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 지붕형태와 지붕재료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Types of Rural Housing in the Taean Peninsul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oof Types and Mate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5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types of rural housing in the Taean Peninsula with a focus on the roof types an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types. The type of rural housing, one of the main themes in cultural geography, explains the rural landscape in the Taean Peninsula and makes it possible to compare the rural area with others. The hip-and-gable roof type, the precoated-steel-plate roof type, and the tile roof type are more dominant in the study area than in other rural areas, probabl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Yangban culture in the Taean Peninsula. The predominance of the gable roof type and the asphalt-shingle roof typ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rising new housing construction due to the increasing tourism and the urb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hip roof type and the artificial-slate roof type are strongly connected with the high proportion of old houses that remain unchanged after the roof improvement in the 1970s. This study accounts for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and, hopefully if possible, the landscape of rural settlements in the Taean Peninsula.
      번역하기

      This paper deals with the types of rural housing in the Taean Peninsula with a focus on the roof types an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types. The type of rural housing, one of the main themes in cult...

      This paper deals with the types of rural housing in the Taean Peninsula with a focus on the roof types an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types. The type of rural housing, one of the main themes in cultural geography, explains the rural landscape in the Taean Peninsula and makes it possible to compare the rural area with others. The hip-and-gable roof type, the precoated-steel-plate roof type, and the tile roof type are more dominant in the study area than in other rural areas, probabl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Yangban culture in the Taean Peninsula. The predominance of the gable roof type and the asphalt-shingle roof typ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rising new housing construction due to the increasing tourism and the urb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hip roof type and the artificial-slate roof type are strongly connected with the high proportion of old houses that remain unchanged after the roof improvement in the 1970s. This study accounts for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and, hopefully if possible, the landscape of rural settlements in the Taean Peninsul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붕형태와 지붕재료를 중심으로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유형을 분류하고,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문화지리학의 관심 분야인 촌락가옥 연구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유형과 그 변화를 분석한다. 태안반도 촌락에서 팔작지붕 가옥, 컬러강판지붕 가옥, 기와지붕 가옥의 비중이 다른 지역에 비교해서 높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태안반도에 유입된 양반문화의 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맞배지붕 가옥, 맞배변형지붕 가옥, 아스팔트싱글지붕 가옥의 비중이 높은 것은 관광산업 개발과 도시화의 영향으로 인해 신축 가옥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또한 우진각지붕 가옥과 인조슬레이트지붕 가옥의 비중은 1970년대 지붕개량 이후 남아있는 노후화된 가옥의 비중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지붕형태와 지붕재료의 교차분석을 통해 팔작지붕-컬러강판지붕 가옥, 평지붕-시멘트지붕 가옥, 우진각지붕-인조슬레이트지붕 가옥, 맞배지붕-아스팔트싱글지붕 가옥, 맞배변형지붕-아스팔트싱글지붕 가옥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촌락가옥 유형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유형적 특성을 밝히고, 나아가 태안반도 촌락경관을 이해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지붕형태와 지붕재료를 중심으로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유형을 분류하고,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문화지리학의 관심 분야인 촌락가옥 연구를 발전적으...

      이 연구는 지붕형태와 지붕재료를 중심으로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유형을 분류하고,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문화지리학의 관심 분야인 촌락가옥 연구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유형과 그 변화를 분석한다. 태안반도 촌락에서 팔작지붕 가옥, 컬러강판지붕 가옥, 기와지붕 가옥의 비중이 다른 지역에 비교해서 높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태안반도에 유입된 양반문화의 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맞배지붕 가옥, 맞배변형지붕 가옥, 아스팔트싱글지붕 가옥의 비중이 높은 것은 관광산업 개발과 도시화의 영향으로 인해 신축 가옥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또한 우진각지붕 가옥과 인조슬레이트지붕 가옥의 비중은 1970년대 지붕개량 이후 남아있는 노후화된 가옥의 비중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지붕형태와 지붕재료의 교차분석을 통해 팔작지붕-컬러강판지붕 가옥, 평지붕-시멘트지붕 가옥, 우진각지붕-인조슬레이트지붕 가옥, 맞배지붕-아스팔트싱글지붕 가옥, 맞배변형지붕-아스팔트싱글지붕 가옥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촌락가옥 유형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태안반도 촌락가옥의 유형적 특성을 밝히고, 나아가 태안반도 촌락경관을 이해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재, "한국지리 : 총론" 법문사 2003

