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한, "서양의 지적 운동" 지식산업사 1994
2 복도훈, "변증법적 유토피아 서사의 교훈- 어슐러 K. 르귄의 『빼앗긴 자들』(1975)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소 (30) : 227-248, 2020
3 손종업, "문윤성의 『완전사회』와 미래의 건축술" 중앙어문학회 60 : 239-263, 2014
4 이숙,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 연구 -과학소설로서의 면모와 지배이데올로기 투영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2 (52): 225-253, 2012
5 최애순, "대체역사의 국내 수용 양상-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가 탄생하기까지" 우리문학회 (61) : 395-427, 2019
6 복도훈, "단 한 명의 남자와 모든 여자: 아마겟돈 이후의 유토피아와 섹슈얼리티 -문윤성 과학소설, 『완전사회』(1967)에 대하여-" 한국근대문학회 (24) : 345-373, 2011
7 모희준, "냉전시기 한국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난 종말의식 고찰 - 한낙원의 『잃어버린 소년』, 『금성탐험대』와 문윤성의 『완전사회』를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65 : 127-144, 2016
8 허윤, "남자가 없다고 상상해봐 - 1960년대 초남성적 사회의 거울상으로서 『완전사회』" 민족문학사연구소 (67) : 483-509, 2018
9 김보명, "급진-문화 페미니즘과 트랜스-퀴어 정치학 사이 — 1960년대 이후 미국 여성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8 (18): 229-265, 2018
10 주민재, "과학적 상상력이 현실에 대응하는 방식 - 문윤성의 「완전사회」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7) : 139-168, 2020
1 김영한, "서양의 지적 운동" 지식산업사 1994
2 복도훈, "변증법적 유토피아 서사의 교훈- 어슐러 K. 르귄의 『빼앗긴 자들』(1975)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소 (30) : 227-248, 2020
3 손종업, "문윤성의 『완전사회』와 미래의 건축술" 중앙어문학회 60 : 239-263, 2014
4 이숙,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 연구 -과학소설로서의 면모와 지배이데올로기 투영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2 (52): 225-253, 2012
5 최애순, "대체역사의 국내 수용 양상-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가 탄생하기까지" 우리문학회 (61) : 395-427, 2019
6 복도훈, "단 한 명의 남자와 모든 여자: 아마겟돈 이후의 유토피아와 섹슈얼리티 -문윤성 과학소설, 『완전사회』(1967)에 대하여-" 한국근대문학회 (24) : 345-373, 2011
7 모희준, "냉전시기 한국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난 종말의식 고찰 - 한낙원의 『잃어버린 소년』, 『금성탐험대』와 문윤성의 『완전사회』를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65 : 127-144, 2016
8 허윤, "남자가 없다고 상상해봐 - 1960년대 초남성적 사회의 거울상으로서 『완전사회』" 민족문학사연구소 (67) : 483-509, 2018
9 김보명, "급진-문화 페미니즘과 트랜스-퀴어 정치학 사이 — 1960년대 이후 미국 여성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8 (18): 229-265, 2018
10 주민재, "과학적 상상력이 현실에 대응하는 방식 - 문윤성의 「완전사회」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7) : 139-168, 2020
11 이정옥, "과학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39-164, 2000
12 손나경, "과학소설의 서사적 추진력: 『완전사회』의 대안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30-139, 2019
13 최병구, "‘포스트 휴먼’의 세 가지 조건: 테크놀로지·젠더·정동 – 문윤성, 『완전사회』(1967)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89) : 147-174, 2020
14 이경란, "70년대 미국 여성작가 SF 유토피아 전망의 모호성과 개방성: 어슐러 르 귄의 『빼앗긴 자들』과 마지 피어시의 『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 영미연구소 49 : 3-30, 2020
15 정미지, "1960년대 국가주의적 남성성과 젠더 표상 -김승옥의 「야행」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43) : 681-709, 2014
16 이하나, "1950~60년대 재건 담론의 의미와 지향" 국학연구원 (151) : 387-431, 2010
17 최애순, "1920년대 미래과학소설의 사회구조의 전환과 미래에 대한 기대- <80만년 후의 사회>, <이상촌>, <이상의 신사회>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1 (21): 7-51,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