula.
      The unification process can begin with the two Korean people sharing a cultural similarity and the North Korean people having a favorable identity towards the South’s system. Like the German case, this approach considers the unification to be accomplished based upon the South Korean system through the process of a general election.
      Post-unification US-Korea alliance’s strategic objective will be maintaining regional peace and stability. Being located next to China would also make the unified Korea difficult in explicitly stating the objective of the US-ROK alliance as checking China. The official purpose of the US-Korea-Japan cooperation would be maintaining regional peace and co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이 주장해온 연합제 방안은 과도기적 체제로써 2국가, 2체제를 지속시킨 이후,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즉, 2개의 정치체제 하에서 경제적 통합을 먼저 이루자는 논리이다...

      한국이 주장해온 연합제 방안은 과도기적 체제로써 2국가, 2체제를 지속시킨 이후,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즉, 2개의 정치체제 하에서 경제적 통합을 먼저 이루자는 논리이다. 연방제에 기반한 방안은 북한이 역사적으로 주장해온 방안으로써, 정치적·군사적 차원에서 먼저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정치, 군사적 안건이 해결되어야 통일프로세스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방안에 의하면 1국가, 2체제를 먼저 구축한 다음 추후에 정치적 통합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이 두 방안은 모두 정치적 통합 측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다. 미중 양 강대국이 공식적으로는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고는 있으나, 다른 한 쪽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현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 상에서 북한급변사태는 현상유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남북한 국민들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북한주민들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는 데서 출발한다. 독일의 경우처럼, 통일의 과정 중에서 총선거에 의해 남한의 체제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 시나리오에 의한 통일 방안이다.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의 안정과 평화 유지가 될 것이다. 통일 이후 한국이 중국이라는 강대국과 인접하고 있다는 사실은 부담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통일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교류와 경제협력으로 인해 더욱 강화될 것이나, 동시에 한국의 안보문제에 매우 민감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현재 한국에게 있어서 북한은 위협인 동시에 대중국 완충지대의 긍정적 역할도 하고 있다. 따라서 통일 이후 중국의 대 한반도 영향력에 대비하기 위해 주한미군을 유지하고 한미동맹을 강화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한국이 중국과 인접하고 있다는 지리적 요인은 한미동맹의 목적을 중국견제로 명시하는 데 장애로 작용할 것이며, 한국은 중국견제라는 목적이 아닌 지역의 안정과 평화라는 목적을 위해 한미일 3국 협력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규륜, "한반도 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62-, 2013

      2 차두현,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 글로벌정치연구소 3 (3): 29-61, 2010

      3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28-, 1998

      4 홍현익, "탈냉전기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대외안보전략 연구: 통일한국에 대한 함의" 2015

      5 "조선노동당대회 자료집, 제3집" 국토통일원 1980

      6 "인터뷰, 워싱톤 디씨"

      7 박휘락, "북한 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 세종연구소 16 (16): 63-92, 2010

      8 황병덕,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9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74369"

      10 Peter M.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통일연구원 16 (16): 79-108, 2007

      1 김규륜, "한반도 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62-, 2013

      2 차두현,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 글로벌정치연구소 3 (3): 29-61, 2010

      3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28-, 1998

      4 홍현익, "탈냉전기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대외안보전략 연구: 통일한국에 대한 함의" 2015

      5 "조선노동당대회 자료집, 제3집" 국토통일원 1980

      6 "인터뷰, 워싱톤 디씨"

      7 박휘락, "북한 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 세종연구소 16 (16): 63-92, 2010

      8 황병덕,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9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74369"

      10 Peter M.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통일연구원 16 (16): 79-108, 2007

      11 Jack Pritchard, "U.S.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12 America'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s National Security"

      13 Bruce W. Bennett,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RAND Corporation 2013

      14 Bruce Klingner, "New Leaders, Old Dangers: What North Korean Succession Means for the U.S."

      15 Paul E. Gallis,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16 Philip Zelikow,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17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18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2002

      19 임현진,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