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례 : 호흡기 ; 색전술로 치료한 폐동맥 가성동맥류 1예 = Case Reports : Pulmonology ; A Case of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Treated by Embo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4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폐동맥 가성동맥류는 패혈성 폐렴의 드문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대량객혈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아 치명적일 수 있다. 대량객혈을 동반한 폐동맥 가성동맥류의 치료는 색전술 또는 ...

      폐동맥 가성동맥류는 패혈성 폐렴의 드문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대량객혈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아 치명적일 수 있다. 대량객혈을 동반한 폐동맥 가성동맥류의 치료는 색전술 또는 수술이지만, 색전술 시행 후 폐동맥 가성동맥류의 경과는 보고된 적이 없었다. 저자는 59세 남자가 패혈성 폐렴에서 회복 중 대량객혈을 하여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폐동맥 가성동맥류를 발견하여 폐동맥 색전술로 치료하였다. 이후 외래 추적도중 시행한 단순흉부촬영상에서 색전물질에 의한 방사선 비투과성 병변은 수개월에 걸쳐 서서히 작아졌다. 결국, 색전술 후 14개월째 시행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폐동맥 가성동맥류와 색전물질이 완전히 사라졌음을 관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PAP) is a rare complication of septic pneumonia. It is potentially fatal because of the risk of massive hemoptysis. Treatment of PAP involving massive hemoptysis is by embolization or surgery. However, the progression ...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PAP) is a rare complication of septic pneumonia. It is potentially fatal because of the risk of massive hemoptysis. Treatment of PAP involving massive hemoptysis is by embolization or surgery. However, the progression of PAP after embolization has not been reported. A 59-year-old male who was recovering from septic pneumonia experienced massive hemoptysis.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PAP of the right pulmonary artery with surrounding consolidation, suggesting active hemorrhage.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embolization of the right pulmonary artery. During outpatient follow-up, the amount of radiopaque embolized material gradually decreased on chest radiography. At 14 months after embolization, both the PAP and embolized material had disappeared on chest CT. (Korean J Med 2011;80:S214-S21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웅, "우하횡경막동맥-폐동맥 문합부위의 가성동맥류로 인한 객혈로 색전술 후 성공한 예"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66 (66): 319-323, 2009

      2 이강훈, "가토에서 Histoacryl?과 Lipiodol 혼합물을 이용한 신동맥 색전술의 유용성" 대한비뇨기과학회 48 (48): 903-909, 2007

      3 Kierse R, "Value of multislice CT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from Swan-Ganz catheter placement" 15 : 1133-1137, 2004

      4 Saumench J, "Value of fiberoptic bronchoscopy and angiography for diagnosis of the bleeding site in hemoptysis" 48 : 272-274, 1989

      5 Shin TB, "The role of pulmonary CT angiography and selective pulmonary angiography in endovascular management of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associated with infectious lung diseases" 18 : 882-887, 2007

      6 Poplausky MR, "Swan-Ganz catheter-induced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formation: three case repor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120 : 2105-2111, 2001

      7 Remy-Jardin M, "Spiral CT angiography of the pulmonary circulation" 212 : 615-636, 1999

      8 Fernando HC, "Role of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in the management of hemoptysis" 133 : 862-866, 1998

      9 Mullerworth MH,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catheter-induced pulmonary artery rupture" 66 : 1242-1245, 1998

      10 Pelage JP, "Pulmonary artery interventions: an overview" 25 : 1653-1667, 2005

      1 박현웅, "우하횡경막동맥-폐동맥 문합부위의 가성동맥류로 인한 객혈로 색전술 후 성공한 예"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66 (66): 319-323, 2009

      2 이강훈, "가토에서 Histoacryl?과 Lipiodol 혼합물을 이용한 신동맥 색전술의 유용성" 대한비뇨기과학회 48 (48): 903-909, 2007

      3 Kierse R, "Value of multislice CT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from Swan-Ganz catheter placement" 15 : 1133-1137, 2004

      4 Saumench J, "Value of fiberoptic bronchoscopy and angiography for diagnosis of the bleeding site in hemoptysis" 48 : 272-274, 1989

      5 Shin TB, "The role of pulmonary CT angiography and selective pulmonary angiography in endovascular management of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associated with infectious lung diseases" 18 : 882-887, 2007

      6 Poplausky MR, "Swan-Ganz catheter-induced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formation: three case repor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120 : 2105-2111, 2001

      7 Remy-Jardin M, "Spiral CT angiography of the pulmonary circulation" 212 : 615-636, 1999

      8 Fernando HC, "Role of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in the management of hemoptysis" 133 : 862-866, 1998

      9 Mullerworth MH,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catheter-induced pulmonary artery rupture" 66 : 1242-1245, 1998

      10 Pelage JP, "Pulmonary artery interventions: an overview" 25 : 1653-1667, 2005

      11 Ghaye B, "Multiple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intrasaccular embolization" 7 (7): 176-179, 1997

      12 Cromwell LD, "Modification of cyanoacrylate for therapeutic embolization: preliminary experience" 132 : 799-801, 1979

      13 Wang YM, "Histopathological study of vascular changes after intra-arterial and intravenous injection of N-butyl-2-cyanoacrylate" 7 : 175-179, 2006

      14 Kalina M, "Hemoptysis secondary to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after necrotizing pneumonia" 84 : 1386-1387, 2007

      15 de Gregorio MA, "Endovascular treatment of massive hemoptysis by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short-term and long-term follow-up over a 15-year period" 42 : 49-56, 2006

      16 Kalva SP,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12 : 130-138,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ine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 0.259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