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참여재판의 배심단과 법원의 법적 판단 비교: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선고된 사건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of the legal decision between lay-participation trial’s jury and court: Focused on the cases ruled from 2018 to 202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11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406 trial cases of lay participation trials sentenced from 2018 to 2020. A total of 731 categorical judgments (including decisions for guilty/not guilty, disposition, and order) and 351 sentencing judgments were encoded. The consis...

      This study analyzed 406 trial cases of lay participation trials sentenced from 2018 to 2020. A total of 731 categorical judgments (including decisions for guilty/not guilty, disposition, and order) and 351 sentencing judgments were encoded. The consistency of jury-court judgment was com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two potential factors affecting the disagreement of the decisions: decision type (whether there is one judgment or multiple judgments in the case) and unanimity (whether the jury decides unanimously or not). The jury’s sentencing was measured on the ordinal scale in each case, and the respective court’s judgment was encoded according to the jury’s measurement. As a result, the jury-court agreement rate of the categorical legal judgment was 95.6%. Generally, inconsistent judgments were cases in which the juries made pro-defendant decisions, and the courts were the opposite. Jury-court agreement of the categorical legal judgment was not related to the decision type, but the consistency of the sentencing judgments was. The jury-court sentencing disagreement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when the jury made two or more judgments. The jury’s decision unanimity was related to both categorical and sentencing decisions. In the case where the jury could not reach a unanimous decision, the categorical and sentencing judgment disagreement rates were high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jury reached a unanimous decision. Also, the cases in which the court sentenced more severely than the jury appeared more frequent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the argument that the jury’s verdict (or opinion) should have a binding effect on the court's judgment by showing that the judgments of the jury and court are not differ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선고된 국민참여재판의 판결서 406건을 분석하였다. 총 731건의 범주적 판단과 351건의 양형판단을 자료화하였으며, 배심단에게 요구되는 판단이 병합되어 있...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선고된 국민참여재판의 판결서 406건을 분석하였다. 총 731건의 범주적 판단과 351건의 양형판단을 자료화하였으며, 배심단에게 요구되는 판단이 병합되어 있는지 여부(판단유형)와 배심단 판단의 만장일치여부에 따라 배심단-법원 판단의 일치율을 비교하였다. 범주적인 법적 판단에는 유무죄 판단과 함께 피고인에게 청구된 처분 또는 명령 등에 대한 인용여부에 대한 판단도 포함되었다. 양형판단은 사건에 따라 다른 배심원들의 양형의견을 사건 내에서 서열척도 수준으로 측정하고, 법원의 양형판단은 배심원들의 양형판단에 부여된 서열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배심단과 법원의 범주적 법적 판단 일치율은 95.6%였으며, 불일치한 판단들은 배심단은 무죄취지, 법원은 유죄취지의 판단을 한 경우였다. 배심단-법원의 범주적인 법적 판단 일치여부는 판단유형과 관련이 없었지만, 양형판단 일치여부는 판단유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심단-법원의 양형판단 불일치는 배심원들이 다수의 판단을 한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하였다. 배심단 판단의 만장일치여부는 범주적인 법적 판단과 양형판단 모두와 관련이 있었다. 배심단이 만장일치로 판단하는 경우보다 다수결로 판단하는 경우에 두 판단주체의 판단이 불일치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배심단보다 법원이 더 엄격한 양형판단을 한 사례가 반대의 사례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인인 배심원(들)의 판단과 법원의 판단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시사하므로 배심단의 평결(의견)에 기속력을 부여해야 한다는 법학자들의 주장에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미숙,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평가연구 (ⅩⅢ)–국민참여재판 시행 10 년차 평가와 정책방안 연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19

      2 탁희성,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연구 (Ⅴ): 국민참여재판제도의 평가와 정책화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3 이승택, "형사소송법의 ‘무죄’선고 규정의 개정을 바란다"

