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막걸리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자극 활성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15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면역자극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한 뒤 ethanol 침전을 통하여 조다당을 추출한 후 특성을 검토한 결과, 막걸리 조 다당체(RWW)의 neutral sugar 함량은 87.3%, uronic acid 함량은 2.5%, protein 함량은 10.2%이었다. RWW는 인체 초기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체계에 대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마우스 RAW 264.7 macrophage에서 세포증식 및 면역유도 cytokine 분비활성을 나타내었다. RWW를 1, 10, 100 μg/mL 농도로 macrophage에 처리하여 면역자극을 유도한 결과 모든 처리 농도에서 IL-6, IL-12, TNF-α의 분비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막걸리 유래 다당체는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와 macrophage의 활성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RWW를 통해 cytokine 분비를 유도, 조절함으로써 체내 면역기능을 증강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면역자극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한 뒤 ethanol 침전을 통하여 조다당을 추출한 후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면역자극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한 뒤 ethanol 침전을 통하여 조다당을 추출한 후 특성을 검토한 결과, 막걸리 조 다당체(RWW)의 neutral sugar 함량은 87.3%, uronic acid 함량은 2.5%, protein 함량은 10.2%이었다. RWW는 인체 초기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체계에 대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마우스 RAW 264.7 macrophage에서 세포증식 및 면역유도 cytokine 분비활성을 나타내었다. RWW를 1, 10, 100 μg/mL 농도로 macrophage에 처리하여 면역자극을 유도한 결과 모든 처리 농도에서 IL-6, IL-12, TNF-α의 분비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막걸리 유래 다당체는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와 macrophage의 활성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RWW를 통해 cytokine 분비를 유도, 조절함으로써 체내 면역기능을 증강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makgeolli were investigated. Crude polysaccahrides from makgeolli (RWW) were isolated by hot water extraction (100°C, 30 min), ethanol precipitation (four volumes of 95% ethanol), dialysis (MWCO: 6,000~8,000), and lyophilization. The major constituents in RWW were neutral sugar (87.3%), uronic acid (2.5%), and protein (10.2%). RWW showed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as well as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of RAW 264.7 macrophages.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RWW were also analyzed based on cytokine production of macrophages. Macrophages stimulated with RWW produced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6, IL-12,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data indicate that RWW may have immunomodulatory effects through activation of the complement system and macrophages, which are a part of natural immunity.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makgeolli were investigated. Crude polysaccahrides from makgeolli (RWW) were isolated by hot water extraction (100°C, 30 min), ethanol precipitation (four volumes of 95% eth...

      In this study,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makgeolli were investigated. Crude polysaccahrides from makgeolli (RWW) were isolated by hot water extraction (100°C, 30 min), ethanol precipitation (four volumes of 95% ethanol), dialysis (MWCO: 6,000~8,000), and lyophilization. The major constituents in RWW were neutral sugar (87.3%), uronic acid (2.5%), and protein (10.2%). RWW showed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as well as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of RAW 264.7 macrophages.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RWW were also analyzed based on cytokine production of macrophages. Macrophages stimulated with RWW produced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6, IL-12,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data indicate that RWW may have immunomodulatory effects through activation of the complement system and macrophages, which are a part of natural i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광순, "포도주에 함유된 항보체 활성 다당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232-1236, 2006

      2 이영현, "팽화미분 첨가에 따른 탁주의 양조 중 pH, 산도, 색도,환원당, 총당, 알코올 그리고 관능 성질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9 (39): 266-271, 2007

      3 조현국, "자색고구마-쌀누룩으로 제조된 막걸리 발효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728-735, 2012

      4 박혜령, "시판양조 및 재래식 조선간장으로부터 분리한 다당의 면역증강 활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44 (44): 228-234, 2012

      5 이상진, "시중 유통 막걸리의 유기산 조성과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3 (43): 206-212, 2011

      6 김민경, "발효녹용의 균주 선별 및 발효녹용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237-1242, 2009

      7 신미옥, "막걸리의 혈행, 지질개선 효과 및 in vitro에서의 ACE 저해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0 (20): 710-716, 2010

      8 신미옥, "막걸리 분획물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88-293, 2008

      9 황용철, "감식초에서 분리한 면역활성다당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0 (40): 220-227, 2008

      10 Jeong HJ, "The immune-enhancing effect of the herbal combination bouum-myunyuk-dan" 27 : 29-33, 2004

      1 신광순, "포도주에 함유된 항보체 활성 다당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232-1236, 2006

      2 이영현, "팽화미분 첨가에 따른 탁주의 양조 중 pH, 산도, 색도,환원당, 총당, 알코올 그리고 관능 성질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9 (39): 266-271, 2007

      3 조현국, "자색고구마-쌀누룩으로 제조된 막걸리 발효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728-735, 2012

      4 박혜령, "시판양조 및 재래식 조선간장으로부터 분리한 다당의 면역증강 활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44 (44): 228-234, 2012

      5 이상진, "시중 유통 막걸리의 유기산 조성과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3 (43): 206-212, 2011

      6 김민경, "발효녹용의 균주 선별 및 발효녹용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237-1242, 2009

      7 신미옥, "막걸리의 혈행, 지질개선 효과 및 in vitro에서의 ACE 저해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0 (20): 710-716, 2010

      8 신미옥, "막걸리 분획물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88-293, 2008

      9 황용철, "감식초에서 분리한 면역활성다당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0 (40): 220-227, 2008

      10 Jeong HJ, "The immune-enhancing effect of the herbal combination bouum-myunyuk-dan" 27 : 29-33, 2004

      11 Holers VM, "The complement system as a therapeutic target in autoimmunity" 107 : 140-151, 2003

      12 Lee SJ,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Makgeolli(Korean Paradox)" 44 : 2-11, 2011

      13 Satio H, "PSK, a polysaccharide from Coriolus versicolor, enhances oxygen metabolism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and the host resistance to listerial infection" 134 : 1029-1035, 1988

      14 Yoon TJ, "Innate immune stimulation of exo-polymers prepared from Cordyceps sinensis by submerged culture" 80 : 1087-1093, 2008

      15 Ohta Y, "In vivo anti-influenza virus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cidic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Cordyceps militaris grown on germinated soybeans" 55 : 10194-10199, 2007

      16 Lee SJ,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Cheonggukjang" 59 : 476-484, 2013

      17 Sang-Jin Lee, "Hypolipidemic Effect of Hexane Fraction from Rhizopus oryzae KSD-815 throug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3 (53): 761-765, 2010

      18 Kabat EA, "Experimental immunochemistry. 2nd ed" Thormas Publisher 133-240, 1965

      19 Sundquist M, "Dendritic cells as inducers of antimicrobial immunity in vivo" 111 : 715-724, 2003

      20 Dubois M,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s" 28 : 350-356, 1956

      21 Wang H, "Asian and Siberian ginseng as a potential modulator of immune function : an in vitro cytokine study using mouse macrophage" 327 : 123-128, 2003

      22 Bae SH,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akju" 34 : 233-248, 2010

      23 Bae SH,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enzyme-treated traditional Korean rice wine(Makgeolli)hydrolysates" 92 : 1765-1770, 2012

      24 Birk RW, "Alternative activation of antigen-presenting cells : concepts and clinical relevance" 52 : 193-200, 2001

      25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72 : 248-254, 1976

      26 Bitter T, "A modified uronic acid carbazole reaction" 4 : 330-334, 196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