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청소년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5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우울에 대한 적응유연성이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교폭력의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 및 잠재적인 피해 청소년들의 바람 직하고 건강한 성장을 위한 개입에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경험과 우울 그리고 적응유연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교폭력피해경험과 우울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 교폭력피해경험과 적응유연성과 우울과 적응유연성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폭력 경험과 우울간에는 하나의 변수가 증가하면 다른 변수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청소년들의 학교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학교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적응유연 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비록 학교폭력 피 해경험이 있을 지라도 적응유연성이 높은 집단은 우울이 나타날 확률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 한다. 이것은 적응유연성이 폭력에 노출된 청소년들이 우울의 빈도를 줄이고 나아가 우울을 제어 할 수 있는 기저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청소년들의 학교폭력행동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우울에 대한 적응유연성이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교폭력의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 및 잠재적인 피해 청소년들의 바람 직하고 ...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우울에 대한 적응유연성이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교폭력의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 및 잠재적인 피해 청소년들의 바람 직하고 건강한 성장을 위한 개입에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경험과 우울 그리고 적응유연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교폭력피해경험과 우울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 교폭력피해경험과 적응유연성과 우울과 적응유연성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폭력 경험과 우울간에는 하나의 변수가 증가하면 다른 변수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청소년들의 학교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학교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적응유연 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비록 학교폭력 피 해경험이 있을 지라도 적응유연성이 높은 집단은 우울이 나타날 확률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 한다. 이것은 적응유연성이 폭력에 노출된 청소년들이 우울의 빈도를 줄이고 나아가 우울을 제어 할 수 있는 기저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청소년들의 학교폭력행동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respect of depression of the teenager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through this, to discuss measures for the healthy and desirable growth of the teenagers exposed to risky school violence and who are potentially likely to suffer damage. As a result, first, to look into rel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experiences and depression of teenagers and their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school violence damage experiences and depression, and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school violence damage experiences and resilience and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This signifies that if one variable increases, other variable also increases between school violence experiences and depression. Second, to look into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effects of juvenil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on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significantly controls some effects in the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s on depression. This implies that regardless of existence or no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s, it is not probable that a group whose resilience is high will show depression. This means that resilience is able to reduce frequency of depression of teenagers exposed to violence and to control depression, and resilience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use of school violence of teenagers and treatment of such violence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respect of depression of the teenager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through this, to discuss measures for the healthy and desirable growth of the teenagers exposed to ris...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respect of depression of the teenager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through this, to discuss measures for the healthy and desirable growth of the teenagers exposed to risky school violence and who are potentially likely to suffer damage. As a result, first, to look into rel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experiences and depression of teenagers and their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school violence damage experiences and depression, and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school violence damage experiences and resilience and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This signifies that if one variable increases, other variable also increases between school violence experiences and depression. Second, to look into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effects of juvenil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on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significantly controls some effects in the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s on depression. This implies that regardless of existence or no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s, it is not probable that a group whose resilience is high will show depression. This means that resilience is able to reduce frequency of depression of teenagers exposed to violence and to control depression, and resilience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use of school violence of teenagers and treatment of such violence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초록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Abstract
      • 초록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1. 학교폭력
      • 2. 우울
      • 3. 적응유연성
      • Ⅲ. 연구방법
      • 1. 연구의 대상
      • 2. 조사도구
      • 3. 자료분석
      • Ⅳ. 연구결과
      • 1. 상관분석
      • 2. 조절효과 분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