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명도집설(鳴道集說)』에 나타난 정(程)이의 선불교 비판 연구 = A Study on Cheng I`s Criticism on Zen Buddhism in 『Mingdaojishu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15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근사록』 「변이단편」과 『명도집설』을 통해 정이의 선불교 비판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근사록』「변이단편」에서는 정이의 불교비판의 대강을 알 수 있다. 정호는 윤...

      본고는 『근사록』 「변이단편」과 『명도집설』을 통해 정이의 선불교 비판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근사록』「변이단편」에서는 정이의 불교비판의 대강을 알 수 있다. 정호는 윤리 사회적인 면에서 불교를 비판하는데 반해 정이는 이론중심으로 불교를 비판하고 있다. 이같은 이론적 비판을 통해 정이는 유학적 체계를 세울 수 있었다. 특히 『명도집설』에서는 정이의 불교비판에 대해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정이는 선불교 비판에 치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선불교의 위세는 대단하여 유학을 능가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이는 선불교 비판을 통해 유학의 세를 회복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정이는 선불교가 위세를 떨치고 있는 세태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서술하고 있다. 또한 선불교의 심성론과 수행론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볼 때 정이는 유학의 흥기와 이론적 체계의 정초를 위해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례로 그는 불교의 사상을 유학적 개념으로 대체하고자 하였다. 경(敬)의 개념은 이를 대표한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정이는 유학의 수양론을 세울 수 있었다. 따라서 정이의 선불교 비판은 유학적 수양론 방면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도집설』에 나타난 정이의 불교비판은 치우친 측면이 있다. 이지순은 그러한 측면을 매우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이런 점들을 볼 때 정이의 선불교 비판은 유학적 견지에서 의도적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짐작케 한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his study examines Cheng I(程이)`s criticism on Zen Buddhism drawing upon Jinsailu(『近思錄』) and Mingdaojishuo(『鳴道集說』). The former outlines Cheng I`s critical position on Buddhism. While Cheng Hao(程顥) evaluates Buddhism from e...

      his study examines Cheng I(程이)`s criticism on Zen Buddhism drawing upon Jinsailu(『近思錄』) and Mingdaojishuo(『鳴道集說』). The former outlines Cheng I`s critical position on Buddhism. While Cheng Hao(程顥) evaluates Buddhism from ethical and social aspects, Cheng I`s position can be differentiated from its strong theory basis. A sound theoretical basis in his criticism on Buddhism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of his Confucianism theory. In particular, Migdaonjishuo covers Cheng I`s criticism on Buddhism in a great detail.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in Migdaonjishuo, Cheng I focused his critical evaluation on Zen Buddhism (particularly cultivation theory of mind), which overwhelmed Confucianism during his time. This reveals that Cheng(敬) I made significant efforts for the revival of Confucianism. For instance, he attempted to replace important building blocks of Buddhism with basic concepts from Confucianism. In fact, his effort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cultivation theory of mind in Confucianism. Despite Cheng I`s apprent contribution, his criticism on Buddhism is somewhat biased and unbalanc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Lizhichun(李之純) made this point clear in Migdaonjishuo.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