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교과서 활용 일반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70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식 정보 사회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학교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접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서는 학교 수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기에 이를 테크놀로지와 결...

      지식 정보 사회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학교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접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서는 학교 수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기에 이를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디지털 교과서로 개편하려는 노력도 적지않게 있어 왔다. 그러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교육 콘텐츠, 교수·학습자 활용 연수 등 여러 분야에 있어서 종합적으로 원활하여야 사용할 수 있기에 아직은 전면적인 활용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디지털 교과서의 사용 방식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학교 수업에 일반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도입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사용 방식, 기능, 활용을 위한 기저 방식을 살펴본 결과, 디지털 교과서 활용을 일반화하기 위해서 개선해야 할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디지털 교과서 기능을 콘텐츠·뷰어·플랫폼으로 구분하여, 기능에 따른 구분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콘텐츠로서의 기본 기능만 담고, 로그인·평가 도구 등의 주변 기능은 뷰어와 플랫폼 등 적합한 곳에 배치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디지털 교과서는 선도적인 기술보다는 안정화된 기술에 중점을 둔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실험적인 새로운 기술은 선도 콘텐츠 개발에서 우선 검증한 후 안정화된 기술을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있어 종래의 서책형보다 현행 디지털 교과서 사용이 상대적으로 불편하기에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디자인 씽킹을 개발에 반영하여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구현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불편한 점을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보완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학교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본격적인 활용은 교육 방법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만한 매우 중요한 변화이다. 단순히 콘텐츠 형식을 바꾸는 것을 넘어서 교육 효과를 혁신적으로 제고하는 중대한 일이다. 따라서 앞으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제반 연구가 보다 더 이루어지길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attempts to incorporate technology into school classes are still being attempted. Textbooks have been used in school lesson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reorganize them into digital textbooks combi...

      A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attempts to incorporate technology into school classes are still being attempted. Textbooks have been used in school lesson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reorganize them into digital textbooks combined with technology. However, since it can be used seamlessly in various fields such as hardware, software, network, educational content, training for teaching and learner, etc., it is not yet practiced nation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current digital textbooks and problem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in order to generalize them to school less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basic method for using, functioning, and using digital textbooks introduced i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in 2015,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 should be made in order to generalize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First, it is necessary to divide digital textbook functions into contents, viewers, and platforms, and to develop them according to functions. Digital textbooks should contain only basic functions as content, and peripheral functions such as login and evaluation tools should be placed in appropriate places such as viewer and platform. Second, digital textbooks need development that focuses on stable technologies rather than on leading technologies. Experimental new technologies should first be validated in the development of leading content and then reflected in stabilized technology. Third, the current use of digital textbooks is relatively inconvenient for teachers and learners, and it should be improve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esign thinking in the development so that the user-oriented interface can be implemented, and there should be efforts to check and complement the inconveniences comprehens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日本 文部科学省, "「デジタル教科書」の位置付けに関する検討会議最終まとめ(案)"

      2 임정훈,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41-168, 2010

      3 황홍섭, "초등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3 (53): 69-87, 2014

      4 "초 3∼4학년 과학·영어, VR자료 넣은 디지털교과서로 배운다"

      5 교육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6 최미애, "디지털교과서 지속 활용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 연구학교 교사와 학생 인식 조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경아, "디지털교과서 전면 도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8 정광훈,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운영 성과 분석 연구, ‘2008년 ~ 2012년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9 한상민,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홍후조, "디지털 교과서 수요 조사 분석 연구" (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12

      1 日本 文部科学省, "「デジタル教科書」の位置付けに関する検討会議最終まとめ(案)"

      2 임정훈,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41-168, 2010

      3 황홍섭, "초등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3 (53): 69-87, 2014

      4 "초 3∼4학년 과학·영어, VR자료 넣은 디지털교과서로 배운다"

      5 교육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6 최미애, "디지털교과서 지속 활용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 연구학교 교사와 학생 인식 조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경아, "디지털교과서 전면 도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8 정광훈,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운영 성과 분석 연구, ‘2008년 ~ 2012년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9 한상민,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홍후조, "디지털 교과서 수요 조사 분석 연구" (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12

      11 문경민,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대안이 필요하다’-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검증과 스마트교육추진 전략의 대안 제시" 2012

      12 O'Bannon, Blanche W., "The Influence of Digital Interactive Textbook Instruction on Student Learning Preferences, Outcomes, and Motivation" 49 : 3-4, 2017

      13 Joo, Young Ju, "Students' expectation,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digital textbooks" 69 : 2017

      14 Obama, "President's ConnectEd Initiative"

      15 최재홍, "Power Review: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편"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16 Wikipedia, "ConnectEd Initiative"

      17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디지털 교과서 국·검정 구분 고시"

      18 정영식, "2015 개정 교육과정 대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법 연구" 교육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3-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7-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7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