      2 권혁재, "한국지리 : 지방편" 법문사 1995

      3 崔基燁, "한국 촌락의 지역적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87

      4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5 최원회, "태안반도의 촌락형성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지리학회 1 (1): 237-265, 2012

      6 최원회, "태안반도의 유사집촌 및 유사산촌에 관한 개관적 연구" 한국지리학회 2 (2): 73-122, 2013

      7 이봉준, "태안반도의 산촌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7 (7): 19-42, 1977

      8 李鳳俊, "태안반도의 산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7

      9 최원회, "태안반도 촌락형태 형성 및 변화의 특성" 한국지리학회 2 (2): 41-71, 2013

      10 "태안군청"

      1 권혁재, "한국지리 : 총론" 법문사 2003

      2 권혁재, "한국지리 : 지방편" 법문사 1995

      3 崔基燁, "한국 촌락의 지역적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87

      4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5 최원회, "태안반도의 촌락형성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지리학회 1 (1): 237-265, 2012

      6 최원회, "태안반도의 유사집촌 및 유사산촌에 관한 개관적 연구" 한국지리학회 2 (2): 73-122, 2013

      7 이봉준, "태안반도의 산촌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7 (7): 19-42, 1977

      8 李鳳俊, "태안반도의 산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7

      9 최원회, "태안반도 촌락형태 형성 및 변화의 특성" 한국지리학회 2 (2): 41-71, 2013

      10 "태안군청"

      11 홍경희, "촌락지리학" 법문사 1985

      12 이전, "촌락지리학" 푸른길 2011

      13 김창순, "촌락 가옥 유형의 특성과 변화 : 지리산권 촌락 가옥을 사례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14 이문종, "차령산맥 북서부지방 민가의 굴뚝 : 문화지리적접근" 23 : 251-262, 1985

      15 배웅규, "지역별·시기별 농촌주택의 재료 및 구법 특징 변화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6504-6513, 2013

      16 이전,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22 (22): 369-382, 2016

      17 전종한, "인문지리학의 시선" 논형 188-198, 2005

      18 이전, "울릉도 산지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 대한지리학회 51 (51): 441-454, 2016

      19 최장순, "영동지역 농촌주택의 유형과 주거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17 (17): 55-62, 2001

      20 문남철, "수도권 입지규제 완화와 비수도권의 기업유치 및 지역산업의 영향 - 충청남도를 사례로 -" 국토지리학회 49 (49): 439-454, 2015

      21 신훈식, "서산지역의 민가구조: 문화지리학적접근" 3 : 16-25, 1985

      22 "서산시청"

      23 왕연, "새마을운동과 1970년대 한국 농촌사회의변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24 최기엽, "산촌경관의 형성과정 : 서산주변의 산촌지역연구" 8 : 79-106, 1985

      25 이환병, "모범 농민·마을의 성장과 농촌 새마을운동"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26 이전, "경남 함양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7 (27): 70-83, 2015

      27 이호욱, "경남 촌락가옥의 연구를 위한 계량적 접근법"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1 (31): 84-97, 2019

      28 이호욱,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 지붕의 형태와 재료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53 (53): 193-207, 2018

      29 이호욱,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과 분포에 관한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30 이전,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21 (21): 660-672, 2015

      31 김창순, "건축시기에 따른 촌락 가옥 유형에 대한 연구 - 지리산권 촌락 가옥의 지붕 형태/재료와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6 (26): 107-128, 2016

      32 李文鍾, "泰安半島의 村落形成에 關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33 李會元, "泰安半島 民家의 地理學的 硏究" 公州師範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34 고왕경, "SPSS 단계별 입력에 의한 사회과학 데이터 분석" 경문사 2012

      35 서의훈, "SPSS 24를 이용한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2018

      36 이진욱, "2009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의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3 (13): 133-142, 2011

      37 이승훈, "1970년대 농촌주택개량사업: 주생활의 변화와 농민들의 대응"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233-264,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0.9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