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308~1310년 고려내 “牧·府 신설”의 내용과 의미 = Contents & Meaning of the Installation of New Mok/牧 and Bu/府 units in 1308 & 1310 - Study of the Direction King Chungseon-wang took in his efforts to Restructure the Local Gye’su-gwan administr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1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contents and meaning of Chungseon-wang’s decision to install New Mok/牧 units in 1308, and then his decision to turn them into new Bu/府 units in 1310. With Chungseon-wang’s efforts in 1308, the previous local s...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contents and meaning of Chungseon-wang’s decision to install New Mok/牧 units in 1308, and then his decision to turn them into new Bu/府 units in 1310. With Chungseon-wang’s efforts in 1308, the previous local system which was composed of “5 Do provinces, several Local Overseers(Gye’su-gwan, including only 8 or 9 Mok units) and other Ju, Bu, Gun & Hyeon units,” was modified to display “5 Do provinces, more than ‘22 or 23’ Mok units to assist the provinces, and other Ju, Gun & Hyeon units.” And then in 1310, 15 of the 1308’s Mok units became “new Bu” units.
      Before 1308, the exact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 provinces and the Mok “Overseers” was unclear. Both entities were designed to oversee large areas. The reason there had been no jurisdictional problems between Do and Mok units before, was because the Do provinces had not yet been formally established. They had been in flux and their functions had been continuing to shift, ever since the end of the 10th century. But coming into the early 13th century, they were finally formalized with their number fixed as 5, and their functions came to overlap with those of the Mok units, which was (for both of them) to administratively oversee designated wide areas.
      So Chungseon-wang decided to designate the role of the existing 8 or 9 Mok units as ‘assisting’ the Do provinces, and at the same time additionally created total of 15 new Mok units as entities that would assist the Do provinces as well so that there would be no gaps within the Mok network, without which the Do provinces would not be able to govern the local society properly. And in 1310, to bring a hierarchy system to his newly invented local structure which would ensure efficient and effective ruling of the entire local society, he turned all 15 new Mok units into new “Bu” units, and placed them under Do provinces, as well as below the 8 or 9 Original Mok units.
      His decision to create 15 new Mok units was an attempt to use elements from Goryeo’s past local system, which was to create more ‘traditional’ Mok units. Yet his decision to turn them all into new Bu units was a result of adopting a rather foreign concept, the Bu concept from the Mongol Yuan empire. This interesting experiment of Chungseon-wang was successfully pulled off, and this new system he designed managed to survive until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1308년 “목 신설”의 배경과 의미
      • Ⅲ. 1310년 “목→부 전환”의 내용가 목적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1308년 “목 신설”의 배경과 의미
      • Ⅲ. 1310년 “목→부 전환”의 내용가 목적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태섭, "고려초기의 지방제도" 57 : 1987

      2 윤경진, "고려초기 10道制의 시행과 운영체계" 진단학회 (101) : 99-134, 2006

      3 하현강, "고려지방제도의 일연구" 1988

      4 변태섭, "고려전기의 외관제" 1971

      5 박종기, "고려시대 계수관의 범위와 성격"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21 : 1998

      6 김동수, "고려시대 界首官의 범위에 대한 재론" 호남사학회 19 : 215-231, 2002

      7 김아네스, "고려시대 地方刑政과 牧" 대구사학회 4 (4): 41-70, 2004

      8 최정환, "고려시대 5도양계의 성립, In 고려정치제도와 녹봉제 연구" 신서원 2002

      9 박종진, "고려시기 계수관의 기능과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56) : 173-201, 2005

      10 구산우, "고려시기 계수관(界首官)의 지방행정 기능과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43) : 222-248, 2002

      1 변태섭, "고려초기의 지방제도" 57 : 1987

      2 윤경진, "고려초기 10道制의 시행과 운영체계" 진단학회 (101) : 99-134, 2006

      3 하현강, "고려지방제도의 일연구" 1988

      4 변태섭, "고려전기의 외관제" 1971

      5 박종기, "고려시대 계수관의 범위와 성격"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21 : 1998

      6 김동수, "고려시대 界首官의 범위에 대한 재론" 호남사학회 19 : 215-231, 2002

      7 김아네스, "고려시대 地方刑政과 牧" 대구사학회 4 (4): 41-70, 2004

      8 최정환, "고려시대 5도양계의 성립, In 고려정치제도와 녹봉제 연구" 신서원 2002

      9 박종진, "고려시기 계수관의 기능과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56) : 173-201, 2005

      10 구산우, "고려시기 계수관(界首官)의 지방행정 기능과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43) : 222-248, 2002

      11 김갑동, "고려 현종대의 지방제도 개혁" 80 : 1995

      12 구산우, "고려 현종대 향촌지배체제 개편의 배경과 성격" 1 : 1994

      13 최정환, "고려 지방제도의 정비와 도제, In 고려정치제도와 녹봉제 연구" 신서원 2002

      14 김동수, "고려 중,후기의 감무 파견" 3 : 1989

      15 원창애, "고려 중,후기 감무증치와 지방제도의 변천" 1 : 1984

      16 김병인, "고려 예종대 감무의 설치배경" 8 : 1994

      17 김아네스, "고려 성종대 유교 정치사상의 채택과 12州牧" 진단학회 (93) : 57-84, 2002

      18 윤경진, "고려 성종14년의 군현제개편에 대한 연구" 27 : 2001

      19 윤경진, "고려 성종 11년의 읍호개정에 대한 연구 - 고려초기 군현제의 구성과 관련하여 -" 한국역사연구회 (45) : 159-194, 2002

      20 김병인, "고려 명종대 監務 파견의 정치적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29) : 335-370, 2010

      21 윤경진, "고려 군현제의 운영원리와 주현-속현 영속관계의 성격" 10 : 2001

      22 윤경진, "고려 界首官의 제도적 연원과 성립과정 ― 9州?12牧과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57-8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2.615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