      4 김광현, "형사사법 신뢰회복을 위한 국민참여재판의 과" 국회입법조사처 2021

      5 변종필, "형벌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 응보, 예방, 그리고 회복과 연계하여 -" 비교법학연구소 46 : 1-44, 2015

      6 한인섭, "한국의 배심원재판 -준비과정과 시행원년의 성과를 검토한다-" 법학연구소 50 (50): 681-710, 2009

      7 이완규, "한국 형사법학의신전개. 지송이재상교수정년기념논문집" 박영사 2008

      8 고민조 ; 박주용, "피고인의 성격증거(Character Evidence)가 사실인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법심리학회 10 (10): 215-235, 2019

      9 한유화, "평결범주와 일반인의 법적판단: ‘무죄표상’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법심리학회 13 (13): 1-22, 2022

      10 김보경 ; 김범준 ; 최종안, "판단자의 강간통념이 강간사건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 -강간 사건 전 피해자의 일탈행위 여부의 조절효과-" 한국법심리학회 11 (11): 309-327, 2020

      1 박미숙,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평가연구 (ⅩⅢ)–국민참여재판 시행 10 년차 평가와 정책방안 연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19

      2 탁희성,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연구 (Ⅴ): 국민참여재판제도의 평가와 정책화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3 이승택, "형사소송법의 ‘무죄’선고 규정의 개정을 바란다"

      4 김광현, "형사사법 신뢰회복을 위한 국민참여재판의 과" 국회입법조사처 2021

      5 변종필, "형벌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 응보, 예방, 그리고 회복과 연계하여 -" 비교법학연구소 46 : 1-44, 2015

      6 한인섭, "한국의 배심원재판 -준비과정과 시행원년의 성과를 검토한다-" 법학연구소 50 (50): 681-710, 2009

      7 이완규, "한국 형사법학의신전개. 지송이재상교수정년기념논문집" 박영사 2008

      8 고민조 ; 박주용, "피고인의 성격증거(Character Evidence)가 사실인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법심리학회 10 (10): 215-235, 2019

      9 한유화, "평결범주와 일반인의 법적판단: ‘무죄표상’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법심리학회 13 (13): 1-22, 2022

      10 김보경 ; 김범준 ; 최종안, "판단자의 강간통념이 강간사건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 -강간 사건 전 피해자의 일탈행위 여부의 조절효과-" 한국법심리학회 11 (11): 309-327, 2020

      11 최훈석 ; 박은영, "응보, 일반인 제지, 및 무력화 목적에 따른 처벌 판단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75-195, 2008

      12 한유화 ; 박광배, "유일한 증거와 일반인의 법적 판단: 과대추정된 사후확률과 유무죄 판단의 역치" 한국법심리학회 9 (9): 1-19, 2018

      13 최형표, "양형실무의 변화와 과제 - 양형기준제도 및 양형심리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46 (146): 11-68, 2015

      14 박성훈 ; 최이문, "양형기준제도가 양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성범죄와 강도범죄를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7 (27): 1-34, 2016

      15 이유미 ; 조영일, "사법적 의사결정시 나타나는 배심원 판단편향: 검사구형량의 정박효과" 한국법심리학회 11 (11): 329-347, 2020

      16 김청택 ; 최인철, "법정의사결정에서의 판사들의 인지편향" 법학연구소 51 (51): 317-345, 2010

      17 이은로 ; 박광배, "배심평결규칙의 법심리학적 제문제(상): 만장일치규칙과 다수결규칙" 한국형사정책학회 18 (18): 459-500, 2006

      18 박형관, "배심원 양형에 관한 쟁점 검토 : 국민참여재판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3 (23): 41-74, 2012

      19 지유미, "무죄추정원칙의 관점에서 국민참여재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 배심재판에서 무죄추정원칙 실현기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28 (28): 41-72, 2017

      20 이재영, "대학생의 형벌철학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7 (27): 119-146, 2018

      21 한상훈, "국민참여재판제도의 정착방안" 한국법학원 (106) : 483-534, 2008

      22 윤영석, "국민참여재판의 위기와 개선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8 (28): 259-294, 2021

      23 이용구, "국민참여재판의 배심원 평결과 판결 차이에 관한 분석-2008 년~ 2011년 11 월 불일치 판결을 대상으로" 3 : 2011

      24 한상훈, "국민참여재판에서 배심원 평결의 기속적 효력에 관한 검토" 한국형사정책학회 24 (24): 9-38, 2012

      25 홍수민 ; 이수정 ; 이정헌, "국민참여재판에 있어서 임의명정에 대한 배심원단과 법관의 판단 차이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7 (27): 69-87, 2013

      26 하민경, "국민참여재판사건을 통해 본 정당방위 판단기준 분석" 법학연구소 33 (33): 259-291, 2020

      27 황병돈, "국민참여재판 시행 과정상 제기된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한양법학회 (30) : 33-61, 2010

      28 김병수, "국민참여재판 시행 10년의 평가와 과제" 법학연구소 60 (60): 275-304, 2019

      29 김대성, "국민참여재판 배심원 평결의 효력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소 40 : 41-60, 2018

      30 법원행정처,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 해설"

      31 최대권, "국민의 사법참여 ― 무엇이 문제인가 ―" 법학연구소 45 (45): 119-140, 2004

      32 전성훈, "골프채가 밝힌 강간치상 사건"

      33 김상준 ; 박광배 ; 한미영, "가상적인 재판 쟁점에서의 현역판사의 판단과 모의배심의 집단판단에 대한 인지적 방략의 효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59-84, 2005

      34 이성기 ; 조영일 ; 이형민,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형사법학회 26 (26): 255-280, 2014

      35 이윤정 ; 조은경, "‘합리적 의심 없는 증명 원칙’의 지시문 유형과 순서도 사용이 배심원들의 이해도와 평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8 (28): 71-89, 2014

      36 구자룡, "‘무죄’ 맞나요?"

      37 김슬기,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 의 정부 개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대상사건 축소와 배제사유 확대를 중심으로" 24 : 1-29, 2014

      38 Semmler, C., "Using a flow-chart to improve comprehension of jury instructions" 9 (9): 262-270, 2002

      39 Carlsmith, K. M., "The roles of retribution and utility in determining punishment" 42 (42): 437-451, 2006

      40 Tversky, A.,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evaluation of prospects" Elsevier 114 : 503-520, 1986

      41 Park, K., "The effect of double judgments on public confidence in court decisions for the trial by citizen-participation in Korea" 38 (38): 166-174, 2010

      42 Kelven, H., "The American jury" Ed. University of Chicago 1986

      43 Sawicki, V., "Seeking confirmation in times of doubt : Selective exposure and the motivational strength of weak attitudes" 2 (2): 540-546, 2011

      44 Han, Y., "Quantifying an implicit legal threshold and mental representations of ‘Innocent : ’a comparison of implicit and theoretical thresholds for a legal decision" 32 (32): 836-860, 2021

      45 Dhami, M. K., "On measuring quantitative interpretations of reasonable doubt" 14 (14): 353-, 2008

      46 Dane, F. C., "In search of reasonable doubt" 9 (9): 141-158, 1985

      47 Fein, S., "Can the jury disregard that information? The use of suspicion to reduce the prejudicial effects of pretrial publicity and inadmissible testimony" 23 (23): 1215-1226, 1997

      48 Wistrich, A. J., "Can judges ignore inadmissible information? The difficulty of deliberately disregarding" 1251-1345, 2005

      49 Guthrie, C., "Blinking on the bench : How judges decide cases" 93 : 1-44, 2007

      50 법원행정처, "2008-2020년 국민참여재판 성과분석" 법원행정처 사법지원실 2021

      51 법원행정처, "2008-2018년 국민참여재판 성과분석" 법원행정처 사법지원실 2019

      52 Fang, J. J., "12 confused men : using flowchart verdict sheets to mitigate inconsistent civil verdicts" 64 : 